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남편 술주정도 견뎠는데, 집 물려줄 거라 믿었던 시댁의 배신

[2023 독립영화 라이브러리 36] 다큐멘터리 <다섯 번째 방>

등록|2024.11.15 11:00 수정|2024.11.15 11:00

▲ 다큐멘터리 <다섯 번째 방> 스틸컷 ⓒ 인디그라운드


(*이 글은 영화의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01.
다큐멘터리의 시작과 함께 감독의 가족이 살고 있는 이층집 모습이 천천히 그려진다. 50년도 넘은 이 집에서 아빠도 자랐고, 감독 자신도 성장했다. 외부의 전경에 이어 곧 내부의 공간을 둘러보는 카메라에는 작은 방 두 개와 큰 방 하나가 차례로 담긴다. 감독이자 화자인 찬영의 부모가 20년이 넘게 지내며 두 딸과 아들을 키운 작은 방과 성인이 되며 집을 떠난 두 누나 대신 집에 남은 남동생 진호의 작은방, 그리고 할머니와 할아버지가 머물며 세월을 쌓아온 가장 큰 방의 모습이다. 할아버지가 돌아가신 이후로 그 방은 할머니의 것이 됐다.

아빠는 한때 잘나가는 소파 집 사장이었다. 소파 집이 망한 뒤에는 가끔 집에서 소파를 만들고 있다. 담뱃값 만 원이 없어 아내의 눈치를 봐야 하는 상황이지만, 온전히 빌붙어 살기엔 자존심이 상하는 구석이 있다. 찬영의 엄마가 가장이 되며 경제력을 쥐기 시작한 것은 그때부터였다. 프리랜서 심리상담가로 활동하며 가족들을 보살펴왔다. 할머니는 그런 엄마에게 큰방을 내어주시고 2층으로 올라가셨고, 엄마는 평생 처음으로 자신의 방을 가지게 된다. 하지만 여전히 엄마는 자신의 방을 찾고 있다. 다섯 번째 방이다.

다큐멘터리 <다섯 번째 방>을 연출한 전찬영 감독은 이미 지난 두 편의 다큐멘터리 <바보아빠>(2013)와 <집 속의 집 속의 집>(2017)을 통해 가족의 이야기를 스크린 위에 고백한 바 있다. 조금 더 정확히 이야기하자면, 아빠라는 존재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감정을 가감 없이 드러내는 작업이었다.

자신의 생각과 감정이 우선이고, 언제나 자신밖에 모르면서, 때로는 폭력적이기도 했던 아빠라는 존재는 감독 자신의 세계를 수축하게 만듦과 동시에 무력하고 두려운 곳으로 만들어갔다. 이번 작품에서는 시선을 통해 그려내고자 하는 영역과 범위를 조금 더 넓혀내고 있다. 엄마를 중심으로 한 가족의 이야기이면서 그 관계 속에 놓여 있는 아빠의 모습이다.

02.
"왜 내가 밥을 먹었는지에 대해서는 신경 쓰지 않고 설거지 안 한 것에만 신경을 쓰는지 난 이해가 안 됐어."

엄마 효정은 바깥에서 힘들게 일하고 들어와도 집에서는 여전히 설거지를 해야 하는, 청소를 해야 하는 사람이었다. 그렇게 집안일이 끝나고 나면 항상 집안 어느 구석에서 강의 준비를 하거나 상담 일지를 쓰곤 했다. 어떤 누구도 이 문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사람은 없었다. 오히려 엄마는 집안일을 도와주는 할머니에게 미안해하고 고마워해야 했다. 집안일이란 처음부터 엄마의 것이며, 누군가의 도움을 받는 대상이었던 것이다. 가장이 아니었을 때도, 가장이 되고 난 후에도.

극 중 엄마의 표현에 따르자면, 아빠에 대한 피 터지는 투쟁이 시작된 것도 그때부터였다. 기가 죽어서 당연히 받아들여야 한다고 생각했던 것들을, 아빠가 하는 대로만 끌려가야 한다고 생각했던 것들을 자신의 선에서 끊어내고 독립적이고 주체적인 삶을 살아가겠다고 생각했던 것도 그즈음부터였다. 할머니가 내어준 1층의 큰방에서 벗어나 2층의 단독 공간으로 옮기고자 하는 생각도 같은 맥락이었다. 틈만 나면 상담 중에도 문을 벌컥 열고 들어오며 시도 때도 없이 침범해 오는 다른 가족들로부터 벗어나 진정한 의미의 독립적인 공간을 얻고자 했다.

▲ 다큐멘터리 <다섯 번째 방> 스틸컷 ⓒ 인디그라운드


03.
엄마에게 독립된 공간이란 단순히 물리적인 공간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는 30년이 지나서야 겨우 이 집을 사랑할 수 있게 됐다. 그렇지만 마음 한쪽에 완전히 자신의 집이라고 할 수 없는 불안이 언제나 있었다. 시댁에 얹혀사는 사람이라는 인식에서 오는 불편함과 불안함이다. 실제로 엄마는 '너희가 아니면 더 편하게 살았을 것'이라는 말을 계속해서 들어야만 했고, 그때마다 자신의 가족이 빌붙어 살고 있다는 인식을 놓을 수 없었다. 그렇게 오랜 시간, 이 집에 살면서 단 한 번도 주인이었던 적이 없었던 셈이다.

그나마 유일한 아들인 아빠에게 이 집이 유산으로 주어질 것이라는 기대가 버틸 수 있게 해 준 유일한 믿음이었다. 그 믿음이 할머니로 인해 이렇게 쉽게 부서질 것이라고는 상상도 하지 못한 채.

