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비전향 탈북자"... 민주당 지지하면 생기는 일
[탈북, 환대와 냉대 사이④] '탈북'이라는 호칭, 존재를 사유하는 방식
▲ 윤석열 대통령이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제1회 북한이탈주민의날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2024.7.14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 연합뉴스
"조경일 저 친구, 비전향 탈북자야."
내가 출연한 유튜브 영상에 달린 댓글이다. 비전향 탈북자라니. 상당히 흥미로운 표현이다. 나의 한국 생활은 올해로 20년 차다. 그동안 정치학을 공부하고 통일 관련 다양한 활동을 하면서 북한 출신이라는 이유로 불필요하게 여러 호칭을 들어봤다. 하지만 '비전향 탈북자'라는 표현은 처음 들었다. 북한에서 온 사람들을 지칭하는 용어가 하도 다양해서 사람들은 저마다 자기에게 익숙한 용어로 부른다.
'북한이탈주민'을 호칭하는 용어를 바꾸기 위한 노력이 그동안 몇 번 있었다. 과거에는 귀순용사, 귀순동포 등으로 호칭을 붙였지만 1997년 '북한이탈주민 보호법'이 제정되면서 법률용어로 북한이탈주민으로 결정됐다. 그래서 줄여서 '탈북민', '탈북자'로 호명해왔다. 여기서 '자'는 한자로 '놈 자(者)'이므로 당사자들의 불만이 컸다. 우리가 제3국에서 이민 온 다문화인들에게 이름 앞에 "이민자 ㅇㅇㅇ"이라고 부르지 않듯이 말이다.
'북향민'이라고 하는 이유
몇 해 전부터는 '북향민'이라는 용어가 쓰이기 시작됐다. 이 용어는 당사자들의 선호에 따라 나온 용어이다. 내가 이 글에서, 또 앞으로 북향민이라고 호칭을 쓰는 이유다.
나는 기존의 탈북자, 탈북민 호칭 대신 '북향민' 호칭을 쓰자고 언론 기고를 비롯해 여러 글에서 주장해 왔다. 북향민 호칭에 대해서는 2023년 12월 말에 출간된 나의 책 <리얼리티와 유니티: 북한이탈주민의 이슈와 비전에 관한 보고서>에 자세히 썼다. 북향민(北鄕民)은 고향을 북쪽에 둔 사람들을 지칭하는 의미다.
이와 비슷하게 고향을 잃은 사람들을 지칭하는 실향민(失鄕民)이 있다. 둘 다 고향이 북쪽이지만 실향민은 다시 그곳으로 돌아가도 그들의 터전과 고향은 이제 없다. 분단 이후 지금까지 강산이 일곱 번 변하고도 남았다. 이제는 이미 '조선(朝鮮)'이라는 나라에 터를 잡은 사람들이 살아갈 뿐이다. 반면 북향민들은 그 곳에 여전히 가족들이 남아있고 심지어 실시간으로 연락을 주고받기도 한다.
내가 북향민이라는 용어를 굳이 고집하는 이유는 존재의 정체성과 정당성 때문이다. 탈북한 당사자들은 '탈북'이라는 정체성으로 호명되기를 거부하지만 한국 사회는 우리를 가만히 내버려두질 않는다. 북향민, 탈북민, 탈북자, 새터민 등 어떤 호칭으로 부르든 우리는 한국 사회에서 늘 타자화(他者化) 된 존재들, 즉 이방인이다.
이 호칭들은 모두 직업이나 기술을 서술하는 것이 아니라 존재의 정체성을 호명하는 용어들이다. 아마 어떤 방식이 됐든 통일이 되기 전에는 정체성으로 호명되는 일이 멈추지는 않을 것 같다. 이왕 그렇다면 차라리 북향민으로 부르자는 게 나의 주장이다. 어쨌든 나는 앞으로 북향민으로 호칭을 통일해서 쓰고자 한다. 다시 돌아가서, '비전향 탈북자' 용어로 가보자.
정치적 시민 자격을 박탈하는 차별
▲ 제1회 '북한이탈주민의 날'을 맞아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 어울림광장에서 '함께해요! 통일미래!'를 주제로 열린 시민 행사에 북한 물품이 전시되어 있다. 2024.7.14 ⓒ 연합뉴스
나더러 비전향 탈북자라고 지칭한 사람은 댓글을 단 사람 한 명이다. 그는 내가 다른 채널에 출연한 영상에서도 나를 언급했다. "조경일 저 친구 좌파니까 섭외하지 말라"고. 내가 민주당 후보를 지지했다는 이유 때문이었다. 나를 두고 비난하는 댓글들을 보면 대개 이유가 하나로 모인다. 탈북한 사람이 민주당 정책과 후보를 지지하고, 진보적 목소리를 내고, 정부 정책을 비판했기 때문이다.
민주주의 시민이라면 누구나 할 수 있는 자연스럽고 당연한 권리지만, 북에서 온 사람들에게는 예외적으로, 차별적으로 적용되는 권리다. 댓글 하나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사실 북향민들의 정치적 표현에서 보수당의 주장과 다른 목소리를 내는 북향민들에 대한 한국 사람들의 비판은 위에서 설명한 이유와 동일하다. 북한에서 탈출한 걸 한국에서 받아주었으니 불평 말고 감사하며 입 닫고 조용히 살라는 말이다. 그런데 이는 북향민들에게서 정치적 시민 자격을 박탈하는 차별이자 폭력이다.
비전향 탈북자라는 표현이 나온 건 우연이 아니다. 우선 '비전향'이라는 표현은 비전향 장기수들을 수식하는 용어이다. 비전향(非轉向)은 사상이나 생각을 바꾸지 않은 사람을 의미한다. 그러니 나더러 '비전향 탈북자'라고 한 사람은 아마도 내가 민주당 후보를 지지했다는 이유로 사상을 포기하지 않았다고 본 것이다. 북향민이 민주당을 지지하면 벌어지는 일이다. 이게 비단 나만을 두고 하는 비난이 아니다.
북향민들 중에 공개적으로 민주당이나 진보 정당을 지지하면 똑같은 비난과 댓글이 도배가 된다. 비난과 악의적 댓글이야 워낙 일반 뉴스기사들에도 많으니 댓글은 그저 무시하면 된다. 하지만 이런 방식의 비난이 북향민들의 정치적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는 기제로 작동할 때는 이야기가 달라진다.
이런 이유로 내 주변의 북향민 청년들은 진보정당 후보와 그 정책들을 지지하면서도 공개적으로는 발언을 하지 않는다. 나처럼 영리하지 못한 괴짜가 아닌 이상 굳이 빨갱이로 낙인찍힐 일을 하지 않는 건 어쩌면 자연스러운 일이다. 한국 사회에서 표현의 자유, 아직 한참 멀었다.
/조경일 작가(피스아고라 대표)
덧붙이는 글
필자 조경일 작가는 함경북도 아오지 출신이다. 대립과 갈등의 벽을 어떻게 하면 줄일 수 있을까 줄곧 생각한다. 책 「아오지까지」, 「리얼리티와 유니티」, 「이준석이 나갑니다」(공저), 「분단이 싫어서」(공저)를 썼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