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출석하는 박종준 경호처장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의 체포영장 집행을 저지한 박종준 대통령 경호처장이 10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국가수사본부로 출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종준 대통령경호처장이 사직서 제출 후 경찰에 자진출석하면서 윤석열 대통령 측이 다급해진 모습을 보이고 있다. 윤 대통령 변호인단은 출석 직후에는 업무 범위를 벗어나는 듯한 공지를 기자들에게 띄우는가 하면, 사직서 제출 사실이 알려질 무렵에는 갑자기 국방부를 향해 "관저 경비 포기는 안보 위해 행위"라며 손을 흔들고 있다.
10일 오전 박 처장은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에 관한 수사를 받기 위해 서울 서대문구 국가수사본부에 출석했다. 그는 조사 전 취재진에게 "어떠한 경우에도 물리적 충돌이나 유혈사태가 일어나선 안 된다는 생각으로, 이러한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 최상목 대행에게 여러 차례 전화를 드려서 정부기관 간 중재를 건의 드렸고 대통령 변호인단에게도 제3의 대안을 요청한 바 있다"며 "그러나 그에 맞는 답을 얻지는 못했다"고 밝혔다.
박 처장의 국가수사본부 도착과 거의 같은 시각, 윤 대통령 변호인 중 한명인 윤갑근 변호사는 언론에
"경호처장이 경호구역 밖에 있으므로 경호처장이 조사를 마치고 복귀시까지 규정에 따라 경호차장이 직무를 대행하게 된다"는 공지를 띄웠다. 이 내용으로 판단하면, 이때까지만 해도 박 처장이 경찰 출석 전에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에게 사직서를 제출했다는 사실을 몰랐던 것으로 판단된다. 윤 변호사의 공지에 대해 경찰 관계자는 "경호처와 관련한 직무 대행 체계 전환을 왜 직무정지 된 대통령 변호인이 언급하나"라며 업무 범위를 벗어났음을 지적했다.
잠시 후인
오전 10시 10분경, 윤 대통령 변호인단은 입장문을 통해 "대통령의 경호를 무력화하려는 시도는 국가안보에 중대한 위해를 자초하는 것"이라는
기존 주장을 되풀이했다.
그런데
오후 4시 19분, 기자들에게 "국방부는 본연의 임무에 충실하라"는 제목의 변호인단 입장문이 전해졌다. 변호인단은 이미 지난 3일 1차 체포영장 집행 시도 이후
입장 정리가 끝난 국방부를 일주일이 지난 상황에서 호명하기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