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듣기

김동연 지사 "난방비 폭탄에 전 정부 탓만 하는 윤석열"

경기도, 난방 취약계층 긴급 지원대책 시행... 200억 원 투입해 장애인 등 난방비 지원

등록 2023.01.26 16:54수정 2023.01.26 18:39
13
원고료로 응원
a

김동연 경기도지사 ⓒ 경기도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26일 이른바 '난방비 폭탄'과 관련 "국민들이 시베리아 한파에 전전긍긍할 동안 정부는 대체 뭘 하고 있었느냐"고 맹비판했다. 김동연 지사는 이날 SNS를 통해 이같이 말하고, "난방비 폭탄이 떨어져도 전 정부 탓만 하는 윤석열 정부가 큰 걱정"이라고 지적했다.

김 지사는 특히 "경기도는 난방 취약계층인 노인, 장애인, 노숙자에게 난방비를 집중적으로 지원하겠다"며 200억 원을 투입해 '난방 취약계층 긴급 지원대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노인가구, 장애인 가구, 노숙인 시설, 한파 쉼터, 지역아동센터 대상 난방비 지원

김동연 지사는 이날 SNS에 올린 '민생에 떨어진 폭탄, 남 탓하기 바쁜 정부'라는 제목의 글에서 최강 한파에 난방비 폭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취약계층에 대한 정부 대책의 문제점을 비판했다.

김 지사는 "난방비 폭탄이 떨어졌다. 국민들은 추위가 아니라 난방비에 떨고 있다"며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 충격이었다. 그러나 서민과 취약계층을 보호해야 할 정부는 과거와 싸우느라 여념이 없다"고 지적했다. 집권당인 국민의힘은 난방비 폭등을 이전 정권인 문재인 정부 탓으로 돌리고 있다.

김 지사는 "난방비보다 더 큰 물가 폭탄이 오고, 한파보다 더 매서운 경기침체가 닥쳐오고 있다"며 "난방비 폭탄이 떨어져도 전 정부 탓만 하는 윤석열 정부가 큰 걱정"이라고 성토했다.
 
a

국적으로 한파가 불어닥치며 난방비 부담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25일 오후 서울 시내 한 30평대 아파트 우편함에 관리비 고지서가 꽂혀 있다. 난방비에 해당하는 도시가스 요금과 열 요금이 최근 1년 동안 각각 38.4%, 37.8% 오른 한편, 전기료도 올해 1분기에만 13.1원 급등하며 42년 만에 최고 인상 폭을 기록하는 등 공공요금이 일제히 올라 관리비 부담 증가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 연합뉴스

 
그러면서 김 지사는 취약계층 보호를 위한 경기도의 '난방 취약계층 긴급 지원대책' 시행 소식을 전했다. 이번 대책의 주요 내용은 ▲노인가구 ▲장애인 가구 ▲노숙인 시설 ▲한파 쉼터(경로당) ▲지역아동센터 등에 대한 난방비 지원이다. 지원대책에는 예비비와 재해구호기금 등을 활용한 도비 전액 200억 원이 투입된다.

우선 기존 월 5만 원의 난방비 지원대책을 확대해 기초생활수급 65세 이상 노인 6만 4천528가구, 기초생활수급 중증장애인 2만 979가구에 1~2월 총 20만 원의 난방비를 지원한다. 경기도 내 노숙인 이용‧생활시설 18개소, 한파 쉼터로 쓰이는 도내 경로당 5천421개소, 지역아동센터 786개소에도 1~2월 난방비 40만 원을 각각 지원한다.


경기도는 이번 대책을 통해 도민 총 43만 5천564명, 시설 6천225개소가 난방비 지원 혜택을 볼 것으로 분석했다. 난방비 지급은 오는 30일 이후 대상자 계좌를 통해 지급된다.
  
이와 함께 경기도는 긴급복지 위기 상담 핫라인(010-4419-7722), 긴급복지 전용 콜센터(031-120)를 지속 운영하면서 난방 위기 사각지대 발굴·지원 연계도 이어간다.

김동연 지사는 "남 탓하지 않고 도민의 삶만 바라보겠다"면서 "한파와 난방비 폭탄으로 건강과 생존을 위협받는 도민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동연 #경기도지사 #윤석열 #난방비폭등 #난방비폭탄
댓글13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사실 너머의 진실을 보겠습니다. <오마이뉴스> 선임기자(지방자치팀)

AD

AD

AD

인기기사

  1. 1 검찰 급했나...'휴대폰 통째 저장', 엉터리 보도자료 배포
  2. 2 재판부 질문에 당황한 군인...해병대 수사외압 사건의 퍼즐
  3. 3 [단독] 윤석열 장모 "100억 잔고증명 위조, 또 있다" 법정 증언
  4. 4 "명품백 가짜" "파 뿌리 875원" 이수정님 왜 이러세요
  5. 5 '휴대폰 통째 저장' 논란... 2시간도 못간 검찰 해명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