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듣기

파킨슨병에 무릎 수술... 49년생 엄마가 집으로 왔다

엄마가 있어 가능했던 세 아이 육아, 이제는 내가 엄마를 돌볼 차례

등록 2025.02.14 11:56수정 2025.02.14 11:56
2
원고료로 응원
동시대를 살아가는 4050 시민기자가 취향과 고민을 나눕니다.[편집자말]
"할머니가 문제 하나 낼게, 맞춰 봐."

친정 엄마가 장난기 가득한 목소리로 손주들에게 말했다. 저녁을 먹기 위해 둘러앉은 자리에서였다. 방학을 맞아 각자 자기 방에 틀어박혀 좀처럼 나오지 않는 아이들이 유일하게 모습을 드러내며 쉬는 시간이었다.


"뭔데요, 할머니?"

엄마에게 새겨진 뿌듯함

아이들이 나름 호기심을 가지고 물었다. 어릴 때부터 아이들은 외할머니를 참 좋아했다. 늘 건강하고, 활기가 넘치는 외할머니는 이것저것 챙겨주기도 잘했지만, 참 재미나게 놀아주곤 했기 때문이다. 그랬다. 엄마는 그 흔한 지병 하나 없이 60이 훌쩍 넘을 때까지 아파트 청소일을 하실 만큼 건강했고, 동네 친구분들과 교회도 다니고, 등산도 다닐 만큼 씩씩했다.

남편을 일찍 여의고 다섯 남매를 길러내느라 온갖 고생을 다 한 것에 대한 보상이라도 받는 듯, 다섯 남매를 다 출가시키고는 그야말로 느긋한 노년 생활을 즐겼다. 자식들은 청소 일 그만하고 그냥 놀러만 다니라 했지만, 집에 있는 것보다 나가서 몸을 움직이고, 생산적인 일을 해야 더 마음이 편한 엄마는 취미도 삼고, 보람도 느끼며 직장 생활을 해온 것이다.

바쁘게 직장 생활을 하면서도 엄마는, 우리 집에 셋째 아이가 태어나자, 약 3년이라는 시간을 나와 함께 머물러 주었다. 막내딸이 결혼 후, 물리적으로 약 400킬로미터를 떨어져 사는 것도 안쓰러운데, 작은 아이 셋을 홀로 키워야 하는 어려움에 놓이게 되자, 기꺼이 자신의 생업을 내려놓고 올라온 것이다. 그때 함께 했던 손주들과의 시간을 그녀는 차곡차곡 기억 속에 저장하고 있었다.


그런 할머니가 오랜만에 다 큰 손주들 앞에서 이전의 그 활기참을 드러내며 말을 걸자, 아이들의 시선이 할머니에게로 쏠렸다. 이제는 할머니의 놀이가 재미있을 리 없는 아이들이지만, 어릴 때의 추억을 떠올리며 즐겁게 미소를 짓는 거였다.

"둘째가 여섯 살 때, 할머니하고 둘레길을 돌 때 있잖아. 길에 앉아있던 어느 할머니가 둘째한테 물었거든. 내가 좋으냐, 네 할머니가 좋으냐. 그때 둘째가 뭐라고 했게?"


아이들이 고개를 갸웃거렸다. 당사자인 둘째 아이도 선뜻 답하지 못했다. 기억이 나지 않는 거다. 하지만 나는 정답을 알고 있었다. 한 백 번은 들은 것 같다.

"'우리 할머니가 좋아요'라고 했을 것 같은데요?"

아이들의 답변에 그녀는 고개를 내저었다. 그 말 앞에 정말 중요한 한 마디가 빠졌다는 거다. 도무지 모르겠다는 손주들 앞에서 그녀는 아주 의기양양하게 말했다.

"당연히 우리 할머니가 좋지요, 라고 했어. 당, 연, 히. 그게 핵심이야."

그렇게 이야기하며 그녀는 함박꽃처럼 웃었다. '당연히 우리 할머니가 좋지요!' 길에서 처음 만난 할머니에게 어이없다는 듯 답한 여섯 살배기 때문에, 10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그녀의 가슴에는 뿌듯함이 아로새겨져 있었다.

짧은 에피소드 하나로 추억 주머니가 열렸다. 할머니에게서 쏟아져 나오는 어릴 때 이야기들을 들으며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이 된 아이들은 즐겁게 추억의 바닷속을 헤엄쳤다. 3대가 어우러져 대화의 꽃을 피우는 모습이 참 따스하면서도 내심 먹먹한 기분이 들기도 했다.

나이에 장사 없다, 엄마도

 최근 무릎 수술을 하신 엄마.
최근 무릎 수술을 하신 엄마.박정은

갓난쟁이를 업었던 엄마의 등은 어느새 압박골절로 인해 구부정했고, 딱딱한 플라스틱 보조기로 둘러싸여 있었다. 2년 전, 청천벽력같이 진단된 파킨슨병으로 인해 하루 세 번, 약을 챙겨 먹지 않으면 단순한 걸음도 쉽지 않은 몸이 되었다. 짧은 시간 안에 건강은 급격히 악화되었고, 위 선종 제거, 자궁 적출, 무릎 인공 치환술 등을 위해 병원에 가야 하는 시간이 점점 늘어나고, 그 시기는 점점 짧아지고 있다.

