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문과 누정이 멋진 조화를 이루는 화홍문

바람이 머무는 정자기행(41)

등록 2010.01.08 14:38수정 2010.01.08 14:38
0
원고료로 응원
a 화홍문 수원 화성의 수문으로 북수문이다. 화홍문이라는 편액이 걸려있다. 수문과 누정의 아름다운 조화를 볼 수 있다

화홍문 수원 화성의 수문으로 북수문이다. 화홍문이라는 편액이 걸려있다. 수문과 누정의 아름다운 조화를 볼 수 있다 ⓒ 하주성

▲ 화홍문 수원 화성의 수문으로 북수문이다. 화홍문이라는 편액이 걸려있다. 수문과 누정의 아름다운 조화를 볼 수 있다 ⓒ 하주성

 

화성에는 두 개의 수문이 있다. 바로 북수문인 화홍문과 남수문이다. 현재 남수문은 사라지고 화홍문인 북수문이 남아있다. 북수문 위에 건립된 누각에 화홍문(華虹門)이라는 편액이 걸려있다. 화홍문이란 말 그대로 수문의 모양이 무지개처럼 생겨 붙여진 이름이다. 물이 넘쳐흐를 때 생겨나는 물보라의 장관을 화홍관창(華虹觀漲)이라 하여, 수원 팔경 중에 하나로 손꼽힐 정도다.  

 

화강암으로 쌓은 북수문

 

화홍문은 화강암으로 쌓았다. 잘 다듬어진 화강암으로 조성한 화홍문은 보기에도 여간 단단해 보이지를 않는다. 아마 이러한 수문이기에 그 오랜 시간 많은 물을 맞으면서도, 아직도 옛 모습 그대로인지도 모르겠다.

 

바닥 역시 화강암을 다듬은 장대석으로 기단을 놓았다. 7개의 수구가 있는 화홍문은 지금은 없어졌으나, 원래는 쇠창살로 막아 외부의 출입을 차단하였다. 수문 옆 양편에 쌓은 축대도 당시에는 없었을 것이다. 넓은 내를 이루며 흐르는 물이 수구로 빨려 들어가는 모습 또한 장관이었을 것으로 생각이 든다.

 

이 화홍문 위에 누각을 만들어 놓았다. 지금도 봄철부터 가을까지 많은 사람들이 이 누각에 올라 쉬어간다. 여름철이면 특히 많은 사람들이 몰려들어, 피서를 즐기는 곳이기도 하다. 누각은 이층으로 되어있으며, 아래는 군사들이 들어가 적을 맞아 싸울 수 있도록 하였다. 위는 장대석으로 계단을 만들어 양편에서 오를 수 있도록 하였으며, 지금은 문이 없지만 예전에는 문을 달았던 흔적이 보인다.

 

a 북수문 화강암으로 기단을 놓고 그 위에 역시 화강암을 쌓은 무지개 모양의 수문을 내었다.

북수문 화강암으로 기단을 놓고 그 위에 역시 화강암을 쌓은 무지개 모양의 수문을 내었다. ⓒ 하주성

▲ 북수문 화강암으로 기단을 놓고 그 위에 역시 화강암을 쌓은 무지개 모양의 수문을 내었다. ⓒ 하주성

a 화홍문 양 옆으로 화강암 장대석으로 계단을 놓았다. 평소에는 군사들이 올라 쉴 수 있는 공간이다.

화홍문 양 옆으로 화강암 장대석으로 계단을 놓았다. 평소에는 군사들이 올라 쉴 수 있는 공간이다. ⓒ 하주성

▲ 화홍문 양 옆으로 화강암 장대석으로 계단을 놓았다. 평소에는 군사들이 올라 쉴 수 있는 공간이다. ⓒ 하주성

 

아름다운 누각, 수문과 조화를 이뤄

 

화홍문은 전체적으로 보면 수구와 누각으로 구분이 되어있다. 누각은 2층으로 아래층은 전술에 필요한 공간이고, 이층은 쉴 수 있는 공간이다. 문이 있었을 당시에는 어떤 모습이었을까를 생각하면, 오히려 지금보다도 더 아름다웠을 것이란 생각이다. 한 겨울에도 병사들이 쉴 수 있는 공간이었으니 말이다.

 

누각의 아래는 살창으로 문을 내었다. 그것은 앞면이 벽돌로 막혀있어, 성 안쪽으로는 바람이 통할 수 있도록 배려를 한 것으로 보인다. 누각의 밑에 성 안쪽으로 난 살창문을 들어서면 장정이 고개를 숙여서 움직일 만한 높이의 공간이 있고, 밖으로는 안혈(眼穴)을 냈다. 북수문으로 접근하는 적을 막기 위한 총이나 활을 쏠 수 있는 구멍이다. 그저 수문 위에 서 있는 아름다운 누각인 듯 하지만, 철저하게 전쟁을 대비했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이 바로 화홍문의 멋이 아닌가 생각한다.

 

살창문의 양 옆으로는 검은 벽돌을 이용해 문양을 넣었다. 양편에 있는 문양으로 인해 누각이 더 아름다워 보인다. 누각의 앙 옆의 성곽은 돌이 아닌 흑벽돌로 쌓은 점도 돋보인다. 투박하지가 않아 누각의 형태에 중압감을 주지 않았다. 이렇게 하나하나 세세한 부분까지도 미적인 감각을 볼 수 있기 때문에 화성이 더 소중하게 여겨진다.

