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문화체육관광부가 선임한 신임 영화진흥위원 6인 프로필
문체부
한편, 문체부는 신임 영진위원 선임과 관련해 "영화 관련 단체의 후보자 추천 등을 거쳐 영화예술, 영화산업 등에서의 전문성과 식견, 학계와 현장에서의 경험, 성(性)과 나이 등 다양한 요소들을 균형 있게 고려해 신임 위원을 임명했다"고 밝혔다.
히지만 한국 영화를 실질적으로 주도하고 있는 단체들은 배제됐고, 공교롭게도 유인촌 장관 비판 성명을 발표한 단체가 추천한 인사들이 이번 영진위원 선임에 포함되지 않았다는 게 영화계의 지적이다.
더 나아가 신임 영진위원 중 한국 영화에 대한 현안과 위기 상황을 타개할 수 있는 비중 있는 인물이 눈에 보이지 않고, 영화 현장과 무관한 인사가 들어갔다는 시선도 있다. 특히 영진위의 주요 사업이 독립영화와 깊게 연관돼 있다는 점에서, 관련 전문성을 갖는 위원이 없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는 비판이 나온다.
이밖에 대기업 독과점 문제와 객단가 문제가 영화계의 주요 이슈가 된 가운데 대기업 계열사 대표를 지낸 인사를 영진위원으로 선임한 건 문제의식이 전혀 없는 것 아니냐는 분노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에 대해 문체부 측은 "회계법인 관계자가 포함된 건 영화발전기금 고갈 문제 보완, 벤처 관계자는 투자 문제로 영화 제작이 잘 이뤄지지 않는 데 식견을 필요로 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영화계에선 '필요할 때 자문받으면 될 정도의 인사를 영진위원으로 선임한 것은 격이 맞지 않는다'는 의구심을 나타내는 분위기다.
한 제작사 대표는 "현장 목소리를 대변할 수 있는 사람은 이정향 감독이 유일해 보인다"며 "영화계 대표성을 띄어야 할 영진위를 이상하게 만들어 놨다"고 비판했다.
영화인연대 또한 이날 성명을 통해 "영진위는 '영화 및 비디오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설치된 조직으로 관련 영화단체의 추천에 따라 영화예술과 영화산업의 전문성을 갖춘 위원을 균형에 맞게 구성하도록 하고 있다"라며 "문체부가 단행한 신임 위원 구성은 다양한 영화단체의 의견이 수렴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돼 유감스럽다"라고 밝혔다.
또 "영화계를 대표하는 주요 직능 영화인의 연대체인 영화인연대 소속 19개 단체가 추천한 인사는 단 1명도 포함되지 않았다. 영화계와 교류가 거의 없는 교수와 투자사 경력을 가진 인사에 치중됐고 남녀 성비도 불균형했다"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지금 영진위는 민간자율기구의 정체성을 되찾아 영화계와 협치하는 것이 가장 시급하고 근본적인 과제"라며 "유인촌과 문체부는 영화계를 포함한 문화예술계의 정상화를 위해 현장의 목소리를 경청하고 전격 쇄신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댓글4
영화(독립영화, 다큐멘터리, 주요 영화제, 정책 등등) 분야를 취재하고 있습니다, 각종 제보 환영합니다^^
공유하기
"내란 혐의 고발당한 유인촌, 영진위 6인 위원 임명 무효"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