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상반기(1~6월) 서울시 신고유형별 전동킥보드 견인 건수 2024년 1월부터 6월까지 이뤄진 서울시 내 전동키보드 견인 건수를 신고유형별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 원 데이터 제공 - 서울열린데이터광장 / 제작 - 천승환 기자
천승환
전동킥보드 견인은 대부분 신고를 통해 이뤄진다. 서울시의 지난해 상반기 킥보드 견인 현황 데이터를 신고 유형별로 보면, '보도와 차도가 구분된 도로의 차도'에 주차된 경우가 1만 5475건으로 가장 많았고, '횡단보도, 산책로(8400건), '보도 중앙'(3220건), '자전거 도로'(2817건)가 뒤를 이었다.
현재 서울시에서 운영 중인 공유 전동킥보드는 대부분 민간 업체에서 운영 중이지만, 주차구역의 설치와 관리, 비용 부담은 대부분 지자체에서 시행하고 있는 실정이다.서울특별시 공유형 개인형 이동장치 이용안전 증진 조례에 따라 킥보드 업체는 보험 가입, 이용자 정보 관리와 더불어 주차 질서 관리 의무를 가져야 한다.
실제로 다양한 킥보드 업체에서는 전용 어플리케이션 및 기기에 부착된 GPS를 통해 지정된 주차가능 영역을 벗어나면 반납할 수 없도록 하는 시스템을 도입하여 주차 질서 유지를 위한 시도를 하고 있지만, 주차 구역을 직접적으로 마련해야 한다는 의무에 대한 조항은 2025년 현재 아직 마련되지 않다.
이러한 킥보드 주차 문제 해결을 위해 공유 킥보드 업체와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필요성도 제기된다. 전동 킥보드 서비스 시행 이후 안전사고, 교통질서에 대한 여러 문제점 제기로 이를 보완하기 위한 다양한 법령이 제정됐다.
서울특별시 공유형 개인형 이동장치 이용안전 증진 조례에 따라 킥보드 업체는 보험 가입, 이용자 정보 관리와 더불어 주차 질서 관리 의무를 가져야 한다. 실제로 다양한 킥보드 업체에서는 전용 어플리케이션 및 기기에 부착된 GPS를 통해 지정된 주차가능 영역을 벗어나면 반납할 수 없도록 하는 시스템을 도입해 주차 질서 유지를 위한 시도를 하고 있지만, 주차 구역을 직접적으로 마련해야 한다는 의무에 대한 조항은 2025년 현재 아직 마련되지 않았다.
주차 구역 확충은 부지 확보와 설치 및 유지비용 등의 이유로 간단한 문제가 아님은 부인하기 힘들다. 이 때문에, 킥보드 구역 외 방치에 따른 불편은 오롯이 도보와 운전으로 시내를 이동하는 시민들의 몫이 되고 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공유하기
서울시내 전동킥보드 약 4만대... 주차공간은 2000대 수준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