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듣기

은행 강도 기사에 달린 '윤석열 내란' 풍자 댓글 화제

부산 장난감총 강도 미수 사건 접한 누리꾼들..."2분짜리 강도가 어딨나"

등록 2025.02.11 14:09수정 2025.02.11 15:17
12
원고료로 응원
 10일 오전 발생한 부산 기장군 일광읍 은행강도 미수사건에서 사용된 장난감 물총
10일 오전 발생한 부산 기장군 일광읍 은행강도 미수사건에서 사용된 장난감 물총부산경찰청 제공

공룡 모양 장난감 물총으로 은행에서 강도 범행을 시도하던 30대가 2분 만에 시민과 은행 직원에게 붙잡혔습니다.

부산 기장경찰서에 따르면, A씨는 10일 오전 10시 58분께 마스크와 털모자로 얼굴을 가린 채 부산 기장군 일광읍에 있는 한 은행에 들어갑니다. 그는 권총처럼 보이는 물건을 검정 비닐봉지로 싸서 손에 든 채 사람들을 향해 "무릎 꿇어"라고 소리쳤습니다.

A씨의 고성과 함께 내부는 순식간에 공포에 휩싸였고, 그는 은행 지점장실로 들어가려 했습니다. 그러나 지점장은 문이 열리지 않도록 잡고 버티면서 경찰에 신고하고 보안업체 출동 버튼도 눌렀습니다.

지점장실 침입이 무산되자 A씨는 다시 창구로 나와 직원들에게 여행 가방에 5만 원 권을 담으라고 요구했고, 이때 무릎을 꿇고 있던 50대 남성이 A씨를 뒤에서 덮치며 팔을 잡아챈 뒤 몸싸움을 벌였습니다. 이 때 청원 경찰과 남자 직원들이 합류해 은행 강도를 붙잡았습니다. 그런데 당시 A씨가 손에 들고 사람들을 위협했던 검정색 비닐봉지를 빼앗아 안에 있는 물건을 확인했더니, 공룡 모형의 장난감 물총이 나왔습니다.

용감한 시민 덕분에 A씨의 은행 강도 범행은 2분 만에 막을 내렸습니다. 부산 기장경찰서는 강도 미수 혐의로 A씨를 체포해 조사 중이며 검거한 50대 시민에게 감사장을 전달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 내란 사태 옹호에 대한 풍자

 부산 은행 강도 사건 기사에 달린 댓글들
부산 은행 강도 사건 기사에 달린 댓글들네이버 뉴스 갈무리

짧은 소식으로 언론을 통해 전해진 이 사건에 누리꾼들이 계엄 관련 윤석열 대통령의 발언을 인용해 댓글을 다는 등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데요.


한 누리꾼은 "2분 만에 끝나는 은행 강도 사건이 있냐. 아무도 다치지 않았고, 십원 하나 없어지지 않았다"면서 "그냥 은행 관리 잘되자 겁 좀 줬을 뿐이다. 강도가 아니라 은행보안을 시험한 계몽시민"이라는 뼈 있는 댓글을 달았습니다.

또 다른 누리꾼은 자신의 SNS에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 2분짜리 은행 강도가 어디 있나?"라며 "호수에 비친 달빛 그림자 잡는 꼴 아닌가. 구속은 취소되어야 한다"는 글을 올렸습니다. 이어 "장난감 총은 합법적으로 구매했고 다만 경각심을 주기 위한 경고의 행동이었다. 돈을 담으라는 지시를 따르지 않을 것이라 생각했다. 금융권에 경각심을 주기 위해 그랬다"라고 덧붙이며 최근 윤석열 대통령과 대리인단이 한 발언 등을 대입해 풍자하는 글을 올렸습니다.


은행 강도 사건에 12.3 내란 사태를 풍자하는 댓글이 달린 이유를 짐작할 수 있는 글도 있었습니다. 또 다른 댓글 작성자는 "미수도 범죄야 아무도 안 죽었으면 그 죄가 없던 일이 되는 거니"라며 "그럼 은행강도도 봐줘야겠네. 아무도 안 다치고 돈도 안 뺏겼으니까 안 그래?"라고 반문했습니다.

2분에도 공포를 느꼈는데... 내란 사태에 대한 경고

 12월 4일 새벽 국회로 향하는 계엄군 차량을 가로막는 김동현씨의 모습
12월 4일 새벽 국회로 향하는 계엄군 차량을 가로막는 김동현씨의 모습워싱턴포스트 동영상 갈무리

댓글과 SNS에 올라온 글들은 모두 윤 대통령이 했던 발언에 이번 은행 강도 사건 상황을 대입해 작성한 것들입니다.

윤 대통령은 지난 4일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탄핵심판 5차 변론에서 "이번 사건을 보면 실제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았는데 지시했니, 지시받았니 이런 얘기들이 마치 호수 위에 빠진 달그림자 같은 걸 쫓아가는 느낌을 많이 받았다"고 말했습니다.

4차 변론기일에서도 윤 대통령 측 조대현 변호사는 "국민들은 이 사건 비상계엄을 계몽령이라고 이해하고 있다"며 "비상계엄은 처음부터 반나절이었고, 국민들에게 경각심을 호소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계몽령'은 극우 집회와 극우 지지자들이 사용하는 용어로 '비상계엄은 국민들에게 경각심을 호소하기 위한 것'이라는 의미라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앞서 윤 대통령 측은 헌재에 제출한 답변서에 "2시간짜리 내란이 어디 있냐"라며 비상계엄이 내란죄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주장을 담아 제출하기도 했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베스트 댓글'이라며 풍자한 글들을 공유하면서 "2분 동안에도 공포를 느꼈는데 국민들은 2시간 넘게 실제 총구 앞에서 위협을 느꼈다"면서 "단순한 풍자가 아닌 내란 사태에 대한 경종을 울리는 글"이라는 평도 올라왔습니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독립언론 '아이엠피터뉴스'에도 실립니다.
#내란사태 #은행강도 #계몽령 #내란죄 #비상계엄
댓글12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5,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립 언론 '아이엠피터뉴스'를 운영한다. 제주에 거주하며 육지를 오가며 취재를 하고 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애 셋 잘 키웠는데... 중년에 남편이 이럴 줄이야 애 셋 잘 키웠는데... 중년에 남편이 이럴 줄이야
  2. 2 특활비 지켜려다 특경비 전액삭감...심우정, 무슨 일을 한 건가 특활비 지켜려다 특경비 전액삭감...심우정, 무슨 일을 한 건가
  3. 3 어느 건물주의 '횟집 임대료 갑질'이 낳은 엄청난 변화 어느 건물주의 '횟집 임대료 갑질'이 낳은 엄청난 변화
  4. 4 응원봉 들고 광화문 가득 메운 시민들"일상 돌아가고 싶다...헌재, 이젠 탄핵해야" 응원봉 들고 광화문 가득 메운 시민들"일상 돌아가고 싶다...헌재, 이젠 탄핵해야"
  5. 5 윤석열 미래 예언한 34세 국힘 의원의 명연설 윤석열 미래 예언한  34세 국힘 의원의 명연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