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듣기

서울시내 전동킥보드 약 4만대... 주차공간은 2000대 수준

2024년 상반기 '신고' 따른 견인 건수만 3만9000여 건... "피해는 이동 시민에"

등록 2025.05.29 14:59수정 2025.05.29 14:59
0
원고료로 응원
서울시내 공유 전동킥보드가 4만여 대에 달하지만 이를 세워둘 공간이 부족해 근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서울 교통실 교통운영관 보행자전거과에서 제공한 데이터에 따르면, 서울시에서 운영되고 있는 공유 전동킥보드 기기 대수는 4만3000여 대다.

서울시 전동킥보드 운영 대수 현황 2025년 기준 서울시에서 운영 중인 업체별 전동킥보드의 기기 대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 원 데이터 제공 - 서울열린데이터광장 / 제작 - 천승환 기자
▲서울시 전동킥보드 운영 대수 현황 2025년 기준 서울시에서 운영 중인 업체별 전동킥보드의 기기 대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 원 데이터 제공 - 서울열린데이터광장 / 제작 - 천승환 기자 천승환

그러나 이들을 세워둘 공간은 턱없이 부족하다. 서울특별시 교통실 교통운영관 보행자전거과에서 제공한 데이터에 따르면, 2024년 12월 기준 서울시에는 190곳의 킥보드 주차구역이 설치돼 있다.

가장 많은 주차구역이 설치된 지역은 서초구로, 49곳의 킥보드 주차구역이 설치돼 있다. 강서구(21곳), 종로구(17곳), 동대문구(14곳)을 제외하면 10곳 이하인 곳이 대다수다.

2024년 서울시 구별 전동킥보드 주차구역 현황 2024년 2월 기준 서울시 각 구별로 설치 및 운영 중인 전동킥보드 주차구역의 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 원 데이터 제공 - 서울열린데이터광장 / 제작 - 천승환 기자)
▲2024년 서울시 구별 전동킥보드 주차구역 현황 2024년 2월 기준 서울시 각 구별로 설치 및 운영 중인 전동킥보드 주차구역의 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 원 데이터 제공 - 서울열린데이터광장 / 제작 - 천승환 기자) 천승환

게다가 킥보드 기기 거치대가 설치돼 있는 주차구역은 전체 190곳 중 81곳에 불과하다. 나머지 109곳은 거치대가 없으니 킥보드가 주차구역 밖으로 벗어나거나 쓰러져 있는 킥보드들이 눈에 들어오기 일쑤다.

거치대가 설치돼 있어도 거치 가능한 킥보드의 수는 5대에서 8대 정도다. 이는 주차구역 한곳 당 넉넉잡아 10대의 킥보드를 주차한다 하더라도, 서울시내 전동킥보드 주차구역에 세워둘 수 있는 킥보드의 대수는 고작 2000대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차구역이 이처럼 턱없이 부족하다보니 주차 공간내 키보드가 과도하게 밀집되는 것은 물론, 킥보드가 지정 구역 외에 주차돼 보행자와 차량 운전자들에게 방해 요소가 되는 일이 비일비재한 것으로 보인다.


2024년 상반기(1~6월) 서울시 구별 전동킥보드 견인 건수 2024년 1월부터 6월까지 이뤄진 서울시 내 전동킥보드 견인 건수를 각 구별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 원 데이터 제공 - 서울열린데이터광장 / 제작 - 천승환 기자
▲2024년 상반기(1~6월) 서울시 구별 전동킥보드 견인 건수 2024년 1월부터 6월까지 이뤄진 서울시 내 전동킥보드 견인 건수를 각 구별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 원 데이터 제공 - 서울열린데이터광장 / 제작 - 천승환 기자 천승환

그러다보니, 서울시의 킥보드 견인도 일상이 되고 있다. 서울시 교통실 교통운영관 보행자전거과에서 제공한 데이터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에만 총 3만 9041 건의 전동킥보드 견인 조치가 이뤄졌다.

