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고기도 밥도 너무 적다" 대추축제 바가지 논란, 의외의 원인

자릿세에 웃돈얹어 입점권 전매, 14개 업체중 오직 5개 업체만 실질적 영업

등록|2024.10.24 17:57 수정|2024.10.24 18:39

▲ 2024년 보은대추축제 먹거리장터 전경 ⓒ 보은사람들


지난 11일부터 20일까지 열린 충북 보은대추축제 '먹거리장터'에 대한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먹거리 장터'에선 보은군 내 14개의 요식업 사업체가 장터 부스를 운영했는데, 이곳이 일명 '바가지 논란'에 휩싸였다. 가격 대비 적은 양의 음식에 대한 지적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선정된 외식업체의 '입점권 전매', '동업' 등의 형태가 진행된 것으로 밝혀졌다.

지난 9월, 한국외식업중앙회 충북지회 보은군지부(지부장 안우상 이하 외식업조합)는 먹거리장터에 입점할 업체를 선별하기 위해 3.7대 1의 경쟁을 펼쳐 군내 14개 업체를 추첨했다. 그러나 먹거리 장터에서 직접 장사한 군내 업체는 단 5곳으로 드러났다.

직접 장사를 한 해당 업체는 '영빈관', '이까야', '직화쭈꾸미', '킹후루', '한월당'이다. 나머지 업체는 모두 입점권을 전매한 것으로 드러났다.

추첨 14개 업체 중 5개만 군내 업체... 나머지는? '입점권 전매'

그밖의 업체들은 일명 '장돌뱅이'로 불리는 전국 축제만 돌아다니며 장사하는 전문 업체들에게 판권을 양도하거나 동업했다. 여기서 동업이란 영업을 함께 운영하는 형태가 아닌 군내 입점업체 사장이 사업장에 얼굴을 보이는 형태다.

먹거리 장터에 입점이 확정된 업체는 자릿세(터나 자리를 빌려 쓰는 대가로 주는 돈이나 물품, 전기, 수도, 조명 다회용기 그릇 및 테이블 의자가 포함된 일명 시설비) 명목으로 외식업 조합에 적게는 부스 1개당 128만 원, 많게는 158만 원(부스 3개 기준)을 지불한다. 자릿세에 하루 20만 원에서 25만 원 정도의 웃돈을 얹어 열흘로 계산된 250만 원이다.

모두 종합하면 400만~500만 원의 돈으로 받고 판권을 재양도 한다. 선정된 해당 업체는 선불로 자릿세와 웃돈을 받기도 하고 때로는 후정산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런 행태의 영업은 대추축제를 찾은 관광객들의 바가지 논란, 부실한 음식 등의 항의 민원으로 이어졌다. 전국 먹거리 장터 축제장을 떠돌며 장사하는 전문 업체들은 자릿세에 웃돈까지 얹어 판권을 사들였고 이윤을 남기기 위해 먹거리의 질이 부실해지는 악순환이 계속되는 것.

축제 종합안내실, "민원 많으니 음식 충분히" 지적도

실제 전문업체들이 운영했던 영업점은 바베큐(3만5천원), 소고기국밥(1만원), 해물파전(1만5천원), 오징어무침(2만5천원) 등으로 메뉴를 구성했지만 가격대비 고기의 양, 밥의 양 등이 극히 적었다는 지적이 많다.

이런 문제점은 축제 종합안내실에서도 포착됐다. 축제가 열린 첫 주말이 지난 14일, 14개 참여업체를 대상으로 "'국밥은 고기가 적다, 밥의 양도 너무 적다'라는 민원이 많이 들어오니 음식을 좀 충분히 주도록 해라"라는 관계자의 지적도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먹거리 장터를 이용하는 주민이나 관광객뿐 아니라 불만이 쌓인 것은 실제 영업에 참여한 업체들도 마찬가지다. 직접 장사를 했던 군내 업체 사장은 "실제 군내 업체들은 푸짐하게 성심을 다해 아끼지 않고 장사했다. 하지만 외부업체에서 부실하게 음식 장사하면서 보은군 외식업체가 싸잡아 욕을 먹어 억울했다"고 토로했다.

문제는 이뿐만이 아니다. 보은군 요식업 상호 간판을 달고 부실하게 장사를 한 것에 대한 관광객들이 평가는 보은군과 군내 업체가 떠안게 되는 상황이 됐다. 먹거리 장터는 대외적으로 보은군 업체가 운영하는 것으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업체명이 적힌 간판 펼침막에는 모두 군내 요식업체명이 기재돼 있었다. 하지만 대다수 업체는 거의 동일한 메뉴를 판매했는데 이는 전문업체가 입점권을 사들여 영업했기 때문이다.

특히나 비가 잦았던 이번 대추축제에서 장사가 잘 안 된 전문업체들은 이윤을 남기기 위해 음식의 양과 질이 더 낮춘 것으로 드러났다. 전문업체 관계자는 "자릿세를 내고 들어오는데 장사가 너무 안 되어서 속상하다. 대추축제가 끝나면 인천으로 올라가서 장사하는데 거기서 만회 할수 밖에 없다. 우리도 남아야 장사를 하지 않겠냐"는 입장이다.

장사 마치고 떠나는 전문업체와 상관없이 보은의 대표 지역축제인 대추축제를 찾은 관광객, 주민들은 간판을 보고 음식을 먹고 객관적으로 평가한다. 부실한 음식에 비해 높은 가격 등으로 바가지 논란이 계속되는 만큼 그 책임은 업체와 보은군이 떠안고 있는 실정이다.

"입점권 전매는 관행, 어쩔 수 없다"... "지원 너무 부족해"

입점권에 대한 논란은 여기에 그치지 않았다. 입점권에서 떨어진 한 업체 사장은 "우리 업체는 현실적으로 축제 현장에서 빠른 회전률을 감당하며 장사를 할 수가 없다. 하지만 추첨에 참여한 이유는 입점권을 팔기 위해서이다. 입점권 전매에 대해서는 이미 12년 전부터 지속된 관행이다. 어쩔 수 없다"고 밝혔다.

직접 장사를 진행한 업체 사장은 "이것저것 따지면 차라리 입점권을 전매하는 것도 나쁘지 않겠다는 생각을 했다. 자릿세에 비해 지원이 너무 부족하다. 수도, 전기, 조명 등을 지원 받지만 자릿세에 비해 너무 부족하다. 냉장고부터 시작해서 식당에 구비된 모든 기구들을 다 옮겨야 하는 실정이다"라고 지적했다.

한편, 10일간 지속된 축제기간 읍내 상권 하락에 대한 업체들의 한숨도 늘어만 갔다.

입점권 추첨에 참여하지 않았던 읍내 음식점 A사장은 "축제 전에는 준비기간으로 손님이 없고, 축제 때는 읍내 상권이 다 죽어 너무 힘들었다. 축제가 끝나니 소비긴축으로 손님이 없다. 세금내고 월세내며 장사하는 데 축제기간 10월이 너무 힘들다"고 하소연했다.

바가지 논란이 거론되는 먹거리 장터 '입점권 전매 문제'와 축제 기간 중 읍내 상권 하락에 대한 문제점까지 보은군의 추후 대응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저작권자 © 보은사람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