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태원참사 특별법에 대한 재의요구안이 30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가운데, 청사 정문에서 대통령 거부권 반대와 특별법 즉각 공포를 요구하던 한 유가족이 고개를 떨구며 눈물을 흘리고 있다.
권우성
김태년 의원은 정부의 배·보상 언급을 두고 "정말 용서할 수 없는 것은 유가족과 생존자들의 슬픔을 돈으로 위로하겠다는 천박한 인식이다. 국민에 대한 모욕이자 인정머리라곤 없는 패륜"이라고 혹평했다. 이용우 의원 역시 "피해자와 유가족들의 실질적 회복을 위해 필요한 것이 이태원 참사 특별법인데 이를 반목과 갈등, 정쟁을 불러일으키는 위헌적 법률안이라고 주장하면서 어떤 지원을 하겠다는 것인가"라고 따졌다.
용혜인 기본소득당 의원은 "유가족 한 번 만나지 않고 거부권을 행사하고, 진상규명이 끝났다 선언하고, 배·보상과 지원책을 운운한다"고 성토했다. 그는 "심지어 대통령은 왜 거부권을 행사하는지조차 스스로 밝히지 않았다"며 "유가족이 찬 날씨에 정부 청사 앞에서 목놓아 울고있는 동안 대통령은 희고 깨끗한 스튜디오에서 '민생'을 이야기하고 있었다. 결국 대통령이길 포기한 대통령에게 '인면수심'이라는 네 글자 말고는 드릴 말이 없다"고 했다.
강은미 정의당 원내대변인은 "윤 대통령에게 보듬고 지켜야 할 국민은 정녕 김건희 여사와 장모뿐인가"라는 질문을 던졌다. 그는 "이태원 참사 특별법을 거부한 윤 대통령이 바로 이태원 참사를 발생시키고, 은폐·축소시킨 공범"이라며 "윤 대통령은 모교에 기부하는 것이 버킷리스트였던, 스타일리스트를 꿈꾸던, 미국 회계사 자격을 따고 첫 출근에 설레던 159명의 꿈들을, 유족들의 일상을 무참히 짓밟았다"고 비판했다.
국민의힘은 "불가피한 선택"이라며 두둔했다. 정희용 원내대변인은 논평에서 "재탕·삼탕 기획조사의 우려", "세금먹는 일자리 특별법"이라는 표현을 써가며 "이렇게 무리한 법안을 밀어붙이는 것은 대통령에게 의도적으로 재의요구권을 행사하도록 유도하여 이를 총선용으로 활용하겠다는 것"이라고 했다. 또 "국민의힘은 독소조항을 제거하는 재협상을 제안한 바 있다"며 "지금이라도 재난의 정쟁화를 멈추고 협상안을 만드는 데 야당이 적극적으로 나서줄 것을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관련 기사]
윤 대통령 이태원 참사 특별법에 거부권 https://omn.kr/279k2
"피해지원" 정부 일방 발표에 이태원 유가족 "한줌의 진정성도 없다" https://omn.kr/279cf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댓글
공유하기
이태원 특별법 거부한 대통령, 최다 거부권 기록 또 깼다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