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원내대표 후보로 나선 김병기·서영교 제22대 국회 더불어민주당 제2기 원내대표 후보로 나선 김병기(왼쪽)·서영교 의원이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합동토론회에 앞서 자세를 취하고 있다.
남소연
"하지 마세요. 하지 마시라고요"
더불어민주당의 원내대표 후보로 나선 김병기 의원이 취재진을 향해 분노를 표출하며 황급히 자리를 떴다. 김 의원은 10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민주당 원내대표 후보 합동토론회가 끝난 후 기자들로부터 아들의 취업 청탁 의혹 관련 질문을 받고 유난히 날 선 반응을 보였다.
이날 토론회에 앞서 MBC는 김 의원의 부인인 이 아무개씨가 2016년 7월 이헌수 당시 국정원 기조실장에게 전화해 아들의 국정원 취업을 청탁한 정황이 담긴 녹음파일을 입수해 보도했다. 이 녹음파일에는 이씨가 아들의 국정원 취업 실패를 언급하자 이 전 실장이 "올해 안에 처리할 테니까 염려하지 말고 한 번만 더 믿고 기다려달라, 책임지고 하겠다"고 말한 내용이 담겨있다.
사실 김 의원 아들의 국정원 취업을 둘러싼 의혹이 제기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2018년 <한겨레>는 김 의원이 2016년 국회 정보위원회 간사가 된 후, 아들의 국정원 탈락 이유를 국정원에 집중 추궁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당시 김 의원이 "모든 내용이 사실이 아니"라고 반박하면서 사건은 일단락됐다.
'아들 취업 청탁' 의혹 MBC 보도에 수사 의뢰 예고한 김병기
이날 MBC 보도에 대해 김 의원은 "말 같지 않은 소리"라고 강하게 부인했다. 그는 이날 기자들이 '7년 전 해명과 다른 내용의 보도가 나왔다'고 질문하자 "국가정보원에서 2018년과 2025년, 두 차례에 걸쳐 그것(아들 채용 절차)이 문제가 없다고 공식 해명했고 서너 차례 걸쳐서 내부 감찰과 감사를 진행했다"며 "감사원 역시 정식 감사를 한 결과, '문제가 없다'고 밝혀졌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언론에 화살을 돌렸다. 김 의원은 "두 기관에 (사실 관계를) 먼저 확인해 봐야 하는 것 아니냐"며 "왜 그 일(채용 탈락)이 일어났는지에 대해 처음부터 (취재를) 시작해야 하는 것 아니냐. 신원조회까지 다 통과됐던 사람이 어떻게 갑자기 신원조회에서 떨어져 탈락될 수 있는지부터 이야기해야 한다"고 억울함을 호소했다.
김 의원은 아들이 피해자라고 강조했다. 그는 "제일 분노하는 건 어떻게 기자님들이 피해자 입장에서 보도하지 않고 자극적인 보도를, 내용도 있지 않은 하나를 갖고 왜곡을 해 보도를 하느냐는 것"이라고 밝혔다. 또 '통화 녹취는 사실이지만 청탁이 아니라는 말이냐'는 취재진의 질문이 이어지자 "그게 어떻게 청탁이 되냐"고 반문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김 의원은 원내대표 선거 결과와 관계없이 녹취록 보도에 대해 '수사 의뢰'를 예고했다. 김 의원은 "공소시효가 지났을 수 있지만 진실을 밝히겠다"며 "그동안 후배들이 다칠까 봐, 또 사실 그걸(채용) 주도했던 사람은 다 퇴직해 (현재 있는) 직원들만 다치는 걸 원하지도 않아 (수사 의뢰를) 하지 않았다"면서 "제가 원내대표가 되든 안 되든, 당락과 관계없이 이 문제는 수사를 의뢰하겠다"고 밝혔다.
이후 추가 질문이 이어지자, 김 의원은 격앙된 어조로 "하지 마시라"는 말을 여러 차례 남긴 뒤 자리를 떠났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꼼꼼하게 보고 듣고 쓰겠습니다. 오마이뉴스 복건우입니다.
공유하기
'아들 취업 청탁' 녹취 보도에 분노한 김병기 "수사 의뢰할 것"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