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추위에 언 마음을 위로할 수 있는 글

겨울 한파(寒波)를 눈물겹게 버티는 두보와 이덕무

등록 2019.12.31 17:49수정 2019.12.31 17:49
0
원고료로 응원
【오마이뉴스는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생활글도 뉴스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개인의 경험을 통해 뉴스를 좀더 생생하고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당신의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수표교위 서민들 청계천 박물관에서 전시하는 수표교 동영상에 조선시대의 서민들이 눈내리는 추운 겨울을 걸어가는 모습 ⓒ 배남효

 
올해 겨울은 그다지 춥지가 않더니 이제 추위가 닥쳐오는 모양이다. 서울의 기온이 영하 10도로 내려가니 추위를 실감한다. 날씨가 추워지면 역시 가난한 서민들의 살림살이가 걱정이다. 장사도 덜 되고 일하기도 어려우니, 주머니가 비게 되어 고통스러운 것이다.


일찌기 중국의 시인 두보(杜甫, 712~ 770)도 '공낭(空囊, 빈 주머니)'이라는 제목의 시를 지어, 추운 겨울에 주머니조차 비어버린 가난한 자신을 해학적으로 노래한 바 있다.
 
翠柏苦猶食(취백고유식) 푸른 잣 잎은 써나 먹을 수 있고
晨霞高可餐(신하고가찬) 새벽 노을 높아도 먹을 수 있네.
世人共鹵奔(세인공로분) 세상 인심들 어수선하니
吾道屬艱難(오도속간난) 나의 길도 곤궁한 처지로다.
不餐井晨凍(부찬정신동) 우물물 얼어 밥도 못 짓고
無衣牀夜寒(무의상야한) 의복이 없어 침상의 밤은 차갑네.
囊空恐羞澁(낭공공수삽) 주머니 비면 부끄럽고 곤란할까봐
留得一錢看(유득일전간) 한 푼만 남겨 두고 있노라. 



두보는 때를 잘못 만나 곤궁한 삶을 살 수밖에 없음을 토로하면서, 한겨울 추위에 시달리는 모습을 괴롭게 노래하고 있다. 강추위가 몰아치니 우물마저 얼어붙어 밥도 지어먹기 어려운데, 의복조차 시원찮아 밤잠도 춥게 자야 하는 고달픈 신세를 탄식하고 있다.

이렇게 곤궁한 처지이니 당연히 주머니도 비었겠지만, 그래도 유사시를 대비하여 마지막 비상금 한 푼은 남겨 두고 있다고 솔직하게 고백한다. 추위에 떨면서 비상금 한 푼에 의지하여 자존심을 지키려는, 시인의 측은한 모습이 너무나 잘 와닿아 쓴웃음이 흘러 나온다.

겨울 강추위에 가난하고 춥게 살아본 적이 있는 사람이면 두보의 시 '공낭'이 자신의 일처럼 느껴질 것이다. 주머니 속 비상금 한 푼에 의지하여 처량한 신세를 위로하는 두보의 모습에서 바로 자신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덕무선집 돌베개출판사에서 나온 이덕무선집, 한사의 겨울나기 글이 실려 있다. ⓒ 배남효

 
조선시대에 가장 책을 많이 읽어, 간서치(看書癡, 책만 읽는 바보)라는 별명이 붙은 이덕무(李德懋, 1741~1793)도 가난하게 겨울추위를 버틴 사연을 해학적인 글로 썼다. 이덕무는 서자로 태어나 신분 차별의 벽에 갇혀 좋은 벼슬은 하지 못하고, 주로 책에 파묻혀 가난하게 일생을 보내야 했다.

이덕무의 '한사(寒士)의 겨울나기'라는 글을 읽으면, 한서 책을 이불삼고, 논어 책을 병풍삼아 추위를 이겨낸 사연이 나온다. 힘들지만 가난과 추위에 굴하지 않고, 꿋꿋하게 살아가는 조선 선비의 모습을 엿볼 수가 있다.
 
