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회사를 하는 정성호 국회의원
윤종은
시민참여형 민주주의의 실현 필요
이어진 토론에서는 유재일 전 한국정당학회장의 사회로 성한용 한겨레신문 선임기자, 이인복 연세대 교수, 이정진 국회입법조사처 팀장, 이재묵 한국외국어대 교수, 이준한 인천대 교수, 최광필 경운대 교수 등이 다양한 의견들을 제시했다.
이들은 숙의민주주의라는 절제된 방식의 직접민주주의 도입, 승자 독식의 대통령제 보완, 평생교육으로서의 민주시민교육 체계 구축, 정치의 과잉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완화, 상호 관용과 제도적 자제의 정착, 자유민주적 기본질서 강화를 위한 제도적·사회적 방안 모색 등을 제안했다.
정성호 국회의원은 개회사를 통해 "이제 탄핵정국을 조속히 마무리하고 정상적인 정치 궤도를 회복해야 하며 계엄 해제와 탄핵 소추 과정에서 시민들이 보여준 민주적 회복탄력성은 대한민국이 국란을 극복하고 다시 바로 설 수 있는 강력한 원동력이 될 것이다"고 강조했다.
이관후 국회입법조사처장은 환영사를 통해 "12.3 계엄 조치 이후, 우리의 민주주의에 대한 의구심이 안팎으로 커지고 있다. 이제 우리 민주주의와 정치가 어디로 가야 할지에 대해서 정확한 진단과 대안을 통해서 지식인과 정치인들이 함께 정치 정상화의 길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인사말을 통해 "비상계엄 해제와 탄핵소추 과정을 겪으면서 국민들은 국회에 어느 때보다 큰 기대를 보내주고 있다. 국회는 '민주주의의 최후의 보루'로서, 국민이 선출한 유일한 헌법기관으로서 비상계엄 사태의 조속한 수습과 국정 안정을 위해 더욱 적극적으로 임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최근 탄핵 시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는 한 청년은 "선진국 진입의 시점에서 연이어 터지고 있는 반 헌법 극우 세력의 준동이 다시는 생기지 않도록, 차제에 발본색원하고 정치권은 촛불과 응원봉 항쟁의 과제를 반드시 실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 제보를 받습니다
오마이뉴스가 12.3 윤석열 내란사태와 관련한 제보를 받습니다. 내란 계획과 실행을 목격한 분들의 증언을 기다립니다.(https://omn.kr/jebo) 제보자의 신원은 철저히 보호되며, 제보 내용은 내란사태의 진실을 밝히는 데만 사용됩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정론직필(正論直筆) 시민기자 되기] .....서울대 영문과, 시민단체 대표, 민주화운동에 참여, 민생 민주 평화에 관심
[기사제보] 010-3341-7670 / tomayoun@hanmail.net
공유하기
탄핵정국 이후 한국 정치 과제는 '시민 민주주의'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