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13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 그러면 윤 정부가 하려는 걸 '문재인 케어 폐기'라 볼 수 없나요?
"'문재인 케어' 폐기라고 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은 것 같아요. 저는 윤석열 대통령이 국무회의에서 어떻게 얘기했는지 처음부터 끝까지 다 들어보지는 않았지만 만약에 '문재인 케어'를 폐기하겠다고 선언했다면 그게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 포기한 거냐인데,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는 '문재인 케어'만큼 하지 않을 수도 있어요. 하지만 역대 정부에서 했던 것만큼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 정책을 추진해요.
'문재인 케어'의 핵심이 뭐냐면 보편적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예요. 그러나 윤석열 정부는 '보편적'이라는 걸 폐기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모든 국민에게 다 재정을 투입하기보다 중증, 응급, 분만, 소아 영역에 우선 재정 투입을 하는 것으로 정책을 정했고 부족한 것은 비급여 의료비를 연간 5천만 원까지 지원해 주는 거죠.
비급여 의료비를 5천만 원까지 재난적 의료비로 지원해 주는 게 왜 중요하냐면, 실손보험도 연간 5천만 원까지만 지원해주거든요. 그러니 재난적 의료비 지원제도는 실손보험하고 똑같은 혜택이 되는 거죠. 지금 우리나라 국민은 건강보험 적용이 안 되면 실손보험으로 하고 있거든요. 윤석열 정부는 건강보험이 안 되는 비급여 의료비는 실손보험이 아니라 재난적 의료비로 해주겠다고 발표한 거예요. 굉장히 긍정적인 의미가 있어요.
이것이 윤석열 정부의 건강보험 보장성 정책인데 지금 언론들이 어떻게 프레임을 짜고 있냐면, 문재인 정부는 '문재인 케어', 윤석열 정부는 '반문재인 케어'예요. 하지만 그러면 안 돼요. 저는 언론의 이념적인 성향에 대해 이래라저래라할 생각 없지만 환자의 생명이 달린 건강보험 보장성 정책은 굉장히 중요한데 환자를 중심으로 두지 않고 자꾸 정부를 비난하는 수단으로 삼는 것에는 동의 안 돼요.
문재인 정부에 대해서는 평가하면 되고요. 앞으로는 윤석열 정부가 얼마나 잘하는지 그것을 평가하면 되죠. 잘못하면 5년 뒤에 다음 정부에서 윤석열 정부의 건강보험 정책도 '국민 현실을 낭비하는 인기 영합적 포퓰리즘 정책은 재정을 파탄시키고 건강보험 제도의 근간을 해치고 국민에게 커다란 희생을 안겼다'라는 평가를 받을 수 있는 있어요. 때문에 윤석열 정부는 더 잘해야 돼요."
- 윤석열 정부 의료 정책에 대한 환자들 반응은 어떤가요?
"환자들의 반응은 아직 별로 없어요. 필수 의료와 중중희귀질환 등 생명과 직결된 부분에 대해 건강보험 재정을 집중해 투입하겠다는 건 좋아합니다. 좋아하는 것은 맞는데, 어떤 문제가 있냐면 어쨌든 지금까지는 MRI와 초음파가 의학적 비급여의 대표 주자였어요. 선택진료비, 상급 병실료 간병비는 제도적인 비급여이고, MRI와 초음파는 의료적인 비급여이니까요.
국민이 건강보험 혜택을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이 축소되어 건강보험 보장성이 줄어들지 않을까에 대한 우려가 있어요. 이번 윤석열 정부에서는 건강보험 재정을 낭비하는 환자의 의료비 부담을 이전보다 늘리는 패널티 내용도 포함되어 있거든요. 그러면 국민들이 건강보험료를 내는 것에 대해 약간 주춤하게 되는 거죠."
- 윤 대통령은 대안으로 "건보 급여와 자격 기준을 강화하고 건보 낭비와 누수 방지해야 한다"며 "절감된 재원으로 의료 사각지대에서 고통받는 분들을 두텁게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던데 이건 어떻게 보세요?
"저희는 일단은 '문재인 케어'가 시작했을 때도 문재인 정부가 과연 30조 원을 투입해서 건강보험 보장률을 70%까지 만들 것인가, 또 약 3800개의 의학적 비급여를 선별급여 거쳐서 급여권으로 편입시킬 것이냐에 대해 약간 의문을 가졌어요. 그런데 약속을 다 지킨 건 아니지만 많은 재정 투입해 건강보험 보장률을 62%대에서 65%대까지 올렸고, 상급종합병원은 70%, 백혈병 등 상위 30개 질환은 82%대까지 올렸잖아요.
윤석열 정부가 건강보험 재정 절약하고 이렇게 절약한 재정으로 필수 의료와 중증희귀질환 지원 확대하겠다고 했어요. 특히 건강보험 재정이 낭비되는 구조, 건강보험 혜택을 받지 않아야 하는 사람들의 무임 승차를 관리하고, 굉장히 고가의 약인 제네릭약(복제약)의 가격 인하 등, 절약한 재정을 필수 의료에 투입한다고 한 건 저희는 믿고 싶죠.
우리가 '문재인 케어'도 믿었었고, 박근혜 정부의 '4대 중증질환 국가책임제'도 믿었었거든요. 그리고 다 성공 못 했죠. 하지만 4대 중증질환의 건강보험 보장성이 확대됐고 '문재인 케어'에서 의학적 비급여가 건강보험 급여로 확대된 게 사실이거든요. 윤석열 정부에선 필수 의료와 중증희귀질환 지원이 확대되겠죠.
저는 환자단체에 활동하는 사람이고 윤석열 정부의 필수 의료와 중증희귀질환 지원 확대 정책에 비난만 하고 싶은 마음은 없어요. (윤석열 정부가) 잘해야 되죠. 아직 시작도 안 했잖아요. 윤석열 정부가 '문재인 케어'를 신랄하게 비난하면서까지 건강보험 재정 절약과 필수 의료와 중증희귀질환 지원 확대하겠다고 약속해 놓고 추진하지 않으면, 당연히 국민과 환자들의 강한 비판을 받아야죠."
- 그럼, 윤석열 정부의 건강보험 개혁 방향성이 크게 틀린 건 아닌가요?
"방향이 잘못됐다고 생각하지 않아요. 박근혜 정부 때 4대 중증질환에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 정책을 추진했잖아요. 4대 중증질환 환자들이 의료비 때문에 가계 파탄 났었거든요. 그런데 박근혜 정부 때 44대 중증질환 국가책임제를 추진하면서 그런 환자들이 많이 줄었어요. 그러다 보니 전 국민 대상으로 의학적 근거 있는 비급여가 급여화되는 것이 적어서 '문재인 케어' 때 20조 원을 투입했잖아요. 그것이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거든요.
지금 문제는 필수 의료예요. 그리고 지금은 신약·신의료기기·신의료기술이 들어오고 있는데 워낙 고가거든요. 이것이 빨리 건강보험 (적용) 안 돼서 치료 못 받아 죽는 환자들도 여전히 있거든요. 이것을 보충하는 것이 저는 윤석열 정부의 필수 의료와 중증희귀질환 대책이라고 생각하고 저는 방향을 잘 잡았다고 생각해요."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독자들의 궁금증을 속시원하게 풀어주는 이영광의 거침없이 묻는 인터뷰와 이영광의 '온에어'를 연재히고 있는 이영광 시민기자입니다.
공유하기
"'문재인 케어' vs. '반문재인 케어' 구도로 가선 안 된다"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