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학생회관 식당 3곳의 배식구에서는 11시부터 2시까지 쉬지 않고 배식이 이루어진다. 한 코너에서 3~4명이 일하는데 많을 때는 1600식이 나가기도 한다.
함께노동
조리부터 설비, 화장실 청소까지 '모두 다' 해야 하는 배식 노동자
- 배식과 퇴식으로 일이 나뉘는 것 같은데, 그 이외에도 하시는 일들이 있나요?
"출근하면 재료 손질부터 시작하죠. 조리사분들이 따로 있지만, 우리가 원래 맡은 업무가 아니어도 도와줘야 해요."
"저는 심지어 호스도 고치고 설비도 다 해요. 설비팀이 따로 없고, 설비팀 채용을 요청해도 안 해줘요. 사무처에 수리를 요청해도 안 되고, 어떻게든 해야 하니 직접 고치기도 해요."
- 각자 정해진 업무가 있는데, 자기 맡은 일만 하면 안 되는 분위기인가요?
"여기 생협 직원들은 모두 다 해야 한다고 배워요. 어느 자리를 가든 다 할 줄 알아야 하구요. 다른 업체로 이직하면 서울대 생협 출신은 면접도 안 본다고 그래요. 그 정도로 이름나 있어요."
"예전에는 화장실 청소도 우리가 직접 다 했어요. 노조에서 이의제기해서 몇 년 전에 겨우 (안 하는 걸로) 바뀐 거예요."
"진짜 내 일만 하면 과연 어떻게 될까. 지금 상상을 한 번 해봤어요. 그러면 절대 배식 시간에 맞춰서 할 수 없어요."
저희끼리는 그래요. 누구 한 명 다쳐야 고쳐주지.
- 인원이 부족한 것 말고는 힘든 점은 없나요?
"일하다 보면 위험한 부분들이 눈에 보여요. 저희끼리 우스갯소리로 '누구 하나 다쳐야 고쳐주지 절대 그냥 안 고쳐 준다' 해요. 진짜로 다치면 우리가 부주의해서 그렇다고 하죠."
"그나마 다치면 산재 처리라도 해주는데, 저희는 직업병이 90%인데 이건 산재 처리도 어려워요."
- 각자 경험하신 직업병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허리, 손목, 팔에 염좌는 다들 기본이에요. 한 번은 뚝배기를 3200번 옮긴 적이 있어요. 오른손을 반복해서 많이 쓰니, 저는 젓가락질이 안 돼서 포크로 식사해요. 다들 스테로이드 주사를 1년에 2번 정도는 맞아야 일을 할 수 있어요."
"무릎 아래까지 오는 무거운 앞치마를 걸치니, 걸음 폭이 좁아 무릎이 아프고, 바닥이 미끄럽고 바쁘다 보니 넘어지기가 쉬워요."
"늘 시끄러운 곳에서 일하고 큰 소리로 대화하다 보니 난청도 있어요. TV 볼륨을 보통 10 정도로 듣는데, 저는 30 이상으로 해야 들려요."
"늘 열기 속에 있어 한여름에 피부가 헐고, 사타구니랑 겨드랑이는 짓무르기도 해요. 솥단지, 튀김기가 3~4개씩 끓고 있어서 열기와 습도가 어마어마하거든요. 마스크 쓰면 질식할 것 같고, 설거지 세제가 독해서 얼굴에 튀고 트러블이 생기기도 하고요."
- 일하다가 아픈데 산재를 신청하지 않으시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일하다 아프다는 걸 우리가 직접 밝혀야 하는 게 어려워요. 시간, 비용, 스트레스가 있다 보니 그냥 개인 병가로 두 달 정도 쉬는 게 나아요."
"우리가 나이 먹어서 퇴행성 질환이라고, 그래서 산재가 어렵다고 하더라고요. 우리가 다른 데서 나이 먹은 게 아니라, 20년 넘게 여기서 일하면서 나이 먹은 거잖아요. 이걸 일하다 아픈 거라고 입증해야 한다니, 그게 너무 어렵네요."
서울대 생협이라고 하면, '소개해 주고 싶은 직장'이 되는 것이 소원이에요.
-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 한마디씩 부탁드립니다.
"2019년도에 저희가 노동조합과 함께 크게 투쟁하고 나서 많은 것이 바뀌었다고 해요. 그래도 아직 외부 업체에 비해 근무 환경은 갈 길이 멀었죠"
"저희야 이제 곧 정년이라 상관없지만, 앞으로 다닐 사람들이 좀 더 나은 환경에서 일했으면 좋겠어요. 서울대 생협이라고 하면 거기 괜찮은 직장이지 하고 바로 가고 싶을 정도로요. 지금은 주변 사람에게 소개해 주면 욕 먹을까 봐 소개도 못 해요."
뜨겁고 숨막히는... '서울대 노동자의 여름'은 계속되는가
밥 짓는 노동에 마음을 담아 학생들에게 퍼주는 밥 한 그릇. 노동의 가치와 따뜻한 마음이 '밥심'을 만들어낸다. 밥심을 만드는 위대한 노동을 하는 이들이 바라는 것은 그 노동의 가치와 노동강도에 비해 너무나 소박했다. 연차를 '미안해하지 않으면서' 쓸 수 있는 것, '다치기 전에' 시설이 정비되는 것, 자기가 '맡은 일'을 열심히 하면 되는 것. 자신의 직장이 '소개해주고 싶은' 직장이 되는 것.

▲서울대 생협 노동자들의 피켓 시위 대학노조 서울대지부 조합원들이 적정 인력 충원을 요구하고 있다.
대학노조 서울대지부
서울대 생협 노동자들은 열악한 노동 환경에서 폭염 속 숨막히는 열기와도 싸워야 한다. 2021년 서울대에서는 청소 노동자가 일하다 숨지는 일이 있었다. 다치기 전에, 아프기 전에, 예고된 고통을 막는 것은 크게 어려운 일이 아닐 것이다. 서울대학교가 추구하는 '진리의 빛'은 노동에도 비춰야 한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댓글13
법무법인 오월 공인노무사.
일하는 사람들의 희망, <함께노동(준)>에서 활동합니다.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