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뒤 국회가 비상계엄 해제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수많은 시민들이 국회의사당 인근에 모인 가운데 한 시민이 "비상계엄 중단하라"라고 적힌 종이를 들고 있다.
권우성
한강이 노벨문학상을 받은 해, 윤석열이 비상계엄을 선포했다. <소년이 온다>가 세계의 지표가 된 시대에, 민주공화국의 대통령이 쿠데타를 시도했다.
하지만 민주공화국의 시민은 힘이 셌다. 군인과 장갑차를 눈으로 보고도 국회로 향했다. 대통령의 입과 계엄군의 포고령에서 독재의 언어가 아득바득 기어 나오던 중에도 민의의 전당으로 향했다. 국회 앞에 모여 한 손에 카메라를 들었다. 또 주먹을 쥐었다. 그곳에 가지 못했더라도 휴대폰을 손에 쥔 채 분노와 연대를 공유했다. 그 손들이 총을 압도했다.
국회가 움직였다. 국회 문이 막혔고, 국회의원이 국회 담을 넘어야 했다. 담을 넘으려는 의원에게 시민들이 등과 무릎을 기꺼이 내줬다. 190명이 모였다. 헌법기관 190개가 '지금 이게 맞는지' 대통령에게 물었다. 정당성을 잃은, 아니 애초에 그런 거라곤 없었던 공권력이 문(門)을 막았을지언정, 문(問)을 막진 못했다.
민주공화국은 힘이 셌다. 1980년 5월 17일~1981년 1월 24일. 비상계엄 전국 확대가 9개월간 지속됐던 데 반해, 44년 후인 오늘 암흑의 시간은 6시간으로 줄었다. 헌법 1조 1항(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은 단단했고, 그 단단함을 믿은 시민이 움직였고, 그 움직임을 등에 업은 국회가 행동했다.
윤석열과 국무회의에 모였던 이들, 수사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