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모
양동마을은 강과 산, 들로 어우러진 아름다운 자연환경과 함께 밤하늘의 별들처럼 늘어져 있는 초가집과 마을 고택이 진풍경이다. 양동마을은 2010년 안동 하회마을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등재될 정도로 조선 시대 문화를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전통 마을이다.
이 마을은 손소의 아들로서 이조판서를 지낸 손중돈과 손소의 외손으로 조선 성리학의 선구자 회재 이언적 같은 출중한 인물들이 연거푸 배출되어 크게 번창한다. 그야말로 조선 전기 월성손씨와 여강이씨 두 성씨가 이 마을로 장가들어 뿌리를 내린 씨족 마을이다.
무엇보다 먼저, 필자는 손중돈과 회재 선생이 태어난 송첨(松簷) 종택, 서백당(書百堂)으로 향한다. 마을 뒤편 높은 언덕배기에 자리한 서백당으로 들어서자 아름다운 기와 선(線)으로 두른 흙담 너머 확 트인 시야가 가슴까지 시원하게 한다. 회재 선생을 배출한 고택 답게 수백 년 묵은 향나무가 똬리를 풀면서 사랑채 쪽으로 필자를 안내한 듯하다.
사랑채 바로 옆으로 '내외담'이 여성들의 공간 내실과 사랑채를 가르고 있다. 요즘 시선으론 낯설기도 하겠지만, 조선 사회는 그 담을 통해 공간을 분리함으로써 남녀칠세부동석(男女七歲不同席, 예기(禮記) 내칙 편)을 엄격하게 실천하는 조선 전통 유교 사회의 근간을 세운다.
풍수지리 지관에 따르면 서백당에서 이조판서 손중돈과 회재 이언적 외 한 명 더 현인이 배출될 것이라는 설이 있다고 한다. 나머지 한 명은 어떤 인재가 배출될지 궁금하기도 하다. 서백당에서 좋은 기운을 받아서 인지 한결 가벼운 발걸음으로 회재 이언적 선생의 종가 무첨당(無忝堂)으로 향한다.
무첨당은 조선 중기 문신이며 성리학자인 여강이씨 회재 이언적 선생의 종가 제청이다. 일설에 의하면 조선시대 관리들이 영남 지방을 순찰하거나 여행하는 선비들의 주요 방문지 중 하나가 바로 양동마을이었다고 한다. 흥선대원군도 예외 없이 양동마을을 방문하여 무첨당에 들러 '영남에는 선비들이 많다'라는 좌해금서(左海琴書) 현판을 친히 써 내건다. 화무십일홍(花無十日紅) 권불십년(權不十年)을 외쳤던 흥선대원군의 현판이 역사의 흐름을 가르며 여전히 걸려 있는 것으로 바, 당시 무첨당의 위상을 알 것만 같다.
양동마을의 아쉬움을 뒤로 한 채 발걸음을 돌리는데 관가정 고택 앞에 하얀 말 한 마리가 주인을 기다린 듯 꼬리를 살래 살래 흔들어 대고 있다. 관가정 주인이자 위세 등등 했던 이조판서 손중돈의 행차를 기다리기나 한 듯 말이다. 양동마을도 세월을 비켜 가지 못했다. 오백 년 세월의 양동마을을 걸어서 돌아 드니 산천은 의구하되 인걸은 간데없다. 유구한 역사의 흐름 속에 고스란히 보존된 이 양동마을이 눈에 밟혀 필자의 발걸음이 더디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본인은 오마이뉴스, 대전일보 등 언론사나 계간 문학지에 여론 광장, 특별 기고, 기고로 교육과 역사 문화, 여행 글을 쓰고 있습니다.
인간관계에서는 따뜻한 시선과 심오한 사고와 과감한 실천이 저의 사회생활 신조입니다. 더불어 전환의 시대에 도전을 마다하지 않고 즐기면서 생활합니다.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