2024년 상반기(1~6월) 서울시 신고유형별 전동킥보드 견인 건수 2024년 1월부터 6월까지 이뤄진 서울시 내 전동키보드 견인 건수를 신고유형별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 원 데이터 제공 - 서울열린데이터광장 / 제작 - 천승환 기자
▲2024년 상반기(1~6월) 서울시 신고유형별 전동킥보드 견인 건수 2024년 1월부터 6월까지 이뤄진 서울시 내 전동키보드 견인 건수를 신고유형별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 원 데이터 제공 - 서울열린데이터광장 / 제작 - 천승환 기자 천승환

전동킥보드 견인은 대부분 신고를 통해 이뤄진다. 서울시의 지난해 상반기 킥보드 견인 현황 데이터를 신고 유형별로 보면, '보도와 차도가 구분된 도로의 차도'에 주차된 경우가 1만 5475건으로 가장 많았고, '횡단보도, 산책로(8400건), '보도 중앙'(3220건), '자전거 도로'(2817건)가 뒤를 이었다.


현재 서울시에서 운영 중인 공유 전동킥보드는 대부분 민간 업체에서 운영 중이지만, 주차구역의 설치와 관리, 비용 부담은 대부분 지자체에서 시행하고 있는 실정이다.서울특별시 공유형 개인형 이동장치 이용안전 증진 조례에 따라 킥보드 업체는 보험 가입, 이용자 정보 관리와 더불어 주차 질서 관리 의무를 가져야 한다.

실제로 다양한 킥보드 업체에서는 전용 어플리케이션 및 기기에 부착된 GPS를 통해 지정된 주차가능 영역을 벗어나면 반납할 수 없도록 하는 시스템을 도입하여 주차 질서 유지를 위한 시도를 하고 있지만, 주차 구역을 직접적으로 마련해야 한다는 의무에 대한 조항은 2025년 현재 아직 마련되지 않다.

이러한 킥보드 주차 문제 해결을 위해 공유 킥보드 업체와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필요성도 제기된다. 전동 킥보드 서비스 시행 이후 안전사고, 교통질서에 대한 여러 문제점 제기로 이를 보완하기 위한 다양한 법령이 제정됐다.

서울특별시 공유형 개인형 이동장치 이용안전 증진 조례에 따라 킥보드 업체는 보험 가입, 이용자 정보 관리와 더불어 주차 질서 관리 의무를 가져야 한다. 실제로 다양한 킥보드 업체에서는 전용 어플리케이션 및 기기에 부착된 GPS를 통해 지정된 주차가능 영역을 벗어나면 반납할 수 없도록 하는 시스템을 도입해 주차 질서 유지를 위한 시도를 하고 있지만, 주차 구역을 직접적으로 마련해야 한다는 의무에 대한 조항은 2025년 현재 아직 마련되지 않았다.

주차 구역 확충은 부지 확보와 설치 및 유지비용 등의 이유로 간단한 문제가 아님은 부인하기 힘들다. 이 때문에, 킥보드 구역 외 방치에 따른 불편은 오롯이 도보와 운전으로 시내를 이동하는 시민들의 몫이 되고 있다.
덧붙이는 글 천승환 대학생기자의 기사입니다. 이 기사는 한림대학교 미디어스쿨 대학생기자가 취재한 것으로, 스쿨 뉴스플랫폼 한림미디어랩 The H에도 게재됩니다. (www.hallymmedialab.com)
#전동킥보드 #서울 #주차구역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한림대학교 사회학과 재학.


톡톡 60초

AD

AD

AD

인기기사

  1. 1 한여름 20대 청년의 돌연사, 상상도 못 한 답변이 돌아왔다 한여름 20대 청년의 돌연사, 상상도 못 한 답변이 돌아왔다
  2. 2 편의점에 이걸 설치했더니, 손님들이 찾아오기 시작했다 편의점에 이걸 설치했더니, 손님들이 찾아오기 시작했다
  3. 3 윤석열의 거부권 '철옹성', 이재명 취임 일주일 만에 무너졌다 윤석열의 거부권 '철옹성', 이재명 취임 일주일 만에 무너졌다
  4. 4 채 상병 특검 아이러니... 이 사람들 그냥 내버려둘 건가 채 상병 특검 아이러니... 이 사람들 그냥 내버려둘 건가
  5. 5 현직 검사까지 희생양 만들고...판결로 확인된 검찰의 거짓 행태 현직 검사까지 희생양 만들고...판결로 확인된 검찰의 거짓 행태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