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듣기

노동자의 글쓰기가 중요한 이유

월간 <작은책> 창간 30주년, <만국의 노동자여 글을 쓰자> 출간

등록 2025.05.01 13:06수정 2025.05.01 13:06
0
원고료로 응원
버스 운전기사였던 안건모씨는 1996년 우연히 월간 <작은책>을 보면서 '아, 우리 같은 노동자도 글을 쓸 수 있구나' 하고 깨달았고 <작은책> 글쓰기 모임을 통해 이오덕 선생과 만나게 된다. 이오덕 선생은 "글은 일하는 사람들이 써야 하고 누구나 읽기 쉽게 써야 한다"라는 말로 맞춤법조차 잘 모르던 안씨에게 자신감을 심어주었다고 한다.

2006년 버스 운전기사로 생활하며 쓴 일터 이야기 <거꾸로 가는 시내버스>(보리출판사)를 출간한 안건모씨는 <작은책> 발행인으로 25년간 일하다 현재는 변산공동체 대표 일꾼으로 땀 흘리며 농사일을 일하고 있다. 일하는 사람으로 지속적인 글쓰기와 인터뷰 강연도 빼놓지 않는다.


안건모 대표는 일하는 사람이 글을 써야 세상이 바뀌고 자신의 삶도 바뀐다는 사실을 온몸으로 증명한 대표적 사례다. 물론 일하는 사람들의 월간<작은책>이 펼쳐 놓은 글쓰기 마당이 바탕이 되어 주었을 것이다. <작은책>은 모든 일하는 사람들의 쉼터이자, 하소연 마당이며, 고발 창구가 되어 주고 있다.

만국의 노동자여 글을 쓰자 일하는 사람들의 월간 작은책 특별기획 만국의 노동자여 글을 쓰자
▲만국의 노동자여 글을 쓰자 일하는 사람들의 월간 작은책 특별기획 만국의 노동자여 글을 쓰자 플레이이데스

세상을 바꾸는 일하는 사람들의 월간 <작은책>이 창간 30돌을 맞이해 <만국의 노동자여 글을 쓰자>(2025년 5월 출간)라는 단행본을 출간했다.

1995년 5월 1일 노동절에 창간호를 선보였던 일하는 사람들의 생생한 현장 이야기를 담은 월간 <작은책>이 30년을 이어오는 동안 노동 현장과 노동자를 바라보는 시각은 많이 바뀌었다. 하지만 노동 현장은 여전히 열악하고 노동자들이 당한 억울한 마음은 풀 길이 없다. 노동자의 문제는 투박하지만 진실을 알리려는 글쓰기와 제보를 통해 해결의 실마리가 풀린 경우가 많다.

"억울하고 답답한 마음 누가 풀어 주나요. 직접 써서 알려야죠."

<만국의 노동자여 글을 쓰자>는 월간 <작은책> 공모상 수상 작품을 실었다. 수상작은 아니지만 노동자들 자신이 겪은 노동 현장의 참혹한 현실과 부당함, 억울함, 차별과 배제도 고발한다.


책은 1장. 참사와 죽음을 딛고 일어설 우리, 2장. 플랫폼 노동, 그 정거장엔?, 3장. 非, B, 悲비정규직, 부정당하는 노동, 4장. 먹튀,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 전 4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주페이퍼에 입사한 지 6개월 만에 산재로 사망한 19세 청년 노동자의 죽음, 쌍용자동차 2009년 77일간 옥쇄파업 당시 옥상에서 헬기의 무차별 최류탄 세례를 받았던 기록 등에는 참사와 죽음, 트라우마 극복의 시간이 진솔하게 담겨있다.


플랫폼 노동의 대명사가 된 택배노동자의 노동과 죽음의 기록은 플랫폼 노동의 정류장은 죽음이라는 사실에 경악하게 만든다.

비정규직, 특수고용노동자, 프리랜서들은 일을 하지만 그 노동이 노동이 아니라고 부정당하고 있다. 노동법 2조 3조 개정, 모든 노동자에게 4대 보험을 적용하는 사회가 되어야 하는 이유다.

먹튀 해외 자본으로 인한 노동자의 해고는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지금도 구미 옵티컬 옥상에는 고용 승계를 외치며 박정혜라는 여성 노동자가 500일 가까운 시간을 농성을 이어가고 있다.

그들의 목소리는 직접 간접 글쓰기와 언론 보도를 통해 부당함이 세상에 알려지고 사회적 관심사가 된다. 글쓰기가 세상을 바꾸고 노동자의 자신의 삶을 바꿀 수 있기에 글쓰기가 필요하다. 우리 모두는 개인적 삶을 살아가지만 그 삶의 기록은 시대의 역사가 된다.

민중 가수 지민주의 '세상에 지지 말아요'라는 노래 가사 중 이런 구절이 있다.

'얘기해 봐요. 우리가 겪은 많은 일들을 그것을 이어 이으면 우리의 역사가 되죠.'

그렇다. 한 사람 한 사람의 삶이 기록되면 우리 민중의 역사가 된다. 하지만 기록하지 않으면 기억은 희미해지고, 왜곡되고, 잊힐 뿐이다. 누구나 일을 하며 다양한 경험을 하게 되고 그 경험은 같을 수 없기에 일하는 사람들의 글쓰기는 민중 역사이자 소중한 노동 역사의 기록이 된다.

만국의 노동자여, 당신의 삶이 바로 민중 역사이자 노동 역사다. 이제부터라도 자신의 역사와 노동 역사를 기록하는 글을 쓰자. 글쓰기 마당은 일하는 사람들의 월간 <작은책>이 이미 펼쳐 놨다.
덧붙이는 글 작은책 정기 구독 신청안내

02-323-5391
https://sbook.co.kr/subscript

만국의 노동자여 글을 쓰자 - 나는 고발한다, 이 참혹한 노동 현실을

월간 <작은책> (엮은이),
플레이아데스, 2025


#작은책30주년 #노동자 #글쓰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혼자 잘살면 무슨 재민교’ 비정규직 없고 차별없는 세상을 꿈꾸는 장애인 노동자입니다. <인생학교> 를 통해 전환기 인생에 희망을. 꽃피우고 싶습니다. 옮긴 책<오프의 마법사>


톡톡 60초

AD

AD

AD

인기기사

  1. 1 2년간 싸운 군의원 "김건희 특검, 양평군 도시건설국장 주목해야" 2년간 싸운 군의원 "김건희 특검, 양평군 도시건설국장 주목해야"
  2. 2 "하나님께서 함께하심을 믿고 있다"는 윤석열, 서글펐다 "하나님께서 함께하심을 믿고 있다"는 윤석열, 서글펐다
  3. 3 원주에서 일어나고 있는 기막힌 일... 눈물 나는 24명 '최후진술' 원주에서 일어나고 있는 기막힌 일... 눈물 나는 24명 '최후진술'
  4. 4 대장동 첫 대법 판결, 김만배 무죄 확정... 남욱 신빙성 배척 대장동 첫 대법 판결, 김만배 무죄 확정... 남욱 신빙성 배척
  5. 5 '김건희' 묻자 기자 밀치고 다급히 떠난 양평군수, 김선교 의원도 묵묵부답 '김건희' 묻자 기자 밀치고 다급히 떠난 양평군수, 김선교 의원도 묵묵부답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