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이 16일 오후 경기 성남 서울공항에서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캐나다로 출국하는 비행기에 오르고 있다.
이희훈
한국 대통령이 G7 정상회의에 직접 참석하는 것은 이번이 세 번째다. 문재인 전 대통령이 지난 2021년 영국 콘월에서 열린 G7 정상회의에 첫 참석했으며, 2023년 일본 히로시마 G7에도 윤석열 전 대통령이 참석한 바 있다.
이번 회의에는 G7 회원국인 캐나다,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영국, 미국 등 주요 7개국과 유럽연합(EU), 그리고 대한민국, 호주, 브라질, 인도, 멕시코, 남아공, 우크라이나, 아랍에미리트 등 8개 초청국 정상들이 참석한다.
의장국 캐나다의 주도하에 공동체 안전 및 세계 안보의 정립, 에너지 안보와 디지털 전환을 통한 번영, 미래를 위한 파트너십 투자 등 글로벌 도전과제에 대해 논의한다. 회의 첫날인 16일(현지시간)에는 G7 회원국 정상들만 참석하는 단독세션이, 둘째 날인 17일에는 G7 회원국과 우리나라를 비롯한 초청국도 참석하는 확대세션이 열릴 예정이다.
이 대통령은 회의 첫날인 16일(현지시간) 캐나다 주지사 주재 환영 리셉션과 총독 주재 환영 만찬에 김혜경 여사와 함께 참석할 예정이다. 또한 주요 초청국 정상들과 양자회담도 예정하고 있다.
이 대통령은 다음날인 17일 오전에는 캘거리에서 100km 떨어진 카나나스키스로 이동해 공식 환영식, G7 및 초청국 정상들과 기념촬영에 이어 확대세션에 참석한다. 이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에너지 공급망 다변화와 인공지능(AI)-에너지 연계를 주제로 두 차례 발언할 예정이다.
젤렌스키 대통령과도 만날 가능성... 지원 유지 관심

▲ 이재명 대통령이 16일 오후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성남 서울공항에 도착했다.
이희훈
이 대통령은 확대세션 참석 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 등 주요국 정상들과 양자회담을 할 예정이나 아직 구체적 일정은 조율 중이다.
양자회담에서는 트럼프 미 대통령이 관세 및 방위비 협상과 관련 한국에 대해 어떤 요구를 할지, 이에 대해 이 대통령이 어떻게 대응할지가 주목된다. 한국의 새 정권 출범에 따른 대일정책 기조 변화에 촉각을 세우고 있는 일본의 이시바 총리와의 첫 대면도 관심을 끌고 있다. 한편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과 만나 우크라이나 지원 유지와 관련 얘기를 할 가능성도 크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오후 기자들과 만나 "(통상 문제 관련) 실질적인 수치나 이런 것에 대한 대화라기보다 관계를 진전시키고 돈독하게 하기 위한 자리가 마련되지 않을까 싶다"며 "그런 자리는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위성락 대통령실 안보실장은 지난 15일 브리핑에서 "이번 초청은 G7이 민주주의의 강인성을 보여준 경제강국 대한민국과 새 정부에 큰 기대를 갖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계엄령으로 인한 위기를 극복하고 민주 한국이 돌아왔다는 것을 국제사회에 알리는 첫 계기가 될 것"이라고 G7 참석의 의미를 부여했다.
이 대통령은 모든 일정을 마치고 18일 늦은 밤 서울에 돌아올 예정이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2007년 5월 입사. 사회부·현안이슈팀·기획취재팀·기동팀·정치부를 거쳤습니다.
공유하기
취임 12일 만에 외교무대 데뷔... 이 대통령 G7 참석차 출국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