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국회의원 선거 시 네티즌 비례대표' 검토

네티즌 반응 "신선하다" , "시기상조다" 엇갈려

등록 2003.01.31 23:27수정 2003.02.01 12:31
0
원고료로 응원
민주당이 앞으로 국회의원 선거때마다 비례대표 의원 1석을 사이버 공간에 할당, 네티즌이 인터넷 선거로 후보를 선출토록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화제가 되고 있는 가운데 네티즌들 간에는 이 문제를 가지고 활발한 논의가 오가고 있다.

찬성하는 입장에서는 사이버 공간도 일종의 생활공간이므로 사이버공간에서의 삶의 질 발전과 오프라인에서 자유롭게 할 수 없는 이야기를 온라인으로 할 수 있도록 온라인 상의 민의를 접수하고 대변하는 국회의원이 필요하다는 논지를 펼치고 있다.

한편 반대하는 입장에서는 현재 네티즌의 대다수가 20대, 30대에 집중되어 있는 것이 사실이고 인터넷 선거 과정의 보안 문제를 믿을 수 없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네티즌들은 일단 이런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는 것이 정치에 미치는 인터넷의 영향력이 그만큼 커졌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입증해 준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네티즌 오모씨는 "이번 대통령 선거에 인터넷이 나름대로 큰 역할을 했다고 생각하며 앞으로 총선에서도 인터넷의 위력이 드러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하고 "민주당 측의 입장을 환영하며 네티즌들을 위한 비례 대표 의석을 더 늘리는 동시에 공천 과정에서 온라인 투표도 도입이 되었으면 좋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네티즌 박모씨는 "인터넷 정치의 순기능도 많지만 역기능도 많은 것이 사실"이라고 지적하고 "순기능을 극대화하고 역기능을 줄이기 위해 정치 웹사이트에 출입하는 네티즌들에게 책임성을 부여하기 위한 실명 사용 조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한 네티즌 윤모씨는 "인터넷 비례대표 제도는 현재로서는 네티즌이 특정 연령대로 집중되어 있는 특징 때문에 도입이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본다"고 밝히고 "적어도 10년 정도 시간이 지난 후에 도입해도 늦지 않다고 판단되며 오히려 각 정당의 인터넷 정치 서비스 시스템을 대폭 개선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각 정당 웹사이트에 네티즌의 토론공간이 없거나 있더라도 제대로 관리가 되지 않는 사례가 많고 정책 제안을 해도 제대로 접수되었는지, 어떻게 처리가 되고 있는지 알 수 없는 실정"이라고 이야기하며 "각 정당이 네티즌을 위한 서비스에 보다 신경을 쓰도록 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덧붙였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뉴스타운(www.newstown.co.kr)으로도 송고됩니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뉴스타운(www.newstown.co.kr)으로도 송고됩니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톡톡 60초

AD

AD

AD

인기기사

  1. 1 김민석이 7년 전 여러 사람에게 천만 원씩 빌렸던 이유 김민석이 7년 전 여러 사람에게 천만 원씩 빌렸던 이유
  2. 2 취임 12일 만에 외교무대 데뷔... 이 대통령 G7 참석차 출국 취임 12일 만에 외교무대 데뷔... 이 대통령 G7 참석차 출국
  3. 3 [단독] 임은정 검사, 국정기획위원회서 검찰개혁 다룬다 [단독] 임은정 검사, 국정기획위원회서 검찰개혁 다룬다
  4. 4 '풀어주겠다'는 법원 - '안나가겠다'는 김용현 '풀어주겠다'는 법원 - '안나가겠다'는 김용현
  5. 5 무능한 트럼프, 무도한 네타냐후... 이란이 공격당하는 진짜 이유 무능한 트럼프, 무도한 네타냐후... 이란이 공격당하는 진짜 이유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