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대강사업 당시 금강의 파헤쳐진 모습
김종술
당신은 4대강 사업으로 '국운 융성'을 이루겠다고 약속했습니다. 하지만 세금 22조 원으로 탐욕의 잔치판을 벌였습니다. 사실 집권 초기만 해도 4대강 사업에 세금을 투입할 생각은 없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건설 재벌들은 정권 초기에 자기 돈으로 4대강의 모래와 자갈을 준설하고, 콘크리트 보를 세워 한반도대운하를 건설하겠다고 달려들었죠.
하지만 이들은 설계도면조차 내놓지 못했습니다. '국운 융성'은 고사하고, 공사비조차 건질 수 없는 사업이라는 것을 간파했기 때문입니다. 국민들은 아직도 한반도대운하 포기 발표가 거센 반대여론 때문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영화 <삽질>에는 당신보다 먼저 한반도대운하 공약을 쓰레기통에 처박은 건설 재벌의 육성이 담겨 있습니다. 당신도 그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그렇다고 건설 재벌들의 탐욕이 멈춘 건 아니었습니다. 한반도대운하에 민간자본 투자를 포기했던 대형 건설사들은 4대강 사업 공사비 불법 담합을 통해 세금으로 수조 원대의 부를 축적했습니다. 이런 일이 어떻게 가능했을까요? 당신이 혹시 잊고 있었다면 영화를 감상하시면서 그 때 이들에게 한 말을 직접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꼭 보여주고 싶은 사람도 있습니다. 건설재벌들이 불법 담합을 통해 세금을 빼먹을 때, 4대강 사업에 부역한 영혼 없는 학자들 말입니다. 당신 재임 기간에 장·차관 자리를 꿰찼습니다. 1000여 명에 달하는 부역자들에게 흥청망청 훈·포장을 나눠주기도 했습니다. 일부 학자는 막대한 액수의 용역을 수행하면서 세금을 또 챙겼습니다.
4대강 사업으로 살찌운 군상들. 그들 역시 당신처럼 자기 잘못을 한 번도 시인한 적이 없으며, 강을 망친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지금도 대학 강단에 서서 학생들에게 환경을 가르치는 부끄러운 현장을 봐주기 바랍니다. 우리 아이들의 미래를 이런 학자들에게 맡겨도 되는 건지 성찰할 기회가 될 것으로 믿습니다.
[<삽질> #3] 당신이 챙긴 것... 4대강 비자금의 진실"4대강 사업으로 강을 망쳤고, 지역경제도 살리지 못했는데, 대체 왜 국민을 속이면서까지 이런 짓을 벌인 것일까?"
<오마이뉴스>가 영화 <삽질>을 만들면서 끊임없이 떠올렸던 질문은 이것이었습니다.
영화를 보시면 해답의 단초가 보입니다. 우리는 당신이 공사장 바닥에 흘린 비자금 조성의 흔적을 찾아다녔습니다. 불법 비자금의 최종 종착지를 확인하진 못했지만, 탐욕의 공사판을 벌인 이유는 돈 때문이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2013년 4대강 비자금 문제가 불거졌을 때 검찰은 건설 재벌을 압수수색하면서 호들갑을 떨었지만, 결국 이 사건을 덮었습니다.
<삽질> 제작팀이 어렵사리 만난 한 증언자는 당시 상황을 캐묻는 저를 부끄럽게 만들었습니다.
"처음엔 제보자였는데, 나중엔 피의자였어요. 2년 동안 검찰에 끌려다녔죠. 검찰은 '어차피 당신이 돈을 빼준 것 아니냐'고 따져 물었습니다. 저는 제보했지만, 뇌물을 받고 비자금을 만든 사람이 되었어요. 세금계산서의 부풀린 돈은 현금으로 건설사에 되돌려줬는데, 국세청으로부터 수십억 원을 추징당했어요. 제가 왜 그 세금까지 내야 합니까?
