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승원 광명시장이 신년 언론브리핑을 통해 '2025년 시정 방향'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광명시
경기도에선 광명시와 함께 파주시가 설날을 맞아 민생회복지원금을 지급했다. 이 사실이 알려지며 지자체의 지원금 지급이 경기도 전역으로 확산할 것이라는 기대감도 높아졌다. 그러나 아직 두 지자체를 제외한 다른 시·군에선 엄두조차 못내고 있다.
이유는 '재정 여력이 없다는 것'. 임병택 시흥시장은 1월 기자회견에서 "(지원금 지급을) 검토하고 있지만, 시흥시 (재정)여건 상 쉽지 않다"라고 말했다. 복수의 안양시 관계자 역시 기자에게 "재정 형편이 녹록지 않다, 아직 민생안정지원금 지급 계획은 없다"고 답했다.
그렇다면 광명시는 어떻게 재정을 마련해 시민 모두에 10만 원씩 지급할 수 있었을까?
박승원 광명시장은 4일 <오마이뉴스>와의 통화에서 "경기도 너무 안 좋고, 중앙 정부의 국세 감축으로 지방교부금도 줄어들었다"라면서 "그동안 고정비 지출을 줄이는 등의 노력을 기울였다. 긴축재정을 한 것인데, 이렇게 해서 이번에 틈(여력)이 생긴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박 시장은 "재정 전략 회의를 거쳐서 (지급을) 결정했다"며 "지역 경기가 너무 안 좋으니, 다른 시·군도 할 수 있다면 재정 여건에 맞게 5만 원이든 10만 원이든 지급해 시장에 돈이 돌게 하면 좋겠다"라는 바람을 전했다.
재정 마련 방법과 관련해 광명시의 해당 업무 관계자 또한 "예산, 정책, 세입부서 및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재정 전략 운영단을 구성해 꾸준히 효율적이고 지속 가능한 재정 운용을 도모했다"라며 "올해 예산을 짜면서 불요불급한 사업 또는 유사·중복 사업이나 과잉 투자 사업 등을 폐지하거나 정비했다"라고 설명했다.
'팍팍한 재정'의 원인 중 하나는 윤석열 정부 들어 연달아 발생한 '세수 결손'이 지목된다. 세수 결손은 지방재정 감축으로 이어졌기 때문이다. 정부는 지난해 30조 원의 세수 결손이 발생하자 (일반·특별)교부세 2조 2000억 원을 감액했다. 2023년에도 56조 원 세수 결손을 이유로 지방교부세 7조 2000억 원을 삭감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댓글4
공유하기
1인당 10만원 지급...광명시는 어떻게 가능했나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