모든 시민은 기자다

"산 올라가면 안 될 수준", 산불진화대원 장비 '열악'

산불조심기간, 강원 춘천 상황 살펴보니...등짐펌프·갈퀴로 업무 수행에 한계

등록|2024.10.15 10:37 수정|2024.10.15 12:24
가을철 '산불조심기간'에 접어들고 있지만, 강원도 춘천시 산불전문예방진화대원에 지급되는 진화·보호 장비가 열악할 뿐더러, 이들의 근무시간도 산불예방 활동에 부적합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산불전문예방진화대원'은 소방서의 정식 소방대원과는 별도로 각 지자체가 충원해 산불조심기간 중 산불예방과 진화작업 지원에 동원하고 있는 인력들이다. 강원 춘천시의 산불진화대원 모집요강 등을 종합하면 총 65명 인원 중 24명은 본청에서 근무하고 40명이 읍면에서 활동한다.

산불진화대원들은 소방대원들보다 화재 현장에서 가까운 거리에 거주하는 이들이 많아 보다 일찍 도착하는 경우가 잦다. 하지만 이들의 장비는 열악하다는 평가다.

등짐펌프에 갈퀴, 그리고...

15리터 용량 등짐펌프등짐펌프는 진화대원이 각자 하나씩 소지한다. ⓒ 이승윤


잔불 정리용 갈퀴잔불 정리용 갈퀴는 진화대 내에 하나 뿐이다. ⓒ 이승윤


한림대학교 미디어스쿨 취재 결과, 강원도 춘천시 조교리 산불진화대원에게 지급되는 장비는 등짐펌프와 잔불 정리용 갈퀴, 방화장갑과 안전화, 방화복뿐이다. 인근 강원 홍천군은 이에 더해 안전모와 마스크까지 지급하고 있다. 장비는 3~4년 주기로 새로 지급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약 5년간 춘천시 산불전문예방진화대원으로 활동했었던 최아무개씨는 "처음 지급된 안전화도 1~2년이면 다 닳아버린다. 개인이 구매해 사용하고 있다"며 "기간제 근무 전 면접 때마다 장비 개선을 요청해도, 춘천시에선 예산이 없다면서 들어주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2017년부터 산림청 소속 '산불재난특수진화대'로 근무한 신아무개씨는 이런 상황에 대해 "산에 올라가면 안 되는 수준"이라고 평가할 정도다. 특수진화대는 최씨가 근무했던 산불전문예방진화대에 비해 보다 전문적인 공무직 인력으로, 산불 현장 최일선에 투입된다.

신씨는 "산불 진화 상황에서 오르는 산은 평범한 등산로가 아니다. 불만 무서운 게 아니라, 급경사지에서 떨어지는 돌도 무섭다"면서 안전 장비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법적 규정 미비... 예산따라 달라질 수 있는 지급 장비

그러나 진화대원에게 지급돼야 할 필수 장비는 법적으로 명확히 지정돼 있지 않은 상태다.

홍천군 산림과 관계자는 취재진과의 통화에서 "지급 장비와 관련해 법적으로 규정된 점은 없다"고 말했다. 관련 규정은 산림청 훈령 '산불관리통합규정 제20조(안전장비의 지급)'뿐이다.

산림청 훈령 산불관리통합규정 제20조(안전장비의 지급) ⓒ 국가법령정보센터


산림청 산불방지과 관계자는 이 규정에 대해 "지자체에서 당연히 규정대로 최대한 장비를 마련해야 한다"면서도 "지자체마다 예산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장비 지급은 각 지역마다 달라질 수도 있다"고 말을 아꼈다.

춘천시 산림과 관계자는 안전장비에 대해 "(산불) 현장 발생 시 지급할 수 있게끔 준비돼 있다"고 답했다. 그러나 산불전문예방진화대는 각 지역에 상주하고 있기에 산불을 최초 목격하고, 최초 진화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 결국 안전장비가 도착하기 전까지, 그들은 무방비 상태에 놓이는 것이다.

