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듣기

베트남서 캄보디아로... 이렇게 쉬운 국경은 난생 처음

쉽게 넘은 국경과 두 나라 간 우정의 상관관계

등록 2023.01.25 08:47수정 2023.01.25 08:47
0
원고료로 응원
저는 호치민 시를 떠나 국경을 넘어 캄보디아의 프놈펜으로 들어왔습니다. 버스를 타고 국경을 넘는 과정은 아주 쉬웠습니다. 버스 승무원이 거의 대부분의 출입국 사무를 대행해 주더군요. 심지어 캄보디아는 비자가 필요한 나라인데도, 비자 비용만 지불하고 저는 캄보디아 측 입국심사관을 만날 일조차 없었습니다.

육로국경을 넘은 경험히 없는 것은 아닌데, 그래도 이렇게 쉬운 국경은 처음이라 약간은 당황스럽습니다. 아무튼 덕분에 베트남에서 출국해 캄보디아에 입국하는 데는 20분도 채 걸리지 않았습니다. 호치민 시에서 프놈펜까지는 230km 남짓, 이 거리를 6~7시간 정도 달려 프놈펜에 무사히 도착합니다.
 
a

베트남-캄보디아 국경 ⓒ Widerstand


'우정 기념탑' 앞에서 생각한 어떤 우정


생애 가장 쉬운 국경 넘기를 경험하면서, 버스 안에서 캄보디아와 베트남 사이의 관계에 대한 생각을 잠시 했습니다. 프놈펜 중심가, 캄보디아 왕궁에서도 얼마 떨어지지 않은 곳에는 "캄보디아-베트남 우정 기념탑"이라는 탑이 세워져 있습니다. 하지만 저는 그 "우정"이라는 것이 누가 정의한 것일지를 생각합니다.

이 기념탑은 1970년대 말에 세워진 것입니다. 많이들 아시다시피 1970년대 캄보디아는 크메르 루주의 집권과 '킬링 필드'라는 대규모 학살극을 경험했습니다. 크메르 루주는 '민주 캄푸치아'라는 정부를 세우고 공산주의를 추구하는 정당이었지만, 같은 공산주의 계열의 베트남과는 갈등을 벌였습니다.

유사한 계열의 두 정부가 갈등을 벌인 데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었습니다. 캄보디아와 베트남 사이 역사적으로 쌓인 반목이 일차적인 원인이라 할 수 있겠죠. 하지만 킬링 필드의 와중에 캄보디아 내에서 많은 베트남인들이 살해당하거나 차별당하는 일도 있었습니다. 특히 국경 지역에서는 양국 간 충돌이 빈발하며 살해당하는 민간인들이 늘어났습니다. 거칠게 나누자면 친소 계열인 베트남과, 친중 계열인 캄보디아 사이의 노선 갈등도 표면화되었습니다.
 
a

캄보디아-베트남 우정 기념탑 ⓒ Widerstand


결국 1978년 12월 22일, 베트남이 크메르 루주 치하의 캄보디아를 침공합니다. 전쟁은 아주 손쉬웠습니다. 혁명이라는 이름 아래 학살을 자행하고 국가체제를 스스로 파괴해 온 크메르 루주에게 국토를 방어할 힘은 없었습니다. 1월 7일 베트남이 프놈펜을 장악했고, 17일 태국 국경까지 진출하며 사실상 캄보디아 전역을 손에 넣었습니다.

어떤 의미에서 베트남은 해방자였을 수 있습니다. 크메르 루주의 집권과 킬링 필드라는 학살극은 이런 방식이 아니라면 종결될 수 없었을 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캄보디아 내전과 킬링 필드를 경험하며 수백만 명이 학살당하고 그 이상의 사람들이 난민이 되었던 상황에서, 다시 한 번의 전쟁은 어떤 의미였을까요.

베트남은 이후에도 캄보디아에 계속해서 주둔했고, 일부 지역에서 반군 활동을 벌이던 크메르 루주와도 전쟁을 이어갔습니다. 이런 상황에 반발해 중국이 베트남을 침공하며 중월전쟁이 벌어지기도 했지만, 베트남은 중국에 사실상 승리하고 캄보디아 주둔을 계속했죠.


