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마이스타

"평창동계올림픽, 제2의 4대강사업 될 위기"

녹색연합, 평창 동계올림픽 분산 개최 위한 '2018인 선언' 제안

15.01.13 10:55최종업데이트15.01.13 10:55
원고료로 응원
평창 동계올림픽을 분산 개최하자는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 녹색연합은 12일 "평창 동계올림픽 분산 개최를 위한 2018인 선언을 제안한다"고 밝히는 동시에, '온라인 직접 행동'에 들어가 강원도에 지역구를 둔 국회의원과 강원도의회 도의원들에게 분산개최를 요구하는 문자와 메일을 보내기로 했다.

녹색연합은 이날 "분산 개최는 강원도와 평창 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가 결정하지만 올림픽으로 인한 예산 낭비와 환경 파괴는 모든 국민이 함께 책임져야 한다"는 사실을 지적하고, "시민들과 함께 강원도 지역구 국회의원 9명과 강원도의회 의원 44명에게 분산개최를 요구하려 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녹색연합은 오는 19일부터 25일까지 일주일 동안 집중 캠페인을 펼친다는 계획이다. 그리고 22일과 24일 사이에 강원도청 앞에서 '평창 동계올림픽 분산 개최'를 요구하는 '강원도민 2018인 선언'을 진행하기로 했다. 2018인은 평창 동계올림픽이 개최되는 2018년을 상징한다.

녹색연합은 강원도민 2018인 선언에 앞서 이날 선언 제안서를 발표하고, "평창 동계올림픽은 제2의 4대강사업처럼 대표적인 예산 낭비 사례로 남을 위기에 처했다"며, "지금은 평창 동계올림픽이 마주한 상황과 조건을 제대로 보고 분산개최를 위한 사회적 논의에 나서야 할 시기"라고 주장했다.

녹색연합은 "현재 강원도의 부채는 5800억 원이고, 향후 3년간 매년 1천억 원 규모의 지방채 발행까지 예정하여 2018년에는 1조 원에 육박한 부채를 갖게 된다"며, "이러한 상황에서 분산 개최는 지방 재정 문제, 환경 훼손 등 여러 문제를 타개할 수 있는 유일하고 합리적인 방안"임을 재차 강조했다.

평창 동계올림픽을 치르고 난 뒤 경기장을 활용하는 방안이 마땅치 않은 것도 문제로 지적됐다. 녹색연합은 "더욱이 동계올림픽 경기장 사후 활용 계획도 수립되지 않아, 사후 시설 운영을 위해 막대한 예산이 투여될 것"으로 보고, 경기장을 관리하고 유지하는 데만 연간 수백억 원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리고 경기장을 건설하는 과정에서 주변 환경을 파괴하는 문제와 관련해서는 환경파괴를 최소화할 것을 요구했다. 녹색연합은 "(가리왕산의 경우) 조선시대부터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관리 받던 원시림으로 단 3일의 경기를 위해 파괴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가리왕산 공사를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현재 평창 동계올림픽을 치르기 위해 신설되는 경기장은 '평창 개폐회식장', '평창 슬라이딩센터', '정선 활강경기장', '강릉 아이스하키1', '강릉 아이스하키2', '강릉 스피드스케이팅', '강릉 빙상경기장' 등 7개다. 이중 사후 활용 방안이 마련돼 있는 경기장은 아이스하키장 2곳뿐이다. 이곳은 가톨릭 관동대에서 사용할 예정이다.

이 중 개폐회식장의 경우, 인구 4천 명에 불과한 횡계리에 4만 석 규모로 신축되면서 경기장 사후 활용 방안이 계속 문제가 되고 있고, 정선 활강경기장의 경우에는 수백 년 묵은 원시림을 파괴하는 문제로 환경단체들의 비판을 받고 있다. 강릉 아이스하키1 등은 동계올림픽 개최 이후 철거될 예정이다.


☞ 관점이 있는 스포츠 뉴스, '오마이스포츠' 페이스북 바로가기
평창동계올림픽 분산 개최 녹색연합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