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하람 변호사
천하람 제공
- 국민의힘이 22일 전당대회 규칙 개정 등을 다룬 방송사 시사 프로그램이 여당에 불공정하게 관련 내용을 다루고 있다며 패널 구성 시 균형 맞춰달라는 공문을 보냈어요.
"(그건) 안 맞죠. 왜냐하면 패널이라는 것도 결국 시장이 결정하는 거지 않습니까. 물론 보수 진보의 균형이 너무 안 맞는다면 문제겠지만 어느 정도 균형이 맞는 한에서 어떤 사람을 쓸지는 방송국의 자유 영역이죠. 국힘은 자유시장 경제를 굉장히 강조하는 당이죠. 그런데 이건 패널들 표현의 자유를 제한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방송국 경영의 자유와 편성의 자유까지 제안하는 것이거든요. 이런 얘기는 옳지 않죠.
민주당 패널이라고 항상 민주당 편만 드는 사람이 있는 것만도 아닙니다. 물론 제가 봤을 때 최근에는 국민의힘 젊은 패널들이 많이 나오면서 자기 진영에 대해 비판적인 목소리 내는 비율이 좀 더 많은 건 맞는데 민주당에도 자기 진영에 대해서 비판 목소리를 내는 분들 계시거든요. 그러면 그런 분들도 나오지 말라고 할 거냐는거죠. 오히려 각 진영에서 열린 마음가짐으로 각자 진영에 대해 쓴소리도 하고 서로 공감대 넓힐 수 있는 패널들이 더 많아지는 게 바람직한 거 아니겠습니까. 앵무새처럼 자기 당 방침만 얘기하는 사람들만 줄줄 나오면 국민들이 정치도 더 재미없어지실 거고 정치 혐오나 정치 무관심도 더 세질 거예요."
- 국민의힘 비판을 많이 하니까 그걸 못 견디는 것 같거든요.
"그걸 별로 안 좋아할 수도 있다고야 봅니다. 왜냐하면 보수 몫의 패널인데 가서 대통령이나 여당을 비판하면 불편하긴 하겠죠. 입장을 잘 대변해줬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가질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그런 생각이 있다 하더라도 방송국에 공문까지 보낼 일은 아니라고 생각해요..
공문에 보면 보수 진보의 균형이 아니라 '여야의 균형을 맞춰달라'는 표현이 있더라고요. 거론되는 장성철 소장님 같은 경우 당적이 없으니까 그렇게 얘기할 수 있지만, 저는 국민의힘 당적도 있고 현역 국민의힘 당협위원장이니까 보수 진보가 아니라 여야로 맞춰달라고 해도 저는 여당의 범주에 확실히 들어간 사람이거든요."
- 그럼, 압박하는 것으론 안 느끼세요?
"오히려 다른 분들, 제가 출연하는 프로 PD나 작가님들이 '괜찮냐, 이거 너 아니냐'라고 하셔서 저도 걱정이 아예 안 되지는 않죠, 하지만 사람이 마음에 없는 얘기 하면은 시청자들이 다 압니다. 제가 잘못됐다고 생각하는 부분을 무작정 잘했다고 할 수도 없는 거고요."
- 오는 2024년 총선 공천 문제가 있잖아요.
"근데 저 같은 경우는 상대적으로 거기서 자유로운 게, 순천 지역 같은 경우 이정현 대표 등이 아니면 (겨뤘을 때) 제가 경선에서 질 만한 사람이 사실 거의 없다고 생각하고요. 저는 소위 '윤핵관'분들 순천에 오면 대환영입니다. 승부해봤으면 좋겠어요. 윤핵관이 순천 와서 도전한다면 얼마나 좋은 일입니까. 저는 상대적으로 공천 압박이 적기 때문에 그래도 조금 더 자유롭게 얘기할 수 있는 거 아닌가 생각합니다."
- 변호사님은 국민의힘 전대 룰 변경이 민주당의 검수완박법과 비슷하다고 하셨더라고요, 왜 그런가요?
"기본적으로 둘 다 약간 날치기 같은 거라고 봐서 그래요. 저는 당원 100%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외국에서 100% 하는 당 많고요. 그란데 전당대회 주자가 떠오르고 나서는 하면 안 됩니다. 검수완박도 마찬가지예요. 저는 검찰의 수사권이라는 것도 성역은 아니라고 생각해요. 검찰 수사권을 자르거나 아니면 분배하거나 다른 데로 옮기는 걸 논의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근데 그러려면 예를 들면 검찰 수사권을 옮겨서 중수청을 어떻게 만들 건지 아니면 수사 역량에 있어서 문제는 발생 안 할 건지 이런 걸 제대로 논의하면서 법 통과시켜야 되죠. 갑자기 무슨 문재인 대통령 임기 한 달 남겨놓고 날치기 하듯이 해서 검수완박 한다? 말이 안 되는 거거든요. 그런 면에서 저희가 그런 걸 비판 했듯이 이번 당원 100% 개정도 제대로 된 논의 과정도 없었고 논의하는 타이밍이나 형태가 다 틀렸다는 가죠."
- 윤 대통령이 얘기하니까 바꾼 건 아니냐는 얘기도 있는데요.
"정확한 배경이야 그걸 결정한 사람들만 알겠죠. 근데 그런 오해를 받기에 충분한 상황에서 이루어진 거지 않습니까. 누가 진짜 보수냐는 말도 나오는데 진짜 보수라는 건 결국 구체적인 정책에 대한 판단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겠지만 안정적인 변화, 질서 있는 개혁 원하는 게 보수적인 태도라고 생각하거든요. 그래서 갑작스럽게 대책도 없이 바꾸거나 법 같은 것도 너무 함부로 바꾸지 말고 좀 신중하게 하자는 거예요. 이게 기본적으로 보수 정당이 가지는 태도라고 생각해요. 근데 심지어 유 전 의원 떨어뜨리기 위해서 (개정)하는 거 아니냐는 얘기가 나오는 상황에서, 당원들의 의사도 물어보지도 않고요. 그렇게 당원이 중요하면 당원 투표라도 한번 해봐야죠. 그런 절차도 제대로 없고 토론회도 제대로 하지도 않고 선출되지도 않은 비대위가 갑자기 바꿔버린다? 이건 보수 정당 태도가 아니라고 생각하거든요."
- 당원투표할만 하다고 생각하나요?
"저는 해야 된다고 생각해요. 여론조사는 정확히 모르겠는데 제가 본 여론조사는 국민의힘 지지층에서도 당원 100%로 급작스럽게 바꾸는 거에 반대가 오히려 더 높았거든요. 그러니까 괜히 했다가 결과를 장담할 수 없어서 안 했는지 모르겠지만 확실한 건 충분한 논의도 안 거쳤죠. 물론 상임전국위를 거치긴 했습니다마는 과연 이게 이렇게 급작스럽게 변경할 만큼 급한 문제냐라는 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