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2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남소연
다만 그는 국민의힘 당헌·당규상 정책위의장의 경우 당대표가 임면권을 가진 당직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했다. 정 정책위의장은 "당헌상으로 당대표는 정책위의장에 대한 면직권을 가지고 있지 않다"며 "정책위는 원내기구이고 당 기구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의원들도 당헌과 배치되는 이런 주장에 따라 물러나선 안 된다는 말씀을 많이 해 제가 고민을 많이 했다"면서 "결국 당원들, 의원들께서 원하는 건 당의 화합과 지방선거, 대선 승리 아니겠느냐는 점을 고려해 원내대표와 의견을 교환해 사퇴를 결심하게 됐다"고 밝혔다.
"유임하더라도 당과 화합할 수 있다는 의견도 있는데"라는 질문에도 "저 역시 그런 생각에 전적으로 동의한다"고 답했다. 그는 "그렇지만 이게 전 국민의 관심사가 되고 주요 언론에서 계속 이 부분을 가지고 다루다 보니, 계속 고민하거나 유임하는 게 결국은 당의 화합을 저해하는 결과로 갈 것에 대한 걱정이 있었다"라며 "결국 당 분열을 막기 위해서는 제가 사퇴하는 게 맞겠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고 강조했다.
'친윤계' 정점식 정책위의장이 물러나면서 앞으로 한동훈 대표의 당 장악력은 한층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그간 한 대표의 당직 인선을 놓고 정책위의장 자리가 뜨거운 논란을 일으킨 이유는 당 지도부 내 역학 관계 때문이다.
국민의힘 최고위원회는 한 대표를 비롯해 당연직인 원내대표와 정책위의장, 선출직 최고위원 5인과 지명직 최고위원 1명으로 구성된다. 현 역학구도상 한 대표가 친윤계인 정 의장을 친한계 인사로 바꿀 경우 과반인 5명의 우호 세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010-9403-7847 / tjsgp7847@naver.com
공유하기
버티던 '친윤' 정점식 사퇴 "대통령실과 협의, 전혀 없었다"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