전 춘천시 산불전문예방진화대원 최씨는 "과거 조교리에 산불이 났을 때, 농약 방제기로 산불을 빠르게 진압한 적이 있었다"며 "주민 대부분이 트럭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트럭에 방제기를 장착한다면 산불 진압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15리터 용량의 등짐펌프에 비해, 큰 용량과 기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지역 특성상 지난해 진화대원은 전원 60대 이상이었고, 올해 상황도 같을 것"이라며 진화대원 고령화에 따른 장비 개선의 필요성을 호소했다.

안전장비 예산 현황은 어떨까. 관련 질문에 14일 춘천시 산림과 관계자는 "안전장비에 관한 예산이 따로 정해져 있지 않다. 산불전문예방진화대 인건비 속에 편입돼 있는데, 산불조심기간이 짧아지거나 길어지는 등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다"라고 말했다.

'해당 예산이 산림과 세출예산사업명세서 내 어떤 항목에 포함되는 것이냐'는 질문에 이 관계자는 "내부자료에는 '산불전문예방진화대 보수' 항목이 있지만, 이는 내부자가 아닌 이상 볼 수 없다"라면서 "그 이상의 세부내역을 말씀드리기는 어렵다"라고 답했다.

등산객은 8시 전에 오르는데... 진화대원 출근시각은 9시

등산객들이 버린 쓰레기를 바라보는 진화대원지난해 가을철 산불조심기간 중, 입산금지구역 인근에서 등산객들이 버리고 간 것으로 추정되는 쓰레기들이 포착됐다. ⓒ 대학생 다큐멘터리 제작팀 사서고생


근무시간도 문제다. 춘천시 북산면 조교리는 산으로 둘러싸인 마을로, 정식 등산로가 없음에도 등산객이 꾸준히 찾아오는 곳이다. 통상적으로 11~12월은 가을철 산불 예방을 위해 입산이 통제되지만, "가리산으로 등산하기 위해 관광버스를 타고 올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온다"고 한다.

지난해까지 등산객과 그들이 버리고 간 쓰레기가 포착되기도 했다. 봄, 가을철 산불조심기간마다 춘천시 소속 산불전문예방진화대원으로 근무한 김아무개씨(약 5년경력)는 취재진과의 인터뷰에서 "가리산으로 등산하기 위해 관광버스를 타고 올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온다"며 봄, 가을철 상황을 설명했다.

등산객이 버리고 간 쓰레기지난해 가을철 산불조심기간 중, 입산금지구역 인근에서 등산객들이 버리고 간 것으로 추정되는 쓰레기가 포착됐다. ⓒ 대학생 다큐멘터리 제작팀 사서고생


산불조심기간 중 등산객들의 입산은 산림보호법 제15조에 의해 불법일 뿐더러, 산불 발생의 원인으로 꼽힌다. 그러나 진화대원의 근무시간 내에는 이들의 입산을 막을 수 없었다. 등산객들은 대부분 오전 8시 이전에 산에 오르지만, 진화대원은 9시 출근, 6시 퇴근이 원칙이다.

김씨는 "우리가 출근했을 때는 이미 등산객들이 산속으로 들어가고 한참이 지난 뒤다. 그 사람들이 산속 어디에 있는지 전혀 파악할 수 없다"라고 말했다. 이어 "등산객도 진화대원, 감시대원의 입산 단속을 알고 있기 때문에, 산 바로 아래 차를 주차하지도 않는다. 운전자가 일행을 산 아래 내려주고, 멀리 차를 주차한 뒤 걸어서 돌아오는 경우도 있다"며 등산객의 꼼수도 꼬집었다. 결국 진화대원이 출근한 시점엔, 산에 몇 사람이 들어가 있는지 추정조차 할 수 없는 상태가 되는 것.

김씨는 상황에 따라 근무시간을 앞당겨야 한다고 봤다. 그러나 춘천시 산림과 관계자는 "근무 시간을 앞당긴 적도 있었다"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근무시간을 항상 시 혼자서 정하는 것이 아니다. 근무시간 조정은 강원도에서 지시가 내려오는 경우도 있다"며 진화대원의 의견만으로 시간 조정은 어렵다는 의견을 내놨다.
덧붙이는 글 이승윤 대학생기자의 기사입니다. 이 기사는 한림대학교 미디어스쿨 대학생기자가 취재한 것으로, 스쿨 뉴스플랫폼 한림미디어랩 The H에도 게재됩니다. (www.hallymmedialab.com)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