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바위, 굳이 다르게 불러야 할까
[주장] ' 천후산'이나 '이산'은 누가 쓰던 땅이름인가
▲ 울산바위조선총독부가 1909년부터 1917년 사이에 만든 축척 1:50,000인 <조선지형도>에서 '울산바위'는 울산암으로 보인다. ⓒ 이무완
금강산에 들지 못해 눌러앉은 울산바위
울산바위 이름을 옛 땅이름인 '천후산'을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들이 있는 모양이다.
잘 알다시피 울산바위는 둘레가 4㎞, 높이가 해발 873m인 화강암 덩어리로 '바위'보다 '산'이라고 해야 할 만큼 웅장하다.
'천후산', '이산'... 울산바위의 다른 이름
그런데 일제강점기에 '천후산'이나 '이산'이란 이름을 없애고 지금처럼 '울산바위'만 남았으니, 옛 이름인 '천후산'으로 바꿔 쓰자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듣자니 '울산바위 옛 지명, 천후산을 찾아서'라는 포럼(2024. 11. 7.)에서 나온 주장이다.
일본강점기에 천후산이나 이산 같은, 겨레의 기상을 나타내는 땅이름을 '말살'했으니, 강원도민의 정체성을 찾는 첫 길이 바로 울산바위라는 이름을 선조들이 만든 천후산으로 바로 잡는 것이라는 얘기다. 들어보면 아주 사리에서 벗어난 말은 아니지만 뒤끝은 개운하지 않다.
말처럼 '천후산'이란 이름은 옛 기록 곳곳에 나온다. 이를테면, <동국여지지>(1650)는 '천후산은 하늘에서 비나 눈이 오려고 하면 산이 스스로 울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고 적었다. <여지도서>(1765), <대동여지도>(1861), <관동읍지>(1867)에도 '천후산(天吼山)'으로 나타난다. <수성지>(1633)는 "천후산은 산의 동굴에서 부는 바람이 많으며 산 중턱에서 나온다. 이를 두고 하늘이 운다고 하며, 세간에 전하기를 양양과 간성 사이에는 큰 바람이 잦은데 이 때문이라고 한다"고 했다.
하지만 '기록'으로 따지자면 '울산'도 아예 근본 없는 말은 아니다. '울산(蔚山)'이란 이름을 한자 풀이해 보면 울타리 모양을 한 산이다. <간성읍지>(1884)엔 '울산암(蔚山巖)'으로, 일제강점기에 나온 <조선지형도>(1909~1917)엔 '울산암'(鬱山巖)이라고 했고, <신증동국여지승람>(1530)에 '기이한 봉우리가 꾸불꾸불하여 마치 울타리를 세운 듯하다'고 했다. 병풍이 둘러선 듯 우뚝 솟은 여섯 봉우리를 울타리로 보아 울타리 '이' 자를 쓴 '이산'(籬山)이라고도 했다.
우리말 땅이름이 먼저다
내 보기에 이름이 무엇이든 모두 '울'이라는 소리를 공통으로 품고 있다. 보는 눈에 따라 울 후(吼), 울타리 울(蔚), 무성할 울(鬱), 울타리 이(籬) 같은 말로 얼마든지 다르게 받아 적을 수 있겠다. 다만 '우는/울/울타리'라는 멀쩡한 우리말을 두고 한자로 적은 사람은 땅에 엎드려 나물 뜯고 약초 캐던 백성이 아니라 한문깨나 읽은 벼슬아치나 구실아치, 그도 아니라면 양반들이다.
'울돌/울돌목'을 '명량'(鳴梁)으로 쓰고, '울음산'을 '명성산'(鳴聲山, 철원)으로 바뀐 데서도 알 수 있듯 우리말이 먼저 있고 뒷날 한자로 받아 적은 땅이름이 생겨났다고 봐야 한다. 멀리 갈 것도 없이 울돌(목)은 물이 우는 곳이란 뜻으로 지은 땅이름으로 '명량'보다 땅 모양새를 훨씬 더 잘 나타낸다.
그러니 '울산바위'라는 백성들 입에서 입으로 전해오는 이름을 버리고 오히려 그 말을 뒤친 한문 기록에 기대어 '천후산'이나 '이산'으로 돌아가자는 주장은 아닌지 톺아 보았으면 한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