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탈과 나산책할 때 옷차림의 나.
이선민
물론 내가 무엇을 입고 어떤 위치에 있든 그들은 내게 조금 더 친절했어야 했다. 하지만 손뼉도 마주쳐야 소리가 난다고 나도 어지간히 추레하게 하고 다녔다. 그래서 요즘 나는 어디 가서 면전에서 홀대받지 않을 만큼, 딱 그만큼은 차려입고 다닌다.
희한한 건 누가 나를 홀대하고 무시하는 건 그 사람이 날 몰라서 그러는 거니까 화가 하나도 안 난다. 그런데 누가 우리 개 복주, 그러니까 진도믹스 누렁이를 무시하면 그렇게 화가 난다. 요즘 친구들 말을 빌리자면 '발작 버튼'이 제대로 눌린다고나 할까.
우연찮게 시베리안허스키라는 품종견인 해탈이랑 진도믹스인 복주를 같이 키우다 보니 누렁이에 대한 사람들의 차별과 편견을 더 절절하게 느끼는 것 같다. 정말 산책 중 만나는 열에 아홉은 품종견인 해탈이한테 호감을 보이기 때문이다. 물론 복주는 아무나 따르지 않고, 해탈이는 본래 애교도 많고 사람 좋아해서 그런다는 걸 안다. 하지만 나는 이런 상황에 놓일 때마다 곁에서 해탈이가 예쁨 받는 걸 보는 복주가 노상 맘에 걸려 죽겠다.
뿐만 아니다. 복주는 서울의 한 애견카페에서 단지 진도믹스라는 이유로 입장을 거부당한 적이 있다. 또 용인의 한 애견 펜션에서는 복주의 품종을 묻더니 넓고 깨끗한 메인룸은 다 제쳐두고 공사 중인 맨 뒷방을 배정했다. 그뿐인가? 펜션 사장은 그곳에 머무는 내내 불쾌할 정도로 복주를 경계했다. 마치 전과자를 보듯이 말이다.
진도믹스에 대한 이들의 적개심을 모르는 건 아니다. 시골에서 보던 복주 같은 친구들은 대부분 사나운 이미지였다. 그런데 말이다, 상황이 그 지경이면 나 같아도 짖는다. 하릴없이 일 미터 목줄에 묶여 바깥만 보고 있는데 개가 허공에 대고 컹컹 짖는 것 빼고 할 수 있는 게 또 뭐가 있으려고. 그러니 다들 짖었을 테고, 그런 짖는 개를 보고 사람들은 진돗개는 사납다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세상이 변했다. 요즘 도심에서 산책하는 진돗개들은 전혀 그렇지 않다. 대부분 안정된 환경에서 보호자와 교감하며 지낸다. 우리 복주도 그렇고 복주 친구들도 전부 마찬가지다. 하지만 사람들은 여전히 진도믹스를 보면 겉모습만 보고 무조건 경계한다.
네발 달린 짐승도 함부로 차별하지 않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