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동행동 측은 국회의 특검 및 국정조사, 방송3법 개정, 방송통신위원회 및 방송통신심의위원회 개편, 디지털 플랫폼 사업자의 사회적 책무 강화 등을 요구하는 기자회견문을 발표했다.
임석규
이어 "12.3 내란 사태 이후 윤씨와 내란동조 세력은 부정선거 음모론 등 허위 조작 정보와 혐오 차별로 무장한 극우·극단주의를 불러왔으며, 여전히 양비론과 따옴표 저널리즘에 안주하면서 공영언론과 언론기관에서 준동하고 있는 내란동조 세력은 언론개혁을 통한 청산의 대상"이라 규정했다.
또 공동행동은 국회와 새로 들어설 정부 등 정치권을 향해 ▲특검 및 국정조사를 통한 윤 정권 언론장악과 비판언론 탄압 진상 규명, ▲방송3법 개정 통한 공영방송 정치적 독립 보장, ▲방송통신위원회의 기구 개편을 통한 미디어 공공성 강화, ▲방송통신심의위원회 구조 개편·기능 조정 및 디지털 플랫폼 사업자의 사회적 책무 강화 등을 요구했다.

▲ 이호찬 언론노조 위원장(우측)·신태헙 민언련 상임공동대표(좌측)·김은정 서울풀뿌리시민사회네트워크 공동대표(중앙) 등은 윤석열 정권의 언론장악에 부역한 내란세력을 척결하고 언론정상화를 위한 노동·시민사회계의 투쟁을 촉구했다.
임석규
이호찬 언론노조 위원장은 "노동자·시민들의 힘으로 윤씨를 대통령직에서 끌어내렸지만,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이완규·함상훈을 지명한 만행을 저지르고 있는 현실에서 적폐청산은 오늘날 민주주의 회복을 위해 매우 중요한 과제임이 더욱 두드러졌다"고 발언하면서, "내란동조 세력들의 언론장악을 끝장내고 공영방송들을 정치권력으로부터 독립시키는 것이 바로 언론정상화이자 언론개혁"이라고 강조했다.
신태섭 민언련 상임공동대표도 "언론개혁을 통한 사회대개혁으로 나아가는 치유의 여정에는 '불법적인 언론장악 및 언론탄압 진상규명'과 '표현의 자유·알 권리·민주적 공론장 보장'이 중심돼야 한다"고 진단하며, "책임자들을 엄중히 처벌해 다시는 언론장악을 꿈도 꾸지 못하게 해야 하고 언론개혁을 기반으로 모든 영역에서의 민주주의를 정착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 박상현 언론노조 KBS본부장(좌측)과 김성관 언론노조 EBS지부장(중앙)은 윤석열 정권의 언론장악으로 인해 훼손된 공영방송의 현실을 고발하며, 방통위·방심위의 불법을 저지하기 위해서라도 언론개혁이 속히 이뤄져야 한다고 호소했다.
임석규
윤석열즉각퇴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 공동의장을 겸직하고 있는 김은정 서울풀뿌리시민사회네트워크 공동대표 역시 "시민의 말 길이 막힌다면 시민의 목소리가 지워지고 지배자의 언어가 판치게 되는데, 이는 당연하게도 민주주의와 역사를 후퇴시키는 것"이라 경고하면서, "언론이 자본과 권력의 나팔수가 아니라 사회적 약자들의 소중한 힘으로 거듭나야 한다"고 촉구했다.
박상현 언론노조 KBS본부장과 김성관 언론노조 EBS지부장 또한 "윤 정부의 언론장악으로 인해 공영방송은 용산 정권의 방송으로 전락해 언론노동자들은 정론직필과 보도 자유를 빼앗겼고 시민들은 알권리를 침해당하고 있다"고 언급하며, "공영방송 장악을 위한 도구로 변질된 방통위와 방심위를 멈춰 세워내기 위해서라도 언론개혁은 필수"라고 호소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한국사를 전공한 (전)경기신문·에큐메니안 취재기자.
노동·시민사회·사회적 참사·개신교계 등을 전담으로 취재하고 있습니다.
공유하기
"윤석열 파면 후 망가진 언론을 속히 고쳐내야"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