몇 해 전 겨울, 띠풀로 엮은 조그마한 집이 너무 추운 나머지 입김이 서려 성에가 되어 이불깃에서는 와삭와삭 소리가 날 정도였다. 내 비록 게으른 사람이지만 어쩔 수 없이 한밤중에 벌떡 일어나 '한서' 한 질을 이불 위에 죽 덮고서는 조금이나마 추위를 막아 보려 하였다. 만약 그렇게 하지 않았다면 필시 진사도처럼 얼어 죽는 신세를 면치 못했을 것이다.


어젯밤에는 집 뒤편으로 다시 매서운 바람이 불어와 등불이 몹시 흔들렸다. 한참을 생각하다가 마침내 '논어'한권을 뽑아 바람막이로 삼고선 변통하는 수단이 남달랐다고 나 혼자 뇌까려 보았다.


 
이덕무가 조그만 오두막집에서 너무나 추운 겨울을 지내는 모습을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다. 겨울밤의 지독한 추위를 직접 겪어본 사람이기에, 아주 실감나는 표현으로 웃음과 측은함이 동시에 우러나게 만든다.

조선 최고의 학식을 갖춘 선비가 한서 책을 이불삼고 논어 책을 병풍삼아 겨울나기를 했다니 더 이상 할 말을 잊게 한다. 물론 책밖에 모르는 고지식함이 가난을 면치 못하게도 했겠지만, 서자라는 이유로 신분을 차별하는 조선사회의 폐악이 매우 지독했던 것이다.

이덕무가 이 글을 쓴 것이 1765년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1741년생이니 불과 나이 25세의 새파랗게 젊은 시절이었다. 책에 빠진 젊은 선비가 일찍부터 세상의 고초를 겪고 있지만, 주눅이 들지 않고 꿋꿋하게 살아가고 있음을 엿볼 수 있다.

선비는 얼어죽어도 곁불을 쬐지 않는다는 옛말처럼, 이덕무도 선비의 자존심으로 겨울 추위를 힘겹지만 자기 식대로 헤쳐나간 것이다. 요즈음을 살아가는 25세의 젊은이들이 이 글을 읽고 느끼면서, 자신의 인생을 다잡아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도 든다.

두보는 시성(詩聖)이라고 추앙받을 만큼 일관되게 성심(誠心)을 다해, 줄기차게 우국애민(憂國愛民)을 시로 노래했다. 헐벗고 굶주림이 없는 세상을 갈망하며 노래했던 대시인이, 자신의 시 '공낭'처럼 헐벗고 굶주리며 살아갔으니 슬픔이 느껴진다.

이덕무는 한서 이불과 논어 병풍이라는 해학적인 말을 남기면서까지, 가난과 추위를 이겨가며 열심히 책을 읽었다. 그렇게 힘들게 쌓은 실력으로 정조의 부름을 받고 출사하여, 조선을 개혁하는데 열성을 쏟았던 것이다.

두보의 '공낭'과 이덕무의 ''한사의 겨울나기'를 읽으면, 슬픔 속에서도 마음이 맑아짐을 느낄 수 있다. 앞으로 더욱 겨울 강추위가 닥쳐와도, 두 사람의 글을 통해 위로받으며 이겨나가도 좋을 것이다.
#두보 #공낭 #이덕무 #한사의 겨울나기 #강추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캐나다서 본 한국어 마스크 봉투... "수치스럽다"
  2. 2 황석영 작가 "윤 대통령, 차라리 빨리 하야해야"
  3. 3 100만 해병전우회 "군 통수권" 언급하며 윤 대통령 압박
  4. 4 300만명이 매달 '월급 20만원'을 도둑맞고 있습니다
  5. 5 두 번의 기회 날린 윤 대통령, 독일 총리는 정반대로 했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