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내란 사태를 일으킨 윤석열 대통령에 대해 '무죄추정의 원칙'을 강조한 국민의힘 박수영 국회의원. 2024년 12월 28일 9시간 가까이 이어진 항의 사태를 둘러싸고 이날 저녁 시민대표단과 만난 박 의원의 모습.
유튜브 채널 뭐라카노
이같은 소식이 전해지자 같은 날 오후 '윤석열 즉각 파면 부산시민대회'에 참석한 2500여 명이 연대를 위해 행진 코스를 돌리면서 '탄핵 응원봉'이 박 의원 사무실을 에워싸는 상황이 벌어졌다. "내란동조 국민의힘 해체" "박수영 사퇴" 등의 구호 속에 상황이 장기화하자 저녁 늦게 시민 대표단과 박 의원이 면담에 들어갔고, 시민들은 9시간여 만에 해산했다.
그러나 사태는 이날로 끝난 게 아니었다. 박 의원이 고발 방침을 분명히 했기 때문이다. 지난달 29일 국회에서 기자회견까지 열 계획이었지만, 무안국제공항에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가 발생하면서 그는 국가애도기간 이후 법적 대응에 나섰다. 박 의원은 고발장을 낸 당일 "공용주거침입, 업무방해, 폭행, 불법감금 다 해당하는 것을 알고 했을 테니 그에 상응하는 처벌을 받아야 하는 게 당연하다"라고 페이스북에 글을 올렸다.
주말마다 탄핵 집회를 열어온 시민사회는 박 의원이 부적절한 대처를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부산지역 100여 개 단체가 모인 윤석열즉각퇴진사회대개혁 부산비상행동 관계자는 "내란을 일으킨 윤 대통령을 두둔하는 상황도 모자라 국민 의견을 듣지 않겠다는 것과 다름없다"라고 반발했다.
이보름 부산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의정평가팀장은 "경찰 투입을 요청하고, 내란에 대한 무죄추정의 원칙 등 표현이 사태에 기름을 부은 격"이라며 "더 듣고 들어야 하는 국회의원이 과도하게 대응하고 있다"라고 쓴소리를 냈다.
▣ 제보를 받습니다
오마이뉴스가 12.3 윤석열 내란사태와 관련한 제보를 받습니다. 내란 계획과 실행을 목격한 분들의 증언을 기다립니다.(https://omn.kr/jebo) 제보자의 신원은 철저히 보호되며, 제보 내용은 내란사태의 진실을 밝히는 데만 사용됩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댓글1
오마이뉴스 김보성 기자입니다. kimbsv1@gmail.com/ kimbsv1@ohmynews.com 제보 환영합니다.
공유하기
박수영, '내란공범 비판' 농성 시민 6명 고발했다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