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얼, 소나무가 병들어 가는 까닭
솔잎혹파리병에 소나무재선충까지... 발 빠른 대처가 중요해
▲ ⓒ 완도신문
"소나무는 한국인의 얼이다". 국내 유명 소나무 사진가의 어록이다. 우리 조상들은 새 생명이 태어나면 소나무 가지를 꺾어 금줄에 매달아 놓았다. 또 소나무로 지은 집에 살면서 소나무를 땔감으로 사용했다. 그렇게 살다가 생을 마치는 날에는 소나무로 짠 관에 담겨 자연으로 돌아갔다. 한국인에게 소나무는 요람에서 무덤까지 함께 하는 소중한 존재였다.
한반도의 소나무는 1만 년 전부터 그 모습을 드러냈다고 한다. 아주 오래전부터 함께했을 정도로 소나무는 우리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를 형성했다. 그래서 우리의 문화를 일러 '소나무 문화'라고도 한다. 이는 소나무가 우리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을 것이기 때문이다.
소나무는 장수의 상징이기도 했다. 나랏님의 용상에는 '일월오봉도'가 웅장하게 펼쳐져 있다. 왕과 왕비를 상징하는 해와 달과 성산인 곤륜산 5개의 봉우리가 특징이다. 봉우리 양옆으로 붉은 소나무가 영험한 자태로 있으며 그 사이에는 계곡과 폭포수, 그 아래는 포말이 부셔지는 파도가 그려졌다. 이렇게 우리 선조들은 소나무를 장수의 상징물로 첫 손을 꼽는데도 주저하지 않았다.
신령함의 거소로 여기는 왕릉을 비롯해서 종묘 등 성현들과 선대왕을 모신 사묘에도 소나무를 심었다. 또한, 세찬 비바람에도 굴하지 않고 늘 푸른 잎을 유지한 소나무의 고고함은 선비가 지녀야 할 굳센 기품과 꼿꼿한 절개를 상징했다.
솔잎을 음식으로 만들어 먹는 일을 '신선의 식사'라고도 했다. 솔잎은 정신을 맑게 한다. 솔잎은 몸을 가볍게 하고 기를 보충해 준다. 소나무가 지닌 이러한 성정은 유교문화 중심에 있던 선비의 고결함을 나타내는 하나의 상징이 되기에 부족함이 없었다.
한국인의 가슴 속에 깊숙이 박힌 소나무는 하나의 신앙이면서 사상과 풍습에 녹여져 우리의 정서와 마음을 살찌우는 자양분이 됐다. '소나무는 한민족의 얼'이라는 말이 참 어울리는 표현이다.
그런가 하면 IMF로 온 국민이 힘들어 할 때 골프영웅 박세리 선수의 투혼과 교차한 소나무의 기상을 반영했던 상록수의 노랫말은 사람들의 심금을 울렸다. 그리고 드넓은 만주 벌판에서 목 놓아 '대한독립 만세'를 외치던 독립투사의 '일송정 푸른 솔'은 광야와도 같은 우리 마음속에 깊게 새겨져 있다. 소나무는 우리의 영혼과도 같은 한국의 상징나무이다.
그런데, 그 소나무가 지금 아프다. 전국의 소나무가 병들어 신음하고 있다.
일제 수탈에 의해 태평양 전쟁의 물자 공급으로 송진을 채취 당했는가 하면, 전쟁의 포화 속에서 총탄을 맞고 신음하면서도 꿋꿋이 버텨왔던 우리의 소나무가 사라질 위기에 서 있다.
▲ ⓒ 완도신문
▲ ⓒ 완도신문
기후변화의 영향이라고 사람들은 생각하고 있지만, 딱히 그것만도 아니다. 지구온난화로 한반도의 소나무가 소멸할 것이라는 예측과는 달리 우리의 대응 미비로 소나무가 병들어 가고 있음이 국정감사에서도 드러났다. 방제예산과 적절한 선재 대응이 부족했던 탓으로 여겨진다.
한때 솔잎혹파리병으로 전국의 소나무가 시름 했는데, 지금은 소나무재선충 감염으로 초토화 되고 있다. 솔잎혹파리병에 감염된 소나무가 30% 죽어갔다면, 소나무재선충에 감염된 소나무는 100% 말라 죽어간다는 것이 차이가 있다.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소나무재선충병 확산으로 비상이 걸렸다.
재선충이 처음 발견된 곳은 부산 금정산으로 1988년 동물원에 수입된 일본원숭이 우리를 만든 목재에서 소나무재선충이 유입되어 전국으로 확산한 것으로 밝혀졌다. 전남에서는 지난 2001년 목포를 시작으로 재선충이 확산했다.
목포의 한 목재상에서 펄프공장에 납품하려고 파쇄하면서 목재를 쌓아 놓은 것이 화근이었다.
방치된 목재에 재선충 감염목이 있었던 것이다. 우리가 방심한 사이 우리 주변 소나무가 피해를 입고 있다.
하지만 선재 대응을 잘해서 소나무를 보호한 지역의 사례도 있다. 사찰 주변을 예의 주시하던 노승의 빠른 대처와 등산객의 의심 신고로 소나무를 재선충으로 부터 보호한 곳이 간혹 있다. 발 빠른 대처 능력이 중요하다는 이야기다.
우리 지역은 타 지자체에 비해 산림 면적이 좁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나무재선충병이 읍내 전역에 퍼져 있을 동안 신고 조치가 없었다는 것이 의아하다.
국립수목원을 보유한 완도군이 '난대림의 보고'라며 5개 품종을 난대림의 상징나무로 지정한 것은 잘한 일이지만, 혹시라도 지역의 소나무를 홀대할까봐 매우 염려스럽다.
우리 지역은 보존해야 할 솔숲이 많다. 특히 방풍림으로 구성된 보물과도 같은 해변의 송림과 지역의 역사적 상황과도 인연 깊은 보존 가치가 큰 숲이 많다. 누군가 관심 갖지 않으면 모든 것을 잃게 될 것이 자명하다.
정지승 문화예술활동가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완도신문에도 실렸습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