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BS를 폐국 위기로 몰아넣은 오 시장을 향한 규탄의 목소리가 담긴 손팻말을 들고있는 송지연 언론노조 TBS지부장(좌측)과 박선영 언론노조 방송작가지부 수석부지부장(우측).
임석규
송지연 언론노조 TBS지부장은 "오 시장은 대한민국 역사 가운데 권력으로써 시민의 권리이자 민주주의의 장치였던 공영방송 TBS을 없앤 최초의 시장이라는 불명예스러운 기록을 남겼다"고 일갈하며, "행정소송을 통해 정당한 절차 없이 정치적 이유로 지워졌던 공영방송의 존재 이유를 끝까지 증명할 것"이라고 법적 투쟁을 시사했다.
11년간 TBS에서 방송작가로 일했던 박선영 언론노조 방송작가지부 수석부지부장도 "TBS 지원 조례가 개악된 후 가장 먼저 일자리를 잃은 사람들은 프리랜서·방송 비정규직들이었다"고 비판하면서, "미디어 노동자들은 자신의 정치적 목적을 위해서 공공의 책무를 폐기 처분하고 언론의 자유를 짓밟은 오 시장을 단죄하겠다"고 밝혔다.
유한나 전 TBS 시청자위원과 김희경 전 TBS 이사 역시 "서울이라는 도시의 사회적인 기업이고 민주주의 실천의 공간이며 또 시민이 주인이 되는 무대인 TBS를 민영화하려는 시도는 명백한 정치권의 언론장악"이라 규탄하며, "오 시장은 방통위가 정관 개정을 하기도 전에 폐국을 시킴으로써 실질적으로 외부의 지원도 못 받고 운영을 할 수 없도록 해 방송의 독립성과 편성권을 침해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 공영방송 TBS를 파괴한 오 시장을 규탄하며 TBS의 정상화를 위해 공동행동이 끝까지 투쟁할 것임을 밝히는 이호찬 언론노조 위원장(우측)과 김수정 민언련 공동대표(우측).
임석규
공동대표 단위 대표자 발언에 나선 이호찬 언론노조 위원장은 "오 시장의 TBS 폐국 시도는 대국민 사기극이자 권력 유지를 위해 비판 언론의 입을 틀어막으려 했던 윤석열 정권의 행태와 똑같은 모습"이라 규탄하면서, "언론노조는 윤 정권의 언론 탄압 1호인 TBS 폐국을 막기 위해 언론노동자·시민들의 뜻을 모아 투쟁에 나설 것"이라 선언했다.
김수정 민주언론시민연합 공동대표 또한 "TBS는 서울시정과 정책뿐만 아니라, 수도권 전 지역 시민들의 교류와 안녕을 위한 정확하고 풍부한 정보를 제공해왔다"고 평하며, "오 시장은 시장으로서의 정치 능력을 증명하시려거든 TBS 정상화에 나서 서울 시민을 위한 공적 가치를 지켜내고 복원하는 서울시장의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한국사를 전공한 (전)경기신문·에큐메니안 취재기자.
노동·시민사회·사회적 참사·개신교계 등을 전담으로 취재하고 있습니다.
공유하기
"공영방송 TBS 망친 오세훈, 애초 대통령이 될 자격 없어"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