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 최근 제주시 서부지역에서 진행한 대규모 아파트 청약에서 역대급 미달 사태가 빚어져 건설업계가 파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 제주의소리
부동산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으면서 호황기를 누린 제주지역 건설업계에 미분양 사태가 본격화 되고 있다. 매수 심리까지 꺾이면서 향후 분양 시장도 녹록치 않을 전망이다.
19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최근 제주시 서부지역에서 진행한 대규모 아파트 청약에서 역대급 미달 사태가 빚어져 건설업계가 파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제주시 애월읍 일주서로 위치한 해당 아파트는 지하 2층, 지상 8층, 17개동, 425세대다. 근래 보기 힘든 대단지 아파트가 등장하면서 관심을 끌었다.
시행사는 대대적인 홍보를 거쳐 7월3~4일 청약 접수를 마쳤지만 결과는 참패였다. 2순위까지 이어진 접수에도 불구하고 70%가 넘는 310세대에서 미분양의 굴욕을 맛보게 됐다.
주력 세대인 전용면적 84.9㎡ 357세대에서 284세대의 미분양이 쏟아져 나왔다. 시행사측은 10일 당첨자 발표를 했지만 24일부터 진행되는 계약에서 전량 매매로 이뤄질지도 미지수다.
업계에서는 고분양가를 미달 사태의 원인으로 지목하고 있다. 해당 아파트의 84.9㎡ 분양가는 A타입이 8억 9020만 원, B타입이 8억 9110만 원이다. 122.3㎡는 무려 13억 4300만 원이다.
이마저 추가 비용을 제외한 금액이다. 시행사가 제시한 발코니 확장비용 2540만 원(84.9㎡ 기준)을 포함하면 실제 분양가는 A타입 9억 1560만 원, B타입은 9억 1650만 원이다.
부동산 업계는 이번 사태가 향후 신축 아파트 분양가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매수 심리가 떨어지면서 고분양가에 대한 악성 미분양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서귀포시 영어교육도시 인근의 모 아파트의 경우 503세대 공급 청약에 345세대가 접수하면서 역시 미달 사태를 겪었다. 현재도 잔여세대 분양이 한창이다.
a
▲ 최근 제주시 서부지역에서 진행한 대규모 아파트 청약에서 역대급 미달 사태가 빚어져 건설업계가 파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 제주의소리
제주시 서부지역의 공공임대주택의 경우 분양 전환 물량 5세대 매각이 3차례나 진행됐지만 응찰자가 없었다. 전용면적 84㎡ 기준 분양가는 4억 3700만 원에서 4억 9250만 원 사이다.
서둘러 물량을 처분하기 위해 제주 밖 전국 공모까지 진행했지만 결과는 달라지지 않았다. 이에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하반기 중 재감정을 통해 분양가를 낮추기로 했다.
제주는 분양가 상승과 경기침체가 맞물리면서 미분양 물량이 좀처럼 떨어지지 않고 있다. 지난해 5월 1000세대를 넘어선 이후 1년만인 올해 5월 갑절인 1961세대로 치솟았다.
악성 미분양까지 늘면서 민간아파트 신규 분양도 급감했다.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신규 분양은 100세대 그쳤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1252세대의 8%에 불과한 수준이다.
그럼에도 분양가는 굳건한 흐름이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민간아파트 분양가격 동향'에 따르면 5월 기준 제주 아파트 평균 분양가는 3.3㎡ 당 2374만 원이다.
이는 전국 평균 1613만 원 비교해 3.3㎡당 761만 원 높은 수준이다. 전국 17개 시·도간 비교에서도 서울(3106만 원)을 제외하고 가장 높다. 경기와 인천마저 뛰어넘었다.
건설업계는 부지 매입비와 건설비 상승을 이유로 내걸고 있지만 고분양가에 대한 투자 심리가 반영되면서 향후 미분양 사태에 대한 우려는 커지고 있다.
이에 민간특례로 추진되는 오등봉공원과 중부공원, 민간임대주택 공급촉진지구로 계획된 동부공원의 대단지 아파트도 분양가 산정을 두고 시행사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미분양 사태가 시행사와 시공사 입장에서는 직격탄이 될 것"이라며 "향후 공급 물량은 미분양 사태를 피하기 위한 적정 분양가 산정에 사활을 걸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