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도농상생 공공급식 강제개편 반대 공동대책위원회 포스터.
은평시민신문
도농상생 공공급식 사업 강제개편을 두고 시민사회단체 및 전문가, 도농상생 공공급식 사업 주체 등은 '서울시 도농상생 공공급식 강제개편 반대 공동대책위원회'(이하 공대위)를 꾸리고 반대 목소리를 냈다.
▲친환경유통센터의 어린이집 식재료 공급 경험 부족 ▲사업 개편에 따른 친환경농산물 공급 비율 저하 ▲공급품목 중 가공식품 배제로 인한 품목 축소, 가공식품 별도 구매에 따른 이용시설 불편 가중 ▲공급 대상 축소(현행 : 어린이집·지역아동센터·복지회관 등, 개편안 : 어린이집) ▲가공식품 공급기준 미비 등을 이유로 들었다.
공대위는 "서울시 친환경유통센터가 많게는 40여 개소의 유치원에 식재료를 공급한 경험 외에 어린이집 식재료 공급 경험이 부족한 점, 학교급식과 달리 비대면 공급이 주로 이뤄지는 어린이집에 현재의 직영 배송체계가 아닌 '업체 위탁배송'이 이뤄지는 방향으로 바뀌는 점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또 도농상생 공공급식 체제에서는 공공급식을 신청할 수 있었던 지역아동센터와 사회복지시설은 친환경유통센터를 신규로 이용할 수 없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했다.
서울시는 지역아동센터와 복지시설과 관련해 "현재 시점에서는 포함되지 않는다"면서 "기존에 이용했던 시설들이 계속 친환경 식재료를 이용하고 싶다면 자치구와 협의해 이용할 수 있게 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은평시민신문은 은평의 시민들이 함께 만들어가는 풀뿌리 지역언론입니다. 시민의 알권리와 지역의 정론지라는 본연의 언론사명을 지키고 실현하기 위해 정확하고 공정한 보도로 진실을 추구하며 참다운 지방자치와 풀뿌리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공유하기
자치구에서 하던 어린이집 급식, 서울시가 통합운영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