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레딩대학교의 과일나무 관찰 프로젝트 '프루트와치'. 소프트웨어 기업인 오라클이 개발했다.
레딩대학교
과학자들은 사과, 배, 체리, 자두 4가지 과일나무의 개화시기를 연구대상으로 잡고 있다. 이들이 개발한 '프루트와치' 프로그램을 들어가 봤다. 굉장히 쉽다. 우선 이런 인사말이 나온다.
"영국 전역에서 과일나무 개화시기가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 이해하려면 귀하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귀하의 도움으로 사과, 배, 체리, 자두 4가지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관찰 기록 제출은 크게 3단계로 진행된다. 1단계는 나무를 관찰한 위치정보, 날짜를 선택한 뒤 지도를 클릭해 관찰한 위치를 찍으면 위도와 경도가 계산되어 나오고, 이 위치에 대해 부연 설명을 달 수 있다.
2단계는 관찰한 나무의 종류와 개화 단계 기록으로 이게 본론인데 역시 어렵지 않게 구성되어 있다. 내가 본 과일나무가 사과인지 배인지 등을 구분해 선택하면 사과 중에서도 품종명이 뭔지 선택할 수 있다. 리스트에 없는 품종이면 직접 써넣을 수도 있고 '잘 모름' 항목도 있다. 개화 단계는 크게 다섯 가지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했는데, 이렇다.
A : 첫 꽃이 피었음
B : 개화 초기 (10~30%)
C : 만개함 (최소 50% 이상 개화)
D : 시들기 시작 (대부분의 꽃잎이 떨어짐)
E : 모든 꽃잎 떨어짐
단계 구분이 애매하면 옆에 게시된 예시 사진을 보고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 3단계는 사진 첨부. 내가 관찰한 나무와 꽃의 사진을 첨부해 입력하면 '참여해주셔서 고맙습니다'라는 인사말이 뜬다.
프로그램을 설계한 오라클의 선임 개발자 리치 피츠는 <가디언>과의 인터뷰에서 '영국의 모든 사람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설계된 이 프로젝트는 실제로 뜨거운 호응 아래 진행되고 있으며, 약 5만 건 정도의 기록을 받을 수 있다면 연구자들이 무척 기뻐할 것'이라고 말했다.
영국 과학자들의 이번 시도를 우리나라에서는 어떻게 보고 있을까? 유은하 농촌진흥청 도시농업과 농업연구관은 상당히 의미 있는 추적조사라며 이런 말을 했다.
"작년에 저희 연구기관에서 배 꽃이 피는 현장에서 세미나를 기획했는데, 결국 개화시기를 맞추지 못해 배 꽃이 피지 않은 가운데 행사를 했어요. 연구자들도 놀랐죠. 아무리 우리나라가 위아래로 길다고 해도 이 정도로 개화시기를 예측하지 못한다는 사실에. 그래서 저런 식의 시민참여를 통해 많은 양의 정보를 축적해간다면 기후변화에 따른 수분 시기의 패턴을 예측할 수 있지 않을까..."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오늘의 기후 (FM99.9 OBS라디오) 연출하고 있습니다
공유하기
영국 과학자들의 요청, 주변 '벚꽃엔딩' 기록해주세요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