딸의 곤경을 돕기 위해 왔던 그녀는 이제 딸의 돌봄이 필요한 사람이 되었다. 이전과 같은 기세가 사라진 엄마를 바라보고 있는 일은 결코 쉽지 않다. 나이에 장사 없다는 옛말이 1949년생 내 엄마를 비껴가지 않았다. 너무도 당연한 인간사라는 걸 알면서도, 그것을 마음으로 받아들이고 적응하는 일이 순조롭지만은 않다.

아직은 정신도 온전하고, 화장실도 혼자 다니기에 돌봄이 크게 어렵지는 않다. 하지만 점차 증상이 심해지고 몸을 잘 가눌 수 없게 되면, 그때는 어쩌나 하는 걱정을 막을 길이 없다. 물론 나 혼자만의 걱정은 아닐 것이다. 초고령화 사회가 코앞에 와 있고, 노인 돌봄 문제는 사회적으로 큰 쟁점이 되고 있다.

노인이 노인을 돌보는 '노노돌봄' 현상이 증가하고 있다. 돌보는 대상의 주 보호자가 사회적 정의로서의 노인(65세 이상)일 경우, 이를 '노노(老老)돌봄'이라고 칭하게 된다. 어린아이 돌봄도 결코 쉬운 일이 아니기에, 가족과 이웃과 사회의 도움이 필요하다.

어린아이는 성장하고 독립하게 될 거라는 희망을 지닌 존재이지만 노인은 그렇지 않다. 오히려 돌봄의 강도는 높아지지만, 상황은 더 악화되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기에 사회적 도움이 더욱 절실하다.

노인 돌봄은 대다수의 사람이 살아가면서 겪어야 하는 만큼, 우리 사회의 지대한 관심사라고 할 수 있다. 나 역시 노노돌봄 상황에 놓였던 시부모님을 보내드린 지 얼마 되지 않았으며, 이제는 친정엄마의 돌봄을 위해 형제들과 논의해야 할 상황에 놓여 있다.

사회적으로 돌봄의 비극은 없어야

돌봄이 필요한 노인 초고령화 사회, 노인 돌봄은 사회적 쟁점이 되고 있다.
돌봄이 필요한 노인초고령화 사회, 노인 돌봄은 사회적 쟁점이 되고 있다.픽사베이

최근 왕왕 접하게 되는 노인 돌봄 관련 뉴스가 가슴을 철렁 내려앉게 한다. 노노돌봄 끝에 스스로 목숨을 끊는 일들이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다. 온 가족이 마음을 모아야 하는 것은 당연할 뿐더러, 이웃과 사회의 관심과 지원이 더욱 확대되어야 할 시점임이 분명하다.

악화될 수밖에 없는 것이 노인의 건강이지만, 그것을 받아들이는 우리의 자세가 평온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극한 돌봄의 상황이 없다면 좋겠지만, 그런 상황에 놓이게 된다고 하더라도, 사회의 도움을 받으며 각 가정이 잘 헤쳐나갔으면 좋겠다.

나만의 일이 아니라는 인식을 지니고, 기꺼이 도움의 손길을 내밀 줄 아는, 더불어 사는 시민으로서의 의식 또한 중요할 것이다. 우리가 낸 세금은 그런 일들을 위해 지혜롭게 사용되었으면 좋겠다. 그럴 때 초고령화 사회에서도 우리는 고통스럽기만 한 게 아닌, 안온한 생활을 영위해 갈 수 있지 않을까.

엄마의 굽은 등을 바라보며 애써 긍정의 손으로 먹먹한 가슴을 도닥여 본다.
동시대를 살아가는 4050 시민기자가 취향과 고민을 나눕니다.
#노인돌봄 #노노돌봄 #청년돌봄 #40대의고민
댓글2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세 아이를 양육하고 있는 평범한 주부. 7권의 웹소설 e북 출간 경력 있음. 현재 '쓰고뱉다'라는 글쓰기 공동체에서 '쓰니신나'라는 닉네임으로 활동하고 있음.


AD

AD

AD

인기기사

  1. 1 일본 음식이 짠 이유, 알고 나니 이해가 가네 일본 음식이 짠 이유, 알고 나니 이해가 가네
  2. 2 "윤석열 탄핵, 8:0으로 인용돼야 할 사안임이 분명" "윤석열 탄핵, 8:0으로 인용돼야 할 사안임이 분명"
  3. 3 헌재를 물로 보지 마라... 내가 '한덕수도 파면' 결론 낸 이유 헌재를 물로 보지 마라... 내가 '한덕수도 파면' 결론 낸 이유
  4. 4 헌재 앞에서 계란 맞은 백혜련..."불법 시위 왜 방치하나" 헌재 앞에서 계란 맞은 백혜련..."불법 시위 왜 방치하나"
  5. 5 계엄날 군용차 막은 여성의 이야기...WP보도에 안 나온 것 계엄날 군용차 막은 여성의 이야기...WP보도에 안 나온 것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