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인촌 "현대사박물관->국립대한민국관으로 변경"

"박물관 아닌 미래형 전시관 조성"... 규모도 축소 예정

등록 2009.01.31 22:27수정 2009.01.31 22:27
0
원고료로 응원
(서울=연합뉴스) 정천기 기자 = 정부가 지난해 건국 60년을 계기로 건립을 추진해온 현대사박물관이 '국립대한민국관'으로 명칭을 바꿔 박물관이 아닌 미래형 전시관으로 조성된다.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31일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대한민국은 가장 짧은 시간에 성공적인 근대화를 이뤄냈다"면서 "이를 담아낼 국립대한민국관은 첨단 정보통신(IT) 기술과 문화기술(CT)을 활용해 사이버틱한 가상현실까지 다루는 미래형 공간으로 꾸밀 계획"이라고 말했다.

유 장관은 전시관 명칭을 바꾼 것에 대해 "기적과 신화의 역사를 과거 한순간으로 기념하거나 박제화하기보다 미래로 확장하고 승화하려는 것"이라며 "국립대한민국관은 세대간, 지역간, 이념간 대립과 단절을 넘어 상호이해와 공감 속에서 국민통합을 이뤄낼 공간이 돼야 하며, 명칭 변경을 포함해 전시관 구성 등은 조만간 출범할 건립위원회에서 확정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국립대한민국관으로 명칭을 변경한 것과 함께 규모도 처음 계획보다 축소될 예정이다.

정부는 애초 현재 문화부 청사와 인근 '광화문 열린광장'을 포함해 전체 부지 1만5천331.8㎡에 현대사박물관을 세울 계획이었으나 추진과정에서 광화문 열린광장은 그대로 두고 문화부 청사만 리모델링해 활용하기로 했다.

유 장관은 또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으로 조성할 계획인 기무사터는 미술뿐 아니라 건축, 연극, 음악, 영화 등 각계 예술인 등이 참여한 가운데 운영방안을 마련하고, 개관에 앞서 각종 전시와 공연, 마켓 등을 열어 문화예술의 중심으로 다시 태어나는 이곳의 상징성을 부각시킬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도시 재개발 과정에서 빚어진 용산참사에 대해 "생겨서는 안 될 인명사고까지 났는데 뭔가 근본적인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면서 "허름한 골목에 사람이 북적거려 상권이 살아나고, 사람이 살 만한 곳이 될 수 있도록 도시 재개발에 '문화'의 개념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올해 중 전국 도시 가운데 한두 곳을 시범지역으로 정해 '문화도시'를 조성하는 방안을 구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유 장관은 미디어 입법과 관련, "신문·방송 겸영이나 대기업 참여 등에 대해 무조건 반대만 할 것이 아니라 토론을 통해 긍정적인 해결방안을 찾아야 한다"면서 "디지털 전환 등으로 미디어 환경이 급변하는 상황에서 지금 대비하지 않으면 3-4년 후에 후회할 일이 생길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유 장관은 올해 역점 사업으로 일자리 창출을 위한 예술 뉴딜정책, 국립예술단체 특성화, 관광과 연계한 예술공연장과 태권도 상설 공연장 건립, 학교체육 활성화 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ckchung@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현대사박물관 #유인촌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바른 언론 빠른 뉴스' 국내외 취재망을 통해 신속 정확한 기사를 제공하는 국가기간뉴스통신사입니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톡톡 60초

AD

AD

AD

인기기사

  1. 1 대장동 첫 대법 판결, 김만배 무죄 확정... 남욱 신빙성 배척 대장동 첫 대법 판결, 김만배 무죄 확정... 남욱 신빙성 배척
  2. 2 장거리 시장 뛰어든 저가 항공… 20만 원대에 유럽 가보니 장거리 시장 뛰어든 저가 항공… 20만 원대에 유럽 가보니
  3. 3 "하나님께서 함께하심을 믿고 있다"는 윤석열, 서글펐다 "하나님께서 함께하심을 믿고 있다"는 윤석열, 서글펐다
  4. 4 "두목님"에 "쌔리라"까지... 이 팀 보려고 전국을 다 돌았습니다 "두목님"에 "쌔리라"까지... 이 팀 보려고 전국을 다 돌았습니다
  5. 5 이진숙 청문회 보면서 무너진 기대...교사출신 백승아 의원이 해야할 일 이진숙 청문회 보면서 무너진 기대...교사출신 백승아 의원이 해야할 일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