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여름 호우로 발생한 쓰레기 더미들이 있는 충북 영동군 용화면 용화리 581번지 일대.
무주신문
그러나 피해 발생 이후 수개월이 지나도록 제대로 된 정비는 이뤄지지 않았다. 이에 전북 무주군 설천면 주민들은 '용화면사무소에 여러 차례 쓰레기 처리를 요청했지만, 예산 부족을 이유로 아직까지도 아무런 조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설천면 주민 A씨는 "설천 주민들이 지난해 9월에 처음 민원을 넣고 감감무소식이길래 최근에 또 민원을 넣었다. 그런데 용화면사무소에서는 '예산이 부족하다'며 손을 놓고 있다"면서 "우리는 하천 하나를 사이에 두고 사는 이웃인데, 쓰레기가 우리 쪽으로 넘어오면 피해는 고스란히 무주 지역민이 받게 된다. 환경 문제는 행정구역 따질 일이 아닌데, 예산이 없다는 말만 하고 있으니 답답하다"고 토로했다.
가장 큰 우려는 다가오는 여름철 장마다. 7~9월 사이 또다시 큰비가 내릴 경우, 현재 방치된 쓰레기들이 하천으로 쓸려 들어가 남대천 수질 오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남대천은 무주 지역 상수도와 농업용수의 주요 공급원으로, 수질 오염 우려가 현실화될 경우 그 피해는 설천면 주민을 포함한 무주군민들에게 직접 전가될 수 있다는 우려다.
인근 설천면 주민들은 "장마철이 되기 전에 얼른 쓰레기 더미를 치워야 할 텐데 걱정이 크다"며 우려하고 있다. 무주군 환경과는 "현장을 직접 가본 뒤에 영동군에서 빠른 시일 내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이야기해보겠다"라고 밝혔다.
환경단체 관계자는 "지방자치단체 간 협의가 지연되면서 그 피해는 고스란히 주민들에게 돌아가는 구조"라며 "수계는 행정구역과 무관하게 연결돼 있는 만큼, 협력을 통해 조속한 정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용화면사무소 관계자는 <무주신문>과의 통화에서 "일단 현장에 가서 직접 확인해보겠다"고 말했다.
이번 사태는 단순히 환경 미화의 문제를 넘어, 행정 경계로 인해 환경 관리의 공백이 얼마나 쉽게 발생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로, 보다 근본적인 협력 구조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저작권자 ©무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바른지역언론연대는 전국 34개 시군구 지역에서 발행되는 풀뿌리 언론 연대모임입니다. 바른 언론을 통한 지방자치, 분권 강화, 지역문화 창달을 목적으로 활동합니다. 소속사 보기 http://www.bjynews.com/
공유하기
충북-전북 경계에 방치된 수해 쓰레기... 인근에는 식수원이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