재산을 공평하게 나눈 몫을 큰고모에게도 나눠주겠다는 할머니의 선포는 엄마가 가진 심리적 의미의 공간을 무너뜨리고 만다. 단순히 유산의 몫이 줄어들어서만은 아니다. 이처럼 가족의 중요한 결정이 엄마를 제외한 할머니와 그의 자녀들 사이에서만 이루어지고 통보식으로 전달되는, 그 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서운함이다. 지난 20년이 넘는 세월이 진짜 얹혀산 것만 같은 기분이 된다.

04.
"내 삶은 하나도 보장이 안 되네?"

물리적인 공간의 침해와 심리적인 공간의 붕괴에 하나가 더 더해진다. 외할아버지가 돌아가신 날, 아빠는 장례식장에서조차 배려와 예절이라고는 하나도 없는 모습을 보인다. 술만 마시면 물건을 집어 던지던, 자기 마음대로 가족을 휘둘러왔던 그 장면이다. 공간의 관계적 의미까지 망가지는 순간이다. 엄마는 그 순간에까지 남편을 타일러보려고 하지만 이번에도 아빠는 자신의 감정이 가장 중요하다. 그리고 이 장면은 단순히 장인어른의 장례식장에서 추태를 보인 것만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 단적인 예는 지난 세월 동안 엄마가 어떻게 살아왔는지, 어떤 공간에서 숨을 쉬며 지내왔는지 알 수 있게 해준다. 이 다큐멘터리가 말하고 있는 공간의 세 가지 의미 가운데 관계적인 부분에 대한 것. 그 어떤 의미보다 존재의 자유를 빼앗고 침해했을 지점의 문제다. '짐승 같은 눈빛. 짐승을 넘어서서 저건 인간의 눈빛이 아니구나'라는 것이 남편에 대한 극 중 엄마의 표현이다. 긴 세월 남편이 화나지 않게 하려 했던 이유이자 일방적으로 받아주는 일을 습관처럼 당연하게 여기게 된 이유이기도 하다.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침범해 오는 것들, 이야기를 해도 통하지 않고 하지 말라고 사정을 해도 멈춰지지 않는 현실에 지친 엄마. 2층에 겨우 마련한 공간에까지 주체성을 침범해 오는 일들이 반복되자 그는 이제 집을 떠나 완벽히 분리된 자신의 공간을 마련한다. 그토록 바랐던 '다섯 번째 방'이자 지금껏 살아왔던 불안하고 불편했던 공간으로부터의 독립이다. 어쩌면 전찬영 감독이 이 작품 속에서 쌓아온 것은 그런 엄마를 위한 변호가 아니었을까.

▲ 다큐멘터리 <다섯 번째 방> 스틸컷 ⓒ 인디그라운드


05.
다큐멘터리의 전반이 엄마에 대한 이야기지만, 그 반대쪽에는 필연적으로 아빠의 존재가 놓인다. 지난 작품들에서 감독 자신이 그랬던 것처럼, 엄마에게도 그는 오랜 시간 공포와 미움의 대상이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아빠라는 존재에 대한 시선을, 여전히 놓지 못하고 되레 자신이 태어나기 이전의 이야기까지 파고들며 바라보고자 하는 것은 가슴 깊숙한 곳에 밀어두었던 이해에 대한 갈등이다. 이해는 하고 싶지만, 용서는 하고 싶지 않은 마음.

이것은 분명 이야기 바깥에서 실재하는 감정이다. 아빠라는 존재에 대한 이야기를 처음 시작했던 <바보 아빠>(2013)를 생각하면 벌써 10년이 넘게 프레임 안에서조차 해결하고 있지 못하는 어려운 감정. 물론 그의 마음속에서는 훨씬 더 오래전부터 응어리져 온 마음일 것이다. 이해와 용서는 가까운 곳에 놓여 있고, 한 사람에 대한 이해에는 용서의 계기가 될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그 용서에는 자신의 것 외에 엄마와 동생을 포함한 가족 모두의 몫이 함께 얹혀 있다.

이 작품 <다섯 번째 방>에는 어떠한 해답도 존재하지 않는다. 관계의 개선이나 감정의 해소가 일어나지 않은 채, 엄마의 독립이라는 변화만을 그려낼 뿐이다. 물론 엄마가 염원하던 자신만의 공간을 갖게 된 것만으로도 큰 도약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해답이 주어지지 않았다고 받아들이게 되는 것은 극영화에서와 달리 이 이야기는 여전히 진행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될 것임을 알고 있어서다.

모든 공간은 안팎에 존재하는 모두의 태도와 마음으로 그 모양을 형성한다. 가족의 울타리도, 엄마의 다섯 번째 방도 모두 마찬가지다. 이 사실은 앞으로도 변함이 없을 것이며, 작품 속의 기록은 여기에서 멈춰 서지만, 공간과 자유에 대한 엄마의 노력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 다큐멘터리 <다섯 번째 방> 스틸컷 ⓒ 인디그라운드

덧붙이는 글 영화진흥위원회에서 설립하고 한국독립영화협회에서 운영 중인 인디그라운드(Indieground)는 2024년 2월 15일(목)부터 총 18개의 큐레이션을 통해 '2023 독립영화 라이브러리' 선정작 92편(장편 22편, 단편 70편)을 소개/상영할 예정입니다. 열여덟 번째 큐레이션인 '모서리에서 만난 우리'는 11월 1일부터 11월 15일까지 보름간 인디그라운드 홈페이지를 통해 회원 가입 후 무료로 시청 가능합니다.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