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여성 미술가들의 다채로운 작품평면과 공간을 활용한 작품들이 인상적입니다.
노태헌
국립현대미술관은 평소 한산한 편이다. 워낙 공간과 규모도 크다. 얼마전 국립 중앙 박물관에서 관람한 '구스타프 클림트에서 에곤실레전'은 평일임에도 사람들이 북적 거렸는데 이와는 대조를 보였다.
현재 전시하고 있는 '프로젝트 해시태그 2024', '이강소(風來水面時)', '올해의 작가상 2024', '순간이동(캐나다-한국 합작 VR관련 전시)', '접속하는 몸(아시아 여성 미술가들)' 5개의 전시를 순차적으로 관람했다. 국립 현대 미술관은 3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를 끊고 들어가면 건물 1층에 바로 큰 규모의 전시실이 위치해 있고, 5개의 전시실이 있는 지하1층, 특별 전시 위주의 2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국립현대미술관 2층 [순간이동] 전시실에서 저 곳을 넘어가면 순간이동 할 수 있을까요? 언제쯤 그런 기술이 발명이 가능할까요?](https://ojsfile.ohmynews.com/STD_IMG_FILE/2025/0121/IE003407570_STD.jpg)
▲국립현대미술관 2층 [순간이동] 전시실에서저 곳을 넘어가면 순간이동 할 수 있을까요? 언제쯤 그런 기술이 발명이 가능할까요?
노태헌

▲독방의 모습양심적 병역거부를 한 예술가가 국립현대미술관에 구현한 독방입니다. 현실의 자유를 다시한번 생각하게 해줍니다.
노태헌
대부분의 전시관이 지하 1층에 있는데 지하와 지상의 층(1~2층)은 유기적으로 연결된다. 1층에는 카페와 아기자기한 기념품을 파는 가게도 있다. 지하 1층은 지하층이지만 펜타곤처럼 가운데를 뚫어 환기성과 채광성을 높혔다. 층마다 특색이 있고 어딜가던 쾌적한 분위기다.
홈페이지에 나와 있는 각 전시를 간략하게 소개한다.
[프로젝트 해시태그 2024]
다양한 분야의 창작자와 기획자들이 예술적 확장성을 실험하는 플랫폼 작품들을 보여준다. 생성형 AI, 메타버스, 게임 등을 활용해 현대 사회의 첨예한 쟁점과 공동체적 연대를 탐구하는 프로젝트들을 보여준다. 남녀노서 참여할 수 있도록 '소망사무국'과 같은 부스에서는 가상의 '소망 세계'를 구축하며 현대사회의 좌절과 희망을 게임 형식으로 고찰한다. '플레잉 아트 메소드'는 게임을 기반으로 한 작품으로 질문을 탐구해 학습 공동체를 형성하는 것을 보여준다.
[이강소: 風來水面時]
한국 현대미술의 선구자인 이강소(1943년생)의 60여 년간 작품 세계를 조망하는 전시다. 전시 제목 '풍래수면시'는 송나라 시인의 구절에서 따온 표현으로, 세계와의 만남을 통해 깨달음을 얻는 상태를 비유한다. 이강소의 철학과 작업 방식을 함축적으로 나타 내었다고 한다.
[올해의 작가상 2024]
작가들의 신작과 전작을 함께 조명하고 있는 중이다. 올해 참여한 작가는 권하윤, 양정욱, 윤지영, 제인 진 카이젠이며, 각기 독창적인 방법으로 현대 사회의 다양한 이야기를 전한다.
[순간이동]
한-캐나다 상호문화교류의 해(2024-2025)를 기념하며, 국립현대미술관과 캐나다 국립영상위원회(NFB)가 공동 기획한 전시로, 8명(팀)의 양국 작가들이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상호작용적 게임, 웹 기반 영화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관람객을 몰입적 환경으로 초대한다.
[접속하는 몸–아시아 여성 미술가들]
현재 국립현대 미술관의 메인 전시다. 아시아 여성 미술가들의 작품을 통해 1960년대 이후 신체의 다양한 의미와 가능성을 탐구하며, 동시대 미술의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국립현대미술관의 아시아 미술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기획된 이번 전시는 아시아 11개국에서 활동하는 여성 작가 60여 명의 작품 130여 점을 한자리에 있다. 신체는 경험과 기억이 새겨지는 장소이자, 이데올로기와 현실이 교차하는 공간으로 여성의 신체를 서구적 시각에서 벗어나, 다층적이고 주체적인 존재로 바라보려는 시도를 하였다고 한다. 나아가 아시아라는 지리적·정치적 맥락 속에서 신체에 기입된 문화적 경험을 통해 근대성과 지배적 관념에 의문을 던지며, 새로운 연결과 가능성을 탐구하는 주제로 연결된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우리는 무언가 되어가고 언젠가는 소멸한다. 그 단순한 진실을 담고 나아간다.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