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일보사 편집국 간부들이 정홍 대표이사의 사퇴를 촉구하고 나섰다.
인천일보사 간부 일동은 12월 27일 성명을 통해 정홍 대표이사의 즉각 사퇴를 촉구했다. 전국언론노동조합 인천일보지부(이하 노조)가 경영 무능 등의 이유로 대표이사 사퇴를 주장해왔지만, 편집국 간부들까지 대표이사 사퇴 촉구에 나서 파장이 클 것으로 보인다.
인천일보사는 은행 빚 약23억원과 각종 세금을 연체하는 등 경영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종사자들 임금이 2000% 넘게 체불된 상태라, 경제적 사정으로 회사를 떠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했다.
지난 4월 25일 월급날에는 신입사원들만 급여의 30% 수준인 50만 원을 받았고, 다른 직원들은 월급을 받지 못했다. 임금 체불은 2009년 10월부터 시작돼 현재 3년째를 넘어서고 있다.
종사자들은 경영진이 요구한 임금 조정을 수용했고, 광고 유치 등 자발적 영업 등으로 노력했지만, 임금 체불 등의 문제는 여전히 풀리지 않고 있다.
이에 노조는 올해 초부터 정홍 대표이사가 무능하고 경영 개선 의지가 전혀 없다며 사퇴를 주장해왔다. 여기에 조태현·인치동·윤신욱 편집부국장과 정찬흥 정치부장, 김진국 문화부장, 김칭우 사회부장 직무대리 등 간부들이 합류한 것이다.
이들은 27일 발표한 성명에서 "<인천일보>는 1945년 이후 창간한 <대중일보>의 맥을 이어온 인천의 정통 언론이라는 책임감으로 허리띠를 졸라매며 눈물로 회사를 지켜왔다"며 "경영진의 무능 등으로 인해 후배 기자들이 인천일보를 떠나고 있고, 간부들조차 극도의 피로감과 탈진 상태"라고 밝혔다.
이어 "현 상황을 타개할 수 있는 어떤 대책도 내놓을 수 없다면서도 사장직은 계속 지키겠다는 경영진이 최소한의 책임감을 찾아볼 수 없는 언행을 되풀이하고, 경영권 방어를 위해 언론인으로서 도저히 할 수 없는 행동들을 지역사회 도처에서 자행하고 있다"고 경영진을 비난했다.
마지막으로 "정홍 대표이사가 회사 파행의 책임을 지고 즉각 사퇴하지 않을 경우 이후 발생하는 모든 일에 대한 책임은 현 경영진에 있다"며 "정홍 대표이사가 물러날 때까지 모든 희생을 감수해서라도 지역의 뜻 있는 인사들과 함께 맞서 싸워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인천일보사는 12월 27일과 28일자 신문을 16면으로 축소 발행했다. 이와 관련해 노조 관계자는 "임금 체불 등에 항의하기 위해 경기도에 있는 직원들이 집단휴가를 제출해 지면이 축소됐다"고 전했다.
인천일보사가 신청한 기업회생 절차는 11월 14일 법원에서 기각됐다. 각종 채무 등으로 인해 사실상 마지막 적자 해소 방안인 기업회생 절차도 기각돼 인천일보사의 경영 개선은 요원한 상태다. 본사 건물에 대한 법원 경매가 1월 9일 실시될 예정이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