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1채당 전국 평균 보증금 추이.
지난 21일 통계청. 금융감독원. 한국은행이 공동 발표한 '2012 가계금융. 복지조사'에 따르면 올해 전세금 상승세는 전세가구 소득 증가세의 2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 3월 평균 2908만 원이던 전세가구의 경상소득은 2012년 3월 현재 4380만 원으로 12.0% 증가하며 2년 사이 470만 원이 늘어났다. 같은 기간 전세가구가 부담한 전셋값은 평균 9274만 원으로 2010년 7497만 원보다 23.7% 올랐다. 2년간 소득은 470만 원, 12% 오른데 반해 추가로 부담해야 할 전셋값은 1777만원으로 23.7%나 급등한 것이다.
감당할 수 없이 빠르게 증가하는 전세금을 대려면, 결국 또다시 대출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2010년 2057만 원이던 부채보유 가구의 전세보증금 대출은 올해 2795만 원으로 35.8% 증가했다. 전세가구의 대출 중 전, 월세 보증금 대출이 차지하는 비중도 지난해 24.9%에서 4% 포인트 가까이 늘어난 28.5%로 나타났다. 이제 전세를 얻으려면 이전보다 더 많은 빚을 져야 하는 상황이다. 세입자들은 치솟는 전셋값에 더 싼 곳을 찾아 헤매는 '렌트푸어' 신세를 면치 못하는 등 피해가 커지고 있다.
차기 정부의 해결방안박 당선인은 대선 기간인 지난 9월 부동산 시장 안정화와 서민, 중산층의 집 걱정을 덜어주는 데 중점을 둔 부동산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집 걱정 없는 세상'을 주제로 렌트푸어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목돈 안 드는 전세제도' 공약을 내세웠다.
렌트푸어 대책으로 내놓은 '목돈 안 드는 전세제도'란 전세금이 없는 세입자를 위해 집주인이 집을 담보로 금융권에서 대출을 받고, 세입자가 그 이자를 내는 방식이다. 대출을 얻은 집주인에게는 세제혜택을 부여한다. 세입자 입장에서는 사실상 월세인데 주택담보대출 이자가 비교적 싸기 때문에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그러나 세제혜택만으로 자신의 집에 근저당권을 설정하면서까지 대출을 받아줄 '천사'같은 집주인이 과연 얼마나 될지 의문이라는 단점이 있다.
또한 박 당선인은 전·월세 상환제 도입과 철도부지 위에 영구임대주택 20만호를 짓는 '행복주택' 프로젝트를 공약으로 내걸었었다. 그러나 실제시행을 위해서는 충분한 자금확보와 입지여건이 좋은 부지확보 등을 위해 많은 보완책이 필요할 것이다.
전체적으로 이번 대선을 통해 박 당선인이 내세운 부동산 정책 방향은, 전세난 해소 등 주거안정과 임대주택 공급 활성화와 같은 무주택 서민층의 주거문제 해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따라서 차기 정부가 공적자금 투입에 따른 재원마련과 정책의 실효성 한계를 극복하고 내놓을 서민주거복지형 부동산 정책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공유하기
'전셋값 폭등'이 서민들 현실... 새 정책 마련돼야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