 

a 누정 아래공간 살창을 낸 누정 아래의 공간은 유사시 군사들이 들어가 적을 맞아 싸울 수 있는 공간이다. 총이나 활을 쏠 수 있는 안혈이 보인다,

누정 아래공간 살창을 낸 누정 아래의 공간은 유사시 군사들이 들어가 적을 맞아 싸울 수 있는 공간이다. 총이나 활을 쏠 수 있는 안혈이 보인다, ⓒ 하주성

▲ 누정 아래공간 살창을 낸 누정 아래의 공간은 유사시 군사들이 들어가 적을 맞아 싸울 수 있는 공간이다. 총이나 활을 쏠 수 있는 안혈이 보인다, ⓒ 하주성

a 문양 화홍문의 누정에는 앞과 옆으로 벽에 문양을 넣어 더 아름답게 치장을 하였다.

문양 화홍문의 누정에는 앞과 옆으로 벽에 문양을 넣어 더 아름답게 치장을 하였다. ⓒ 하주성

▲ 문양 화홍문의 누정에는 앞과 옆으로 벽에 문양을 넣어 더 아름답게 치장을 하였다. ⓒ 하주성

a 마루 누정 위 마루에 오르면 사랑방의 툇마루와 같은 편안함이 느껴진다

마루 누정 위 마루에 오르면 사랑방의 툇마루와 같은 편안함이 느껴진다 ⓒ 하주성

▲ 마루 누정 위 마루에 오르면 사랑방의 툇마루와 같은 편안함이 느껴진다 ⓒ 하주성

 

누 위에 오르면 절로 시 한 수 나와

 

화홍문의 누각 위에 오르면 가슴이 탁 트이는 기분이다. 성 밖으로 보면 우측에 연지가 있고, 성벽을 따라 바라보면 그 유명한 방화수류정이 보인다. 그리고 좌측으로는 조금 떨어져 북문이 우뚝 서 있다. 수문을 지나는 물소리가 귓전을 간질인다. 수문 안쪽은 돌로 바닥을 깔고 격차를 두어 물이 낙수치는 소리를 듣게 만들었다. 그런 자연 하나도 거스르지 않고 조성을 한 것이 바로 화성의 멋이다.

 

누각 위 마루로 깐 바닥이 편안하게 만든다. 흡사 사랑방 앞의 대청마루 같은 느낌이 든다. 그 주변에 두른 난간도, 어느 경치 좋은 계곡 물가에 지은 정자 같기만 하다. 전쟁을 위한 성곽이면서도 결코 자연을 벗어나지 않고, 자연 안에서 꾸며진 화홍문. 성곽으로서의 기능도 뛰어나지만, 그 모습 또한 장관이 아닐 수 없다.   

   

a 화홍문 성벽 위에서 내려다 본 화홍문. 많은 사람들이 지금도 쉬어가고는 한다.

화홍문 성벽 위에서 내려다 본 화홍문. 많은 사람들이 지금도 쉬어가고는 한다. ⓒ 하주성

▲ 화홍문 성벽 위에서 내려다 본 화홍문. 많은 사람들이 지금도 쉬어가고는 한다. ⓒ 하주성

a 밖에서 본 화홍문 수문 위로 안혈 등이 보인다. 평소에는 쉼터로 사용했다. 성곽과 정자가 조화를 이룬다.

밖에서 본 화홍문 수문 위로 안혈 등이 보인다. 평소에는 쉼터로 사용했다. 성곽과 정자가 조화를 이룬다. ⓒ 하주성

▲ 밖에서 본 화홍문 수문 위로 안혈 등이 보인다. 평소에는 쉼터로 사용했다. 성곽과 정자가 조화를 이룬다. ⓒ 하주성

 

화성을 돌아보면 언제나 느끼는 것이, 어떻게 이렇게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조성을 할 수 있었을까 하는 점이다. 화홍문 역시 그 아름다움의 한 부분이다. 싸움터이면서도 커다란 자연의 조형물 같은 화성. 그리고 수문이면서도 누정과 같은 화홍문. 언제나 찾아가도, 늘 그 아름다움에 빠져들고는 한다.

2010.01.08 14:38ⓒ 2010 OhmyNews
#화홍문 #북수문 #누정 #사적 #화성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추석 때 이 문자 받고 놀라지 않은 사람 없을 겁니다 추석 때 이 문자 받고 놀라지 않은 사람 없을 겁니다
  2. 2 아직도 '4대강 사업' 자화자찬? 이걸 보고도 그 말 나오나 아직도 '4대강 사업' 자화자찬? 이걸 보고도 그 말 나오나
  3. 3 '검찰 유도신문' 녹음 파일 통했나... "최재영 청탁금지법 기소" 결론 '검찰 유도신문' 녹음 파일 통했나... "최재영 청탁금지법 기소" 결론
  4. 4 우리 모르게 큰 일이 벌어지고 있다... 정부는 왜? 우리 모르게 큰 일이 벌어지고 있다... 정부는 왜?
  5. 5 [단독] "김건희 사기꾼 기사, 한국대사관이 '삭제' 요구했지만 거부" [단독] "김건희 사기꾼 기사, 한국대사관이 '삭제' 요구했지만 거부"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