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 23일, 가습기살균제 피해자들은 서울 강남에 위치한 GS본사를 찾아 ’가습기살균제 참사 책임기업 규탄 기자회견'을 가졌다. ⓒ 가습기살균제네트워크
가습기살균제 피해자들과 가습기살균제네트워크(가습기넷) 활동가들이 23일 낮 12시, 서울 강남에 위치한 GS본사를 찾았다.
피해자들과 시민단체가 GS 본사 건물을 찾은 이유는 GS25 편의점과 GS 슈퍼마켓 등을 포함하는 GS리테일(아래 GS)이 자신들의 브랜드로 가습기 살균제 자체상표제품(PB 제품)을 제조⋅판매한 바 있기 때문이다.
GS는 2007년부터 '함박웃음 가습기살균제' 제품을 1만8000여 개를 판매했다. 그 결과 사용 피해자는 모두 27명이고, 이중 사망자는 6명이다. 하지만 가해 기업인 GS는 현재까지 아직 아무런 사과도 하지 않고 책임 인정도 하지 않고 있다.
GS가 판매한 '함박웃음 가습기살균제'의 성분은 SK케미칼 가습기살균제와 동일한 CMIT/MIT 성분이다. 이 때문에, GS 역시 SK케미칼과 똑같은 방법으로 '자신들이 원료로 사용한 CMIT/MIT의 독성이 확인되지 않았다'라는 주장으로 일관하고 있다. 옥시레킷벤키저, 애경 등 가습기 살균제 책임 기업들 뒤에 숨어 시간을 보내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환경보건시민센터 최예용 소장은 "GS의 가습기 살균제 제품을 사용한 후 병원 치료를 받은 피해자는 최소 3만 명에서 최대 5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라면서 "하지만 GS는 고작 분담금 2억7000만 원만 내면 끝"이라고 말했다.
GS는 지난 8월 9일에 시행에 들어간 '가습기살균제참사 피해구제특별법'에 따라 분담금 2억7000만 원을 납부하도록 환경부로부터 요구받았다.
이는 지난해 가습기살균제 국정조사가 끝날 즈음에 국회가 궁여지책으로 마련한 구제기금의 규모로, 당시로써는 전체 피해 규모를 바탕으로 하지 않아서 18개 사업자에 피해 구제분담금을 1250억 원의 규모로 제한한 것이다.
현재 국회는 특별법 개정안이 발의돼 처리 중이다. 이 개정안에는 피해인정을 좁게 제한하는 배경이 된 구상권 전제조건을 삭제했고, 현행 기금 한도를 없애고, 기업에 대한 징벌적 배상제를 적용하는 등 가해기업으로부터 피해기금을 추가로 걷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a
▲ 피해자들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GS의 책임있는 자세를 촉구했다. ⓒ 가습기넷
가습기살균제피해자와가족모임 강찬호 대표는 "GS는 지금이라도 현명하게 판단하길 바란다"라면서 "GS의 함박웃음 가습기살균제 제품을 쓴 피해자와 가족은 지난 가습기살균제 참사가 세상에 알려진 2011년부터 7년 동안 피눈물을 흘리며 살았고 앞으로 평생 흘리며 살아야 한다"라고 호소했다.
이어 강 대표는"GS가 최소한의 양심, 최소한의 가치가 있는 기업이라면, 지금 당장 자사의 가습기살균제 제품 사용한 피해자들에게 사과하고, 배상 등 책임을 다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정부의 공식 피해접수창구인 한국환경산업기술원에 의하면 현재(2017년 10월 20일까지) 신고된 피해자는 모두 5872명이다. 이중 사망자는 21.5%인 1265명이다. 신고된 피해자는 전체 피해자 추정치의 2%에도 못 미치며, 피해자 신고는 지금까지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