한때 태국 국경지대까지 침범한 베트남은 국제사회 비난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베트남이 캄보디아에 주둔하며 세운 "캄푸치아 인민공화국"은 소련을 비롯한 몇몇 국가를 제외하면 국가로 승인을 받지 못했습니다. 오히려 캄보디아의 국왕이었던 시아누크와 크메르 루주를 포함한 여러 세력이 연합해 "민주 캄푸치아 연합정부"를 만들었고, 이 정부가 국제사회에서는 공식적인 승인을 받았습니다. 베트남과 적대하고 있던 미국과 중국이 모두 민주 캄푸치아 연합정부를 지지했죠. 사실상 국토가 없는 망명정부임에도 UN에 의석까지 가지고 있었습니다.
 
a

버스 차창에 붙은 베트남-캄보디아 국경 통행증 ⓒ Widerstand

 
영토가 없는 합법 정부와, 영토를 점유하고 있는 괴뢰 정부 사이에 이어진 갈등은 오랜 기간 계속됐습니다. 베트남은 캄보디아에 계속해서 진주하며 반군 진압을 계속했죠. 베트남이 캄보디아에서 철군하는 것은 베트남이 도이머이 정책을 채택하고, 국제사회와의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하게 된 이후입니다.

베트남은 1988년부터 군대 철수를 시작했고, '민주 캄푸치아 연합정부'와도 평화협정을 시작했습니다. 1991년 양측은 UN 감시 하에 총선을 치르기로 합의했고, 1992년 UN 캄보디아 신탁통치 기구가 만들어져 1993년에 총선에 치러졌습니다. 그제서야 캄보디아의 긴 전쟁의 역사는 끝이 났습니다.

1993년 총선에서는 시아누크 국왕의 아들인 노로돔 라나리드와, 베트남 지배 시절 총리였던 훈센이 맞붙었습니다. 선거에서는 노로돔 라나리드가 승리했지만, 협상 끝에 노로돔 라나리드가 제1총리를, 훈센이 제2총리를 맡는 연정이 수립됩니다. 곧 헌법이 제정되고 캄보디아 왕국이 재건되죠. 하지만 1997년 훈센은 라나리드를 축출하고 권력을 장악했습니다. 아시다시피, 그 정권은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죠.
 
a

프놈펜 야경 ⓒ Widerstand

 
많은 과제 남긴 캄보디아의 현대사 

캄보디아-베트남 우정 기념탑에는 이런 문구가 새겨져 있습니다.
 
 "60-70년대 베트남의 통일 과정에서 희생된 캄보디아인과, 70-80년대 민주 캄푸치아의 학살로부터 캄보디아인을 해방하는 과정에서 희생된 베트남군과 베트남인을 기억하며."

언급했듯 이 기념탑은 베트남이 캄보디아에 주둔하던 1970년대 말에 건설된 것입니다. 이 탑에 새겨져 있는 것처럼, 베트남과 캄보디아의 현대사는 서로에게 많은 희생과 상처를 남겼습니다. 어떻게 생각하면 이 탑이 프놈펜 중심에 여전히 서 있을 수 있다는 사실 자체가, 그 흔적이 아직 완전히 치유되지 않았다는 상징일 수도 있습니다.
 
a

메콩 강변의 캄보디아 국기 ⓒ Widerstand


캄보디아의 현대사는 많은 과제를 남기는 현장입니다. 그 어느 것도 선악으로 분명히 구분될 수 없는 공간이지요. 베트남은 해방군이지만 한편 점령군이었습니다. 크메르 루주는 끔찍한 학살자였지만, 그들조차 국제사회에서 합법성을 인정한 민주 캄푸치아 연합정부의 핵심적 일원이었습니다.

언젠가 시간이 흐르고 나면, 그 복잡한 선악의 구분은 메콩 강의 물길처럼 뒤섞이고 흩어져 사라질 날이 올 지도 모른다고 생각합니다. 무엇이 선이고 무엇이 악이었는지 굳이 애써 구분하지 않고 잊어버릴 수 있는 세대가 올 수도 있겠죠. 하지만 오히려 그렇기 때문에, 더 구체적이고 분명한 역사의 평가가 너무 시간이 흐르기 전에 필요한 것은 아닐지 저는 생각합니다. 역사의 흔적이 너무 큰 상처가 되어 지워질 수 없는 흉터가 되기까지, 남은 시간이 그리 길지 않습니다.
덧붙이는 글 본 기사는 개인 블로그, <기록되지 못한 이들을 위한 기억, 채널 비더슈탄트>에 동시 게재됩니다.
#세계일주 #캄보디아 #프놈펜 #인도차이나전쟁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기록되지 않은 이들을 위한 기억, 채널 비더슈탄트입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특혜 의심' 해병대 전 사단장, 사령관으로 영전하나
  2. 2 "윤 대통령, 달라지지 않을 것... 한동훈은 곧 돌아온다"
  3. 3 왜 유독 부산·경남 1위 예측 조사, 안 맞았나
  4. 4 '파란 점퍼' 바꿔 입은 정치인들의 '처참한' 성적표
  5. 5 창녀에서 루이15세의 여자가 된 여인... 끝은 잔혹했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