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 나흘 후인 2017년 5월 14일 오전 청와대에서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소집한 국가안전보장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왼쪽에 김관진 안보실장이 앉아있다.
연합뉴스
그러나 힘찬 첫 걸음과 달리 '새 정부 꾸리기'는 쉽지 않았다.
취임한 지 나흘밖에 안된 5월 14일 오전 8시, 문 대통령은 청와대 내 위기관리센터(지하벙커)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 회의를 열었다. 북한이 이날 새벽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것이다.
이 자리에서는 이순진 합참의장이 화상으로 상황 보고를 한 다음 이병호 국가정보원장, 한민구 국방부장관, 윤병세 외교부장관, 홍용표 통일부장관 등이 차례로 부처별 대응 방안을 보고했다.
언뜻 국가 안보를 책임지는 고위 인사들의 지극히 정상적인 회의로 보이지만 전혀 정상적인 회의가 아니었다. 회의를 주재한 문 대통령을 제외하고 참석자들은 모두 전 정권, 즉 박근혜 정권의 외교·안보 책임자들이었던 것이다. 이날 오전 6시 22분 문 대통령에게 직접 전화로 상황을 보고한 것도 김관진 당시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었다.
촛불혁명을 통해 탄생한 새로운 대통령이 새로운 각료들과 함께 이른바 '나라다운 나라'를 꾸려가는 모습을 보고 싶었던 국민들은 고개를 갸우뚱할 수밖에 없었다.
이 뿐 아니었다. 문 대통령은 6월 27일 취임 49일 만에 겨우 첫 국무회의를 주재했다. 그런데 참석한 17명의 국무위원 가운데 박근혜 정권때 임명된 장관이 11명이나 됐다. 자신이 임명한 장관은 6명에 불과했다. 나머지는 국회 청문회가 진행 중이거나 아예 후보가 지명조차 되지 않았던 것이다.
문 대통령은 이후 몇 달 더 전 정권의 인사들과 국정을 상의해야 했다. 인수위를 거치지 않고 출범해 준비가 덜 된 데다, 새 장관 후보자들을 지명하더라도 국회 청문회가 발목을 잡았다. 취임 첫날 총리, 비서실장 등 주요 인사들을 호기롭게 지명하며 시작했던 문재인 1기 인사는 결국 역대 정부 중 가장 늦은 출범 195일 만에 마무리됐다.
여소야대였던 당시에 비해 지금은 여당의 의석이 압도하고 있으며, 계엄과 탄핵의 와중에 총리를 비롯한 상당수의 각료가 자리를 비우고 있다는 점이 당시와 다르지만 전임 정부 각료들과의 동거를 비켜갈 방법은 없다.
작년 12월 3일 내란사태로부터 시작해서 6월 3일 대선까지 꼭 6개월여간 전혀 예상치 못한 돌발사태의 연속이었다. 새 대통령이 과연 문재인 정권이 걸었던 길을 타산지석 삼아 내란종식과 개혁의 궤도에 순조롭게 올라탈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공유하기
21대 대통령 취임하고, '윤석열 장관'과 일해야 한다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