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중등학교 트레크로네르스콜렌Trekronerskolen의 영어 시간. 수업 중인 안데르스 울랄(Anders Uldal) 선생님이 아이들과 함께 수업을 하고 있다.
이눅희
'교육이라는 이름으로 행해지는 모든 행위가 우리의 삶을 풍성하게 하는데 기여하려면 무엇이 필요한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삶을 위한 수업>을 읽으며 찾아보았다. 이 책에 등장하는 덴마크 교사 10명의 말을 종합해 하나의 문장으로 만들면 이것이다.
'학생 이전에 인간이다, 수업 이전에 관계다.'
초중등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치는 울랄 선생님은 학생들이 영어 단어를 많이 알지 못해도 용기를 가지고 영어회화를 할 수 있게 자신감을 심어준다. 각 학생의 수준에 맞게 '작은 성취의 경험'을 축적해준다.
"울랄은 단 한명의 학생도 자신감을 완전히 잃어버린 채 공부를 포기하지 않도록 섬세하게 대응한다. 모든 아이들에게 '너는 매우 소중한 사람이야'라는 신호를 계속 보낸다. 영어실력이 그 사람을 평가하는 전부가 아니며 영어 능력에 상관없이 한 명의 인간으로서 존엄하고 가치 있음을 느끼게 한다. 수업을 받는 학생 이전에 한 인간으로 대하려는 교사의 마음이다." - <삶을 위한 수업> 88쪽
수학시간에 수포자 학생도 주눅들지 않을 수 있을까? 고등학교 수학 교사 헤닝 아프셀리우스는 학기의 첫 2주간 진도를 나가지 않고 대신 다음 두 가지 질문을 놓고 학생들과 토론한다.
'우리는 왜 이 교실에 앉아 있어야 하는가?(우리는 왜 학교에 나와야 하는가), 우리는 왜 수학을 공부해야 하는가?'
진도 이전에 서로에 대한 이해와 관계가 중요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수학을 잘하는 아이부터 못하는 아이까지 '같은 인간'으로 대접하고 각자에 맞는 섬세한 방법으로 수업에 대한 동기부여를 한다. 그래서 그의 반 아이들은 수학을 못해도 주눅들지 않는다.
수학과 과학을 가르치는 헬레 호우키에는 "배움은 우리가 누군가와 이야기를 나누는 과정에서 일어난다"라고 말한다. 그래서 학생들이 나 혼자 열심히 수학과 과학을 공부하는 방법 대신 서로 대화하고 토론하는 것을 권장한다. 이 과정에서 학습능력이 뒤떨어진 학생도 주눅들지 않고 교실공동체의 일원으로 참여하게 한다.
사회 선생님 킴 륀베크는 "우리는 교실에서 민주주의를 가르치지 않는다"고 말한다. 무슨 말인가 했더니 민주주의는 가르쳐서 될 것이 아니고, 교실과 학교가 민주주의를 실천하는 공간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그는 교사로서 교실에서 권력을 독점하려 하지 않고 학생들과 분점한다. 이 사회 선생님뿐 아니라 <삶을 위한 수업>에 등장하는 선생님들은 이구동성으로 교사와 학생 사이의 '교실에서의 권력 분점'을 강조했다. 그것은 곧 '학생을 학생 이전에 인간으로 본다'는 말이다.
<삶을 위한 수업>은 교사들의 수업 방법론이 구체적인 예시와 함께 풍성하게 담겨 있으나 그것에 그치지 않고 인간을 바라보는 태도에 대한 메시지를 듬뿍 담고 있다. 이 책을 읽고 잠시 멈춰 서서 나의 배움, 나의 가르침은 무엇을 향하고 있는가를 점검하는 기회가 되었다.
삶을 위한 수업 - 행복한 나라 덴마크의 교사들은 어떻게 가르치는가
마르쿠스 베른센 (지은이), 오연호 (편역),
오마이북, 2020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댓글3
꽃처럼 아름답고 바람처럼 자유롭게 가슴 떨리는 삶을 추구하는 자유인.
공유하기
덴마크 수학교사가 아이들에게 반드시 묻는 두 가지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