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023년 8월 25일, 국가물관리기본계획의 졸속 변경에 항의하는 보철거시민행동
보철거시민행동
환경부는 5차 감사결과를 받아들고 곧바로 보 존치를 선언하고 국가물관리기본계획 자체를 바꿔버린다. 국가물관리위원회는 2023년 8월 25일, 국가물관리기본계획 변경을 위한 공청회가 취소된 지 1주일 만인 9월 5일 공청회를 다시 개최했다. 이 과정에서 항의하는 환경 활동가들을 연행하고 구속 영장까지 청구했다. 초유의 일이다.
누차 강조하지만 국가물관리기본계획에서 '자연성 회복'이라는 말을 삭제하겠다는 변경안은 우리나라 물관리 목표를 전 지구적 흐름과 정반대로 수량 중심의 이수·치수 관점으로만 삼겠다는 선언이다. 일찌감치 산업화 시기를 거친 선진국들은 인공 구조물을 걷어내고 하천의 자연성 복원에 열중하고 있다. 영국 템스강과 프랑스 센강은 기존의 둔치를 없애고 모래톱을 되살리는 재자연화와 수질 개선에 중심을 둔 자연성 회복에 몰두하고 있다. 독일, 미국 등도 댐과 같은 인공 구조물을 없애는 것이 지금의 추세다.
보수 정권에서도 하천의 자연성 회복과 수질, 수생태계 보전으로의 물관리 정책 전환은 분명한 추세였다. 그에 발맞춰 국토부와 환경부로 이원화되어 있던 물관리 정책 권한을 수십 년간의 숙의 끝에 환경부로 일원화한 것이다. 또 역간척과 하굿둑 개방은 연구과제가 아니라 실행단계에 와 있다. 그런데 윤석열 정부는 정책의 일관성 없이 곡학아세하는 전문가들을 앞세워 시대적 과제를 져버리고 오로지 문재인 정부 지우기에만 몰두하고 있다. 급기야 최근 신규 댐 14곳 후보지를 환경부가 발표하기에 이르렀다.
야당, 윤석열 정부의 무도함 따져 물어야
윤석열 정부는 정권 초기부터 민주주의의 기본인 삼권 분립을 무시하고 행정부의 독주로 국정을 운영해 오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국회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행정부의 거수기로 전락한 여당을 제외하고 야당들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따라 역진의 정도가 결정된다.
먼저 물관리 정책 정상화를 위한 범야권 특별위원회를 구성해야 한다. 필요하다면 청문회를 통해 국민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사안의 심각성을 알릴 수도 있다. 그리고 국정감사 과정에서 정책의 무모함과 불합리함을 논리적으로 따져 물어야 한다.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닐 것이다. 하기야 물 분야 말고도 역진과 반동이 아닌 것을 찾기가 어려운 시절 아닌가. 하지만 누구 말마따나 사과나무는 심어야 하고 소는 키워야 한다. 물 정책에서 문재인 정부에서 매조지 못한 책임을 우리 모두가 가져야 할 때다.
[관련기사]
[기획①] 윤석열의 '4대강 폭주', MB보다 심하다(https://omn.kr/29pkr)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댓글9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