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마이스타

연아와 미셸 콴은 아는 5가지 퀴즈, 풀어봅시다

[2013 평창 동계 스페셜 올림픽 기자회견] 5가지 상식 알아보기

12.06.26 17:42최종업데이트12.06.26 17:45
원고료로 응원

김연아 스페셜 올림픽 기자회견 현장 ⓒ 곽진성


지난 21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는 '2013년 평창 동계 스페셜 올림픽 세계대회 SOI(스페셜올림픽위원회) 방한 기자회견'이 있었습니다. 이날, '스페셜올림픽 글로벌 홍보대사'인 김연아 선수의 깜짝 단발머리는 많은 언론들의 화젯거리였지요.

다양한 매체를 통해 무려 수백 개의 기사가 나갔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재밌고, 흥미롭고 유익한 기사가 많았습니다. 다만, 독자들이 보기에 한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면 동게 스페셜 올림픽에 관한 자세한 정보가 적었다는 것입니다.

김연아 선수와 미셸콴 SOI 이사 ⓒ 곽진성



사실, 저 역시 이번 '2013 평창 동계 스페셜 올림픽'에 대해 자세히 알지 못한채 현장에 갔습니다. 속으론 그냥, '또 우리나라가 뭔가 뭔 큰 대회를 유치했나 보다' 정도로 생각하고 취재를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기자회견 분위기를 보며 많이 놀랐습니다. 세계적인 스타들의 참여 자세가 남달랐기 때문입니다. 기자회견이 1시간 가까이 이어졌습니다. 김연아 선수는 물론이고, SOI(스페셜올림픽위원회) 이사로 활동하는 미셸 콴, 그리고 로레타 클레이본의 대회 성공을 위한 적극적인 호소는 꽤 감명 깊었습니다.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대체 저게 무슨 대회이기에, 저렇게 열정적으로 임할까?'라는, 그때부터 조직위원회에서 제공해 준 프레스키트를 열심히 훑었습니다. 그런 후, 든 생각은 어쩌면 이 대회는 2002년 월드컵, 1988년 올림픽, 그리고 2018 평창동계올림픽 만큼 중요한 대회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하게 됐습니다.

이번 대회는 '지적 장애인'에 대한, 우리 사회의 편견을 깰 수 있는 좋은 기회기 때문입니다. 자, 그럼 지금부터 2013 평창 스페셜 동계올림픽에 대해 알아보죠. 5가지 문제를 준비했습니다.

[문제1] 2013 평창 동계 스페셜 올림픽은 O월 OO일 시작된다

회견중 활짝 웃는 김연아 선수 ⓒ 곽진성


정답: 1월 29일

2013 평창스페셜 동계올림픽은 2013년 1월 29일부터 2월 5일까지 8일간 개최됩니다. 이제 개막까지 딱 반 년 정도 남았으니, 어느 때보다 큰 관심과 성원이 필요할 시기라 생각됩니다.

경기 종목은 7개(알파인스키, 크로스컨트리, 스노우 보드, 스노우 슈잉. 스피드 스케이트, 피겨 스케이트, 플로어 하키)이고, 이 7개 종목은 59개 세부 종목으로 나눠진다고 합니다.

[문제2] 대회 첫 출전 국가는 베트남, 몽골, 태국, 파푸OOOO

2013 평창 동계 스페셜올림픽 글로벌홍보대사 김연아 선수 ⓒ 곽진성



정답: 파푸아뉴기니

이번 대회에는 그동안 스페셜올림픽에 한 번도 참가하지 않았던 저개발 국가가 초청될 예정입니다. 베트남, 몽골, 태국, 그리고 파푸아뉴기니가 바로 그 주인공 국가입니다. 앞선 3개국(베트남, 몽골, 태국)은 익숙한 아시아 국가인데 반해, 오세아니아의 파푸아뉴기니는 다소 생소한 이름이라 눈길을 끕니다. 

아무튼 이번 2013 평창 동계 스페셜올림픽을 통해 관련 국가의 '지적장애인' 인권 수준이 조금 더 올라갈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됩니다. 이번 대회는 120여 개국 3300여 명이 참가를 한다고 합니다. 선수 규모만 해도 2000여 명에 달하니 가히 엄청난 규모의 국제대회라고 할 수 있겠죠.

최근에는 북한선수단의 참가여부도 '뜨거운 감자'가 되고 있습니다. 21일 기자회견에서는 조직위원장이 직접 "(북한 선수단 참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답변을 하기도 했습니다. 잘하면, 이번 대회를 통해 '남북화해' 무드가 조성될 수도 있지 않을까요?

문제3) 대회 엠블렘은 열정과 환희의 '큰 OO'의 콘셉트다.

기자회견 김연아 선수 ⓒ 곽진성


정답: 큰 걸음

이번 대회의 엠블렘은 열정과 환희의 '큰 걸음'이라는 콘셉트라고 합니다. 엠블렘은 생동감 있게 전진하는 모습을 담았고, 이는 곧 대한민국과 강원도민의 열정, 그리고 단결을 뜻한다고 하네요. 화합을 통한 올림픽의 성공 개최와 비전도 담았다고 하니, 한번쯤 그 의미에 걸맞는지, 엠블렘을 살펴보는 것도 유익한 일일 것 같습니다.

[문제4] 마스코트는 Ra(라)와 IN(인), 그리고 양치기 개 OOO다

기자회견에서 김연아 선수 ⓒ 곽진성


정답: Bow(바우)

2013 평창 스페셜 올림픽 마스코트는 푸른 반달가슴곰 'Ra(라)'와 붉은 양 'In(인)', 그리고 초록양치기 개 'Bow(바우)'입니다. 저도 한번 마스코트를 찾아봤는데, 귀엽게 생긴 캐릭터들이라, 조만간 인기몰이를 할 것 같습니다.

1988년 서울 올림픽 마스코트 '호돌이', 뽀통령이라 불리는 '뽀로로'의 인기를 넘볼 것 같다고 하면 과언일까요? 이들 마스코트는 각각 스페셜올림픽의 안전과 배려, 편견없는 교류와 사랑, 자신감과 도전, 그리고 푸른 평창의 자연을 나타낸다고 합니다. 귀여운 모습 만큼이나, 멋진 의미가 담긴 캐릭터들 인 것 같습니다.

[문제5] 2013 스페셜 동계 올림픽 슬로건은 'Together We OOO'

'Together We Can' 구호만큼 성공적인 대회를 기원한다 ⓒ 곽진성


정답: Can

이번 대회의 슬로건은 'Together We Can'(함께하는 도전)입니다. 선수는 물론 가족, 자원봉사자, 후원자를 비롯한 온 국민 모두가 힘을 합치자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이 슬로건은 지적발달 장애인들의 스포츠 활동과 도전정신을 격려하고 지적발달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해 나가자는 의미라고 합니다.

'우리가 함께하면 못할 게 없다고 생각한다'는 지적장애인 마라톤 영웅 로레타 클레이본의 말처럼, 우리 모두 슬로건인 'Together We Can'을 기억했으면 좋겠습니다.

김연아 기자회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잊지말아요. 내일은 어제보다 나을 거라는 믿음. 그래서 저널리스트는 오늘과 함께 뜁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