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속노조 포항지부는 4일 경북 포항시 남구 고용노동부 포항지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에너지머티리얼즈와 고용노동부에 안전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금속노
최근 경북 포항의 이차전지 재활용업체인 에너지머티리얼즈에서 유해화학물질이 유출돼 노동자가 다치는 사고가 이틀 연속 발생했다. 황산 누출로 노동자가 화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한 지 4달 만에 또다시 비슷한 사고가 잇따라 일어난 것이다. 노조는 회사와 고용노동부에 안전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금속노조 포항지부는 4일 경북 포항시 남구 고용노동부 포항지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GS건설 자회사인 에너지머티리얼즈에서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2월까지 4개월 사이 노동자들이 유해화학물질로 화상을 입는 사고가 3건 발생했다"며 "노동부는 노조 참여가 보장되는 특별근로감독과 안전보건진단을 실시하라"고 촉구했다.
지부에 따르면, 지난달 26일 오전 9시10분께 포항 신항만에 위치한 에너지머티리얼즈에서는 품질 보증팀 노동자 A씨가 입고된 수산화나트륨을 검사하던 중 수산화나트륨이 귀와 얼굴‧안구에 튀어 부상을 입었다. 다음날인 27일에는 노동자 B씨가 시설 배관 작업 중 황산 누출로 화상을 입었다. 이 회사에서는 지난해 10월 24일에도 노동자 C씨가 설비 점검 도중 분출된 황산으로 전신 2~3도의 화상을 입는 사고가 있었다.
노조는 회사가 사고를 은폐하려 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지부에 따르면, 사측은 A씨의 사고를 소방서와 고용노동부, 중대산업사고 예방센터 등에 신고하지 않고, 개인 차량으로 A씨를 인근 병원으로 이송했다. 지부는 회사가 B씨 사고 때도 당국에 신고하지 않고 개인차량으로 후송하려다 노조 조합원이 119에 신고하면서 개인차량 후송을 포기했다고 주장했다.
지부는 "회사는 사고 발생 후 가장 먼저 119에 신고해 빠른 의료지원과 긴급 이송으로 재해자가 후유증 등의 피해를 최소화할 의무가 있다"며 "하지만 회사는 산재를 은폐하기 위한 허술한 초동 조치로 어쩌면 가장 중요한 골든타임을 흘려버렸고 재해자에게 고통의 시간을 줬다"고 지적했다.

▲ 지난달 27일 포항 에너지머티리얼즈에서 유해화학물질 누출로 노동자가 부상당한 모습.
금속노조
노조는 4개월 전 비슷한 사고가 발생했음에도 회사의 노동자 안전을 위한 대책은 여전히 미흡하다는 지적도 했다. 지부는 "에너지머티리얼즈는 노동자의 안전과 건강을 위협하는 유해화학물질이 다수 사용되는 사업장으로, 노동자 안전 대책 마련이 무엇보다 중요한 곳"임에도, 사측이 노동자 안전 관련 의무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심지어 지난달 27일 사고 조사를 위해 현장을 방문한 지부 간부를 경찰에 두 차례나 신고해 끌어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노조는 회사에 △수시 유해요인조사‧위험성 평가 실시 △노조와 사고 초동조치 매뉴얼 마련 △노동안전 활동시간 보장 △재해 노동자의 모든 치료와 치료기간의 급여 보장을 요구했다. 노동부에는 △노조 참여가 보장되는 특별근로감독과 안전보건진단 실시 △에너지머티리얼즈의 근본 안전대책 수립을 위한 대책 마련 △이번 사고에 대한 철저한 수사와 책임자 처벌을 촉구했다.
이에 대해 에너지머티리얼측은 설명자료를 통해 "지난달 26일 사고는 유해‧위험물질을 제조‧취급하는 사업장과는 무관한 당사 실험동에서 발생한 안전사고이므로 소방서‧노동부 신고와는 상관이 없는 부분"이라며 "사고 발생시 해당 부서 엔지니어와 당사 안전관리자가 동행해 재해자 차량을 이용해 회사와 가장 가까운 의원으로 이송했다"고 해명했다.
이어 지난달 27일 사고에 대해선 "안전관리자가 소방서에 신고하는 시점에 사고 장소에 같이 있던 노조 간부가 먼저 소방서로 신고를 한 것"이라며 "사고 발생 후 신고 등 대응 부분에서 전혀 문제가 없었다"고 전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