기자들은 내 이야기를 듣고 특종을 한 건 하면 끝나겠지만, 나는 어쩝니까? 당시 나 때문에 검찰 조사를 받은 사람이 다섯 명입니다. 한 명은 자살했고, 한 명은 연락이 안 됩니다. 이들에게 그때 개고생을 또 하라고 말할 수 있나요? 왜 그 불구덩이로 또 들어가야 합니까? 정권은 바뀌었지만, 밑에 있는 놈들은 그대로입니다. 지금 와서 무엇으로 밝힐 수 있나요?"영화 <삽질>을 만든 건 지금이라도 수많은 불법 비자금 제보자들이 당당하게 검찰의 재수사를 받는 날을 만들고 싶어서입니다.
[초대합니다] 4대강, 잃어버린 10년의 기록
저는 지금 1년째 수문이 열린 금강 세종보의 콘크리트 구조물 위에 앉아 이 편지를 마무리하고 있습니다. 영화 <삽질>에 저항자로 등장하는 <오마이뉴스> 김종술 기자와 함께 2시간째 무언가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지난 10년 동안 이곳을 찾지 않았던 꼬마물떼새입니다. 모래톱 위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엄마 물떼새가 알을 품는 장면을 찍고 있습니다.
며칠 전 이곳에서 흰수마자라는 멸종위기종 1급 물고기도 발견됐습니다. '1급수 전령'이라는 새끼 재첩도 보았습니다. 수문을 해체하고 물길이 열린다면 10년 전의 금강처럼 소풍 나온 아이들과 여울 낚시를 하는 사람들로 붐비겠지요. 당신이 물을 채우고 금강에 박아두었던 '수영금지', '접근금지' 팻말을 뺄 날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이게 강다운 강입니다.
10년 동안 우리가 잃어버렸던 금강이 돌아오고 있지만, 아직 4대강의 귀환을 말할 때는 아닙니다. 아무도 책임을 지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친일의 역사처럼 책임을 묻지 않는 역사는, 반복됩니다. 저는 최근 4대강조사위의 일부 보 해체 제안을 '국가기간시설 파괴'라고 성토하는 당신의 후예 자유한국당의 모습에서 역사의 반동을 목격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영화 <삽질>을 만든 까닭은 당신과 4대강 부역자들의 잘못을 기록하기 위해서입니다. 지금까지 한 번도, 한 명도 제대로 처벌하지 않았던 역사를 고발하기 위해서입니다. 이렇게 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단군 이래 최악의 사업으로부터 아무것도 배울 수 없다고 믿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혹시 감옥으로 되돌아가기 전에 이 편지를 읽는다면 <삽질>을 보러 전주에 잠깐 들러 주십시오. 첫 상영일인 5월 3일 오후 7시 30분, 메가박스 전주(객사) 8관의 아주 좋은 자리를 비워놓겠습니다. 6일과 8일에도 상영합니다.
이 공개편지를 읽으신 여러분들에게도 부탁드립니다. 지난 10년간 진실의 퍼즐 조각을 꿰맞춘 4대강 흑역사의 전모를 확인하는 첫 관객이 되어 주십시오. 이게 '제2의 삽질'을 막는 길입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해 주십시오. 혹시 티켓이 매진됐다면, 올 하반기에 전국 영화관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 전주영화제 <삽질> 상영 일정PS. 오는 5월 7일에는 영화 <삽질>의 모태가 된 단행본 <4대강 부역자와 저항자들>(오마이북. 김병기 저)도 출간합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꼭 사서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제게 연락하신다면 직접 전달하겠습니다.

▲ 영화 '삽질' 엔딩 크레디트
오마이뉴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댓글12
환경과 사람에 관심이 많은 오마이뉴스 기자입니다. 10만인클럽에 가입해서 응원해주세요^^ http://omn.kr/acj7
공유하기
MB를 초대합니다, 당신을 놀라게 할 100분짜리 '삽질'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