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회견 참가자들이 방사능으로 부터 안전급식을 지켜내는 퍼포먼스를 벌이고 있다.
진보당 성동광진구위원회
이날 기자회견에서는 핵오염수 방류 이후 학교 급식현장의 생생한 상황도 전해졌다. 성동구 관내 학교에서 급식 모니터링단 활동 중인 학부모 A씨는 학교급식 모니터링 중 건다시마에서 방사능 측정 경보음이 울린 사연을 익명으로 전했다. 해당 식자재는 정밀 검사 후 '문제없음'으로 판명났지만, 이 과정에서 뚜렷한 문제점이 발견되었다는 것.
A씨는 ▲방사능 측정기의 정확도가 높지 않다는 점, ▲방사능 기준치에 대한 설명이나 이를 처리하는 매뉴얼이 없다는 점, ▲식자재업체 방사능 검사 결과지 보관이 의무가 아닌 점 등을 들며 이에 맞게 조례 내용을 강화해야 한다고 전했다. A씨는 "(성동구가) 선제적으로 방사능 측정기를 구입하고 안전하고 깨끗한 친환경 급식을 위해 애써 왔다는 사실을 잘 안다"고 감사를 전하는 한편, 상황이 심각한 만큼 조금 더 책임감을 가지고 촘촘한 방책을 세워 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끝으로 강병찬 진보당 성동광진구 공동위원장은 1166명 주민을 대표해 성동구의회에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 공공기관, 병원 급식 재료 방사능 정기 정밀검사 실시 ▲방사성 물질 기준치 이상 검출 시, 해당 식자재 즉시 공급 중단 ▲방사능 검사 내용, 수치까지 상세 공개 ▲학부모 주민이 참여하는 방사능 안전 급식위원회 설치 등을 요구했다.
강병찬 공동위원장은 기자회견 후 성동구의회 사무국에 서명을 제출하며 "주민의 간절한 바람이 반영될 수 있도록 힘써 달라" 강조했다. 앞서 김현주 성동구의회 의장은 지난해 12월 20일 진보당 성동광진구위원회 강병찬 공동위원장과의 면담에서 "취지에 공감하고 내용을 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성동구의회 다음 임시회기는 오는 2월 20일부터 시작된다. 3월 새 학기 이전 주민들의 목소리가 담긴 새로운 안전급식 조례가 결정될 수 있을지 기대된다.

▲강병찬 공동위원장과 지역주민들이 성동구의회 사무국에 조례개정 촉구 서명 명단을 전달하고 있다.
진보당 성동광진구위원회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공유하기
"제대로 된 '방사능 없는 안전급식' 조례가 필요하다"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