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애청이 국가보안법 폐지 시민행진을 진행했다
김태중
박민주 자주통일평화연대 국장은 대북전단 등으로 접경지역 긴장이 고조되는 상황과 소위 '북한 파병설'을 근거로 우크라이나에 살상무기와 파병 등을 논의하는 윤석열 정권에 대해 "정권이 북한을 반국가단체로 규정하고 적대정책으로만 일관해 평화를 해치는 기저에는 국가보안법이 존재한다"고 목소리 높였다. 그러면서 "국가보안법이 계속 유지되는 한 전쟁위기는 계속되고 이 땅에 남북화해와 평화가 찾아오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대회 중간에는 이산하 시인의 연작 시 <한라산> 중 '빨갱이 사냥'이 낭송되기도 했다. 제주 4.3사건을 알린 연작 시인 <한라산> 게재로 이산하 시인은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처벌받은 이력이 있었는데 지난 9월 6일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는 이 과정에서 가혹행위 등 인권침해 사실이 있었음을 인정하며 국가의 사과와 피해자 명예회복 조치를 권고하기도 했다.
마지막 발언으로 민애청 김현빈 회원은 "지난 2월 통일부는 '자유의 북진정책'이라는 흡수통일안을 내놓았고 윤 대통령은 8.15 경축사를 통해 '통일 독트린'이라는 사실상 흡수통일론을 제시했다"며 이는 76년 전 북한을 반국가단체로 규정한 국가보안법적 사고에서 한 발자국도 나가지 못한 구시대적인 발상이라고 규탄했다. 또 흡수통일론의 끝에는 전쟁만 있을 뿐이며 평범한 사람들의 평화를 위해 상호인정과 남북화해를 통한 평화 정착을 주장했다.
민애청은 '제정 76년, 국가보안법이 없어야 평화다'라는 제목의 성명을 통해 "최소 200일이 넘는 한미, 한미일 전쟁연습과 정부의 흡수통일론이 지금의 남북관계 파탄을 가져왔다"며 국가보안법 폐지로 평화로운 한반도를 만들어야 한다고 입장을 냈다. 또 "20프로가 무너진 지지율은 민중들의 참담한 현실과 사대매국외교의 반영"이라며 정부가 정권을 지키기 위해 '공산전체주의'니 '반국가세력'이니 하는 반공주의 확산과 공안탄압에만 열을 올리고 있다고 규탄했다. 또 청년들과 시민들과 함께 국가보안법 폐지에 나설 것을 결의했다.

▲민애청이 국가보안법 폐지 시민행진을 진행했다
김태중

▲민애청이 국가보안법 폐지 시민행진을 진행했다
김태중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을 바라는 청년입니다. 민족통일애국청년회 사무